KR200190858Y1 - 선풍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선풍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858Y1
KR200190858Y1 KR2020000001621U KR20000001621U KR200190858Y1 KR 200190858 Y1 KR200190858 Y1 KR 200190858Y1 KR 2020000001621 U KR2020000001621 U KR 2020000001621U KR 20000001621 U KR20000001621 U KR 20000001621U KR 200190858 Y1 KR200190858 Y1 KR 200190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afety
safety device
switch
sen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원
Original Assignee
한아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아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아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1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8Stop safety or alarm devices, e.g. stop-and-go control; Disposition of check-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풍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들이 선풍기에 접근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선풍기의 안전장치이다. 본 고안은 상기 선풍기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수단을 지지부에 설치하고, 상기 선풍기가 넘어질 때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스위치를 하부본체의 저면에 설치하여 상기 센싱수단과 안전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전장치가 동작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선풍기의 안전장치{A safety device of a motor fan}
본 고안은 선풍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들이 선풍기에 접근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선풍기의 안전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선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여주는 선풍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풍기(100)로서 그 구조는 우선, 하부본체(10) 및 상부본체(12)와,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10)와 상기 상부본체(12)를 수직하게 연결하고 있는 지지부(1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본체(12)의 전부에는 안내판(24)이 설치된 회전날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선풍기(100)는 풍량조절이 자유롭고,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었으나 별도의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들의 접근을 차단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선풍기를 사용할 때,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등의 급작한 접근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등의 신체 일부가 선풍기에 끼어 신체적 상해를 당하는 문제점이 매우 많이 있었고,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등이 접근하여 선풍기가넘어지는 경우 선풍기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으므로 선풍기의 날개가 파손되어 그 파편으로 인하여 신체에 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들의 접근을 미연에 감지하고, 선풍기가 넘어지는 경우 선풍기의 전원을 차단시켜 회전을 중지시킴으로써 선풍기의 날개 등이 파손되어 신체에 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풍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선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선풍기의 일부 절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센싱수단과 안전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적외선 센서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의 안전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 본체 12 : 상부 본체
14 : 지지부 16 : 센싱수단
18 : 제 1안전봉 20 : 제 2안전봉
22 : 힌지편 24 : 안내판
32,40 : 안전스위치 42 : 감지센서 콘트롤 어세이
44 : 감지센서 스위치 46 : 회전 조절 스위치
48 : 회전모터
본 고안은 조정장치가 부설된 하부본체와, 모터가 부설된 상부본체 그리고, 상기 상,하부본체를 연결하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본체에 부설된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종래의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선풍기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수단을 지지부에 설치하고, 상기 선풍기가 넘어질 때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스위치를 하부본체의 저면에 설치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전장치가 동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선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선풍기의 일부 절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센싱수단과 안전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센싱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회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안전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풍기(100)는 풍량과 회전조절될 수 있도록 조절수단이 구비된 하부 본체(10)와, 메인모터(미도시됨)가 장착된 상부 본체(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본체(12)와 상기 하부 본체(10)는 지지부(14)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상하로 늘렸다 줄였다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 본체(12)의 전부에는 반구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이루어진 제 1안전봉(18)이 고정브라켓(34)에 의해 상기 상부본체(12)의 전부와 이탈의 염려가 없도록 고정된다. 이때, 반구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이루어진 제 2안전봉(20)이 상기 제 1안전봉(18)과 대응하여 설치되고, 제 1안전봉(18)의 외주에 설치된 다수의 힌지편(22)에 의해 제 2안전봉(20)의 외주부분이 함께 고정되어 진다.
한편, 상기 제 1안전봉(18)과 제 2안전봉(20)이 설치된 중공부에는 상기 상부본체(12) 내부에 설치된 메인모터(미도시됨)의 축에 회전날개가 설치되고, 그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시원한 바람을 일으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 본체(10)와 지지부(14)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수단(16)을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선풍기(100)의 정면, 측면, 후면 등의 각 측면에서 접근하는 물체(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등)가 1m 이내에 들어오면 감지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센싱수단(16)으로는 온도센서, 열감지센서, 높이감지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채택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센서(16)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센싱수단(16)의 배치간격은 120도의 수평각도를 갖도록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선풍기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배치간격을 갖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위치는 상기 지지부(14)의 하부에만 설치되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지지부(14)의 어느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센싱수단(16)이 감지하기 위한 상하방향은 선풍기(100)의 정면에 도달할 수 있는 70-80도이상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하부 본체(10)의 저면에는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에 안전스위치(3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스위치(32)는 바닥면에 의해 눌려있는 상태가 오프(off)(선풍기는 동작이 이루어지고, 안전스위치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상태를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안전 스위치(32)는 바닥면과 접하여 눌려 있다가 미처 감지되지 못한 물체의 움직임과 부딪혀서 넘어지게 되는 경우, 상기 안전 스위치(32)가 바닥면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온(on)(안전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고, 선풍기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상태가 되어 선풍기(100)의 동작을 멈추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안전 스위치(32)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푸쉬버튼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정밀 센싱 스위치를 사용해도 좋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한 본 고안의 선풍기(100)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회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기로 하겠다.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회로도는 안전 스위치(40)와 센싱수단(16)이 함께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전스위치(40)와 센싱수단(16)은 각각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때는 전원 컨넥터(38)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선풍기(10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안전스위치(40)는 전원 컨넥터(38)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로서 선풍기(100)가 계속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수단(16)은 감지콘트롤 어세이(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 콘트롤 어세이(42)는 감지센서 스위치(44)에 의해 동작되고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콘트롤러측과 PCB측으로 전원이 계속적으로 인가되어 선풍기의 동작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전원 컨넥터(38)에 의해 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지면, 상기 안전스위치(40)와 센싱수단(42)에 계속적인 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지며 타이머(50) 및 바람세기 조절 스위치(52)와, 회전 조절 스위치(46) 및 회전모터(48)에도 각각 전원이 인가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스위치에서 인출된 라인은 커넥터(54)에 의해 메인모터(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풍기(100)의 회전시간을 조절하거나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선풍기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작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먼저, 선풍기(100)에 일정 간격 이상으로 접근하는물체-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등-가 있으면, 도2에 도시된 센싱수단(16)에 의해 감지되고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 콘트롤 어세이(42)에 설치된 감지센서 스위치(44)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센서의 동작이 온(on)이 되어 전원이 차단되고 PCB측으로만 전원을 흘려주며 메인모터(54)로 인가되는 전원을 끊어 줌으로써 선풍기(100)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일정 근거리 이상 접근하는 물체-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등-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수단(16)이 미처 감지하지 못한 불의의 경우에 의해 선풍기가 쓰러질 때에는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2차적인 보호장치로서 안전 스위치(40)가 동작한다.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하부 본체(10)의 안전 스위치(40)가 온(on)되어 전원의 인가를 끊어 줌으로써 선풍기(100)의 메인모터(54)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안전 스위치(40)와 센싱수단(16)에 의해 각각 동작하는 경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각각의 선풍기 안전장치는 동시에 동작하거나 또는 두개의 안전장치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다른 하나의 안전장치가 동작하여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들을 선풍기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고안은 선풍기의 전후 또는 측면에서 접근하는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들을 감지하여 신체에 상처를 입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선풍기가 넘어지더라도 전원을 차단하여 선풍기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선풍기 날개에 의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조정장치가 부설된 하부본체와, 모터가 부설된 상부본체 그리고, 상기 상,하부본체를 연결하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본체에 부설된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종래의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선풍기(100)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수단(16)을 지지부(14)에 설치하고, 상기 선풍기가 넘어질 때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 스위치(32)를 하부본체의 저면에 설치하여 상기 센싱수단(16)과 안전 스위치(32)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전장치가 동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16)은 적외선 센서를 120도의 등간격으로 수평배치하여 선풍기에 전,후측 또는 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0)에 설치되는 상기 안전 스위치는 푸쉬버튼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풍기의 안전장치.
KR2020000001621U 2000-01-21 2000-01-21 선풍기의 안전장치 KR200190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21U KR200190858Y1 (ko) 2000-01-21 2000-01-21 선풍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21U KR200190858Y1 (ko) 2000-01-21 2000-01-21 선풍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858Y1 true KR200190858Y1 (ko) 2000-08-01

Family

ID=1963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21U KR200190858Y1 (ko) 2000-01-21 2000-01-21 선풍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8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6242A1 (en) * 2003-05-27 2004-12-09 Biontech Co., Ltd. Electrolysis apparatus for producing ionized water
KR20160118056A (ko) 2015-04-01 2016-10-11 신일산업 주식회사 선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6242A1 (en) * 2003-05-27 2004-12-09 Biontech Co., Ltd. Electrolysis apparatus for producing ionized water
KR20160118056A (ko) 2015-04-01 2016-10-11 신일산업 주식회사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650B1 (ko) 무인 비행체 보호 장치와 그의 장애물 감지 및 회피 방법
US5269071A (en) Hair and body drying device
GB2260164A (en) Electric rolling steel door fitted with safety stopping device
KR200190858Y1 (ko) 선풍기의 안전장치
CN208709772U (zh) 扫地机器人
KR20170097442A (ko)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선풍기
KR20170097418A (ko) 센싱 값에 따라 풍속 및 풍향을 자동 조절하는 스마트 선풍기
KR200278255Y1 (ko) 선풍기
KR102049567B1 (ko) 선풍기 및 선풍기 제어방법
US5244030A (en) Electrically operated folding operable walls
ES2382279B1 (es) Dispositivo electrico de corte
JP6147832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装置
KR20110008807A (ko) 선풍기
JP2003021046A (ja) 風力発電装置
KR101337624B1 (ko) 추락 방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433853Y1 (ko) 선풍기
CN107725428A (zh) 一种防止儿童受伤的电风扇
JP2006044942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20160118056A (ko) 선풍기
US11986697B1 (en) Mechanical assemblies for a treadmill
KR100938882B1 (ko) 인체의 정전기를 감지하여 정지하는 선풍기
JPH0241479Y2 (ko)
CN213226285U (zh) 一种用于机器人的组合式安全防护装置
EP0961000B1 (en) Protection and safety device for automatic sliding gates
LU102879B1 (en) Collapsible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