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736Y1 - 머리빗이 내장된 용기 - Google Patents

머리빗이 내장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736Y1
KR200190736Y1 KR2020000004613U KR20000004613U KR200190736Y1 KR 200190736 Y1 KR200190736 Y1 KR 200190736Y1 KR 2020000004613 U KR2020000004613 U KR 2020000004613U KR 20000004613 U KR20000004613 U KR 20000004613U KR 200190736 Y1 KR200190736 Y1 KR 200190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hair
container
stop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000004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08Multi-part combs with protective sheath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헤어젤이나 머리염색제등을 담는 프라스틱 용기 또는 튜브식 용기에 머리빗을 내장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A(용기)와 B(머리빗), C(마개)등으로 크게 구분되고 서로 각각 탈·부착이 되어지는데 마름모 꼴과 와인잔 형태의 혼합형으로 형성된 A(용기)의 상부에는 6(A 고정핀)이 구성되며 4(빗살) 전체가 충분히 내장될수 있는 공간인 14(오목홈)이 형성되며 B(머리빗)은 뚜껑 기능을 하여 D(내용물)을 보호하는 2(B캡)과 1(손잡이) 3(빗대)등이 한몸체로 구성되며 C(마개)는 B(머리빗)이 원활하게 삽입, 이출될수 있도록 5(통기구)가 형성되며 13(지지대) 및 여과구는 B(머리빗)의 삽·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7(C 고정핀)은 6(A 고정핀)에 탈·부착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내용물을 손에 묻히지 않고 모발을 세팅 및 염색할 수 있는데 특히 세면 시설 및 용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야외에서 그 실용성이 적용될 것이고 튜브식 용기에도 본 고안의 적용이 가능하다. 대표도는 본 고안의 측면 단면 상세도임.

Description

머리빗이 내장된 용기{A Vessel combined with Comb}
- 본 고안의 목적은 일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헤어젤이나 염색제등을 담는 프라스틱 용기 ,또는 튜브식 용기에 머리빗을 내장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하고자 함에 있다.
-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헤어 스프레이, 무스, 헤어젤 같은 정발료는 그 특유의 셋팅력으로 모발을 고정하고 멋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필요한 것이고 또한 노년층의 힌 머리카락을 커버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검정색 염색제 등을 포함하여 최근에는 멋을 목적으로 다양한 칼라의 머리염색이 신세대 들에게 까지 패션 트렌드의 주요부분으로 자리잡으면서 모발을 물들일때 사용하는 염모제 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가스와 내용물이 같이 함유된 헤어 스프레이, 무스 등의 용기들을 제외한 헤어젤이나 염색제 들을 담는 용기들의 대부분은 프라스틱 재질로써 다소 경성 재질인 펌프식(손가락으로 용기윗부분을 상하로 눌러 내용물을 분출시키는 방식) 용기와 연성재질인 튜브식(손으로 용기를 눌러 치약처럼 짜내는 방식) 용기인데 이들 용기가 헤어젤 같은 내용물일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이 그 내용물을 손바닥에 받아서 양손으로 묻혀 비비면서 손바닥 및 손가락으로 머리카락을 접촉, 모발을 셋팅하게 되는데 셋팅이 완료되면 내용물이 묻은 손은 물로세척하게 되고 세척하지 않고 내용물이 묻은 손을 휴지, 천등으로 닦는다 하더라도 그 끈적임과 이물감으로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더구나 세면시설이나 용수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외부환경에서 장기간 머물게 될 경우에는 기존 용기인 종래의 펌프식 또는 튜브식 휴대용 헤어젤의 사용을 주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염색제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제품속에 염색제와 염색용 빗이 포함되어 있지만 각각 분리되어 있어, 특히 염색용 빗의 경우에는 취급하는 데 있어서 그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는것이다. 또한 펌프식 용기로 담겨진 헤어젤일 경우에는 절약목적으로 의도적으로 리필용 제품을 구입하여 기 사용하고 있는 펌프식 용기에 계속 보충하여 사용하지 않는한 펌프식 용기 헤어젤 제품은 한번 쓰고 버리기에는 다소 낭비적인, 비용면에서 부담이 되는 것이다.
- 본 고안에 의한 용기에 담겨지는 내용물은 종래의 헤어젤 처럼 용기가 쓰러져도 단 시간내에 흘러내리지 않는 완전 젤 상태이어야 하고 또한 염색제(헤어칼라) 또한 젤 타입으로 제조된 내용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즉 본 고안의 B(머리빗)을 A(용기)에서 빼낸 상태에서 한동안 내용물이 16(빗살틈) 부위에서 흘러 내리지 않는 젤 타입을 전제로 함. 본 고안은 헤어젤등의 내용물을 손에 묻히지 않고 C(마개)및 A(용기) 안에 내장되어 있는 B(머리빗)으로 모발을 다루려는 것이 주 목적이므로 C(마개)의 각부위가 주요 기술적 과제로 다루어져야 하는데 C(마개)의 7(C 고정핀)과 A(용기)의 6(A 고정핀)은 D(내용물)을 주입, 보충이 가능하도록 탈·부착 견고히 제작되어야겠고 C(마개)의 5(통기구)는 B(머리빗)이 삽입 및 이출이원활히 되게끔 그 구경이 적정해야 하겠다. 또한 도2의 (나)및 도3의 (나)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를 수직으로 놓았을때 D(내용물)의 수분등이 증발되지 않도록 본 고안의 통기구 구조로 고려됨이 바람직함. 2(B 캡)은 뚜껑의 고유 기능을 하기 위하여 우산 및 꼬깔형 구조로 고안 하였고 8(B 고정핀)과 17(C 볼록부)에 의하여 완전히 밀폐되게 하여 내용물을 보호하게 함. B(머리빗)의 삽입 또는 이출 동작은 본 고안의 5(통기구)의 외부공기 유입 및 방출 기능으로 인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지게끔 한 것이므로 5(통기구)가 막히지 않도록 10(여과구)부위를 기준으로 그 이상 D(내용물)이 주입되지 않아야 함.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헤어젤, 염색제 같은 D(내용물)은 B(머리빗)이 A(용기) 및 C(마개)로 부터 이출시 16(빗살틈)주변에만 묻어 나오게 되므로 적정한 양이 유출 될수 있도록 16(빗살틈)의 간격또한 각각의 용도에 따라 고려되어야 하겠다. 10(여과구) 및 13(지지대)는 B(머리빗)이 밖으로 이출시 16(빗살틈)부위를 제외한 다른부위에는 D(내용물)이 대체적으로 묻어 나오지 말아야 하므로 그 통로가 견고함 및 정밀함으로 제작되어야 함 또한 그 표면이 매끄러워 삽입도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여야함. 용기의 하단부는 그 두께 가 적정하여 용기가 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본 고안의 각각의 A. B. C(주요부위)는 투명성 있는 재질이 적용됨이 바람직함.
도 1 은 본 고안의 외형도
도 2 의 (가)는 본 고안의 정면 단면도 이고 도 2 의 (나)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 상세도.
도 3 의 (가)는 본 고안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3 의 (나)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 상세도.
도 4 는 A. B. C 각각의 주요부분의 분리및 결합을 나타내는 정면 외형도.
도 5 는 본 고안을 튜브식용기에 적용한 외형도.
도 6 은 A. B. C 각각의 분리된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용기 1 : 손잡이 10 : 여과구
B : 머리빗 2 : B 캡 11 : C 스톱퍼
C : 마개 3 : 빗대 12 : A 스톱퍼
D : 내용물 (헤어젤/염색제) 4 : 빗살 13 : 지지대
5 : 통기구 14 : 오목홈
6 : A 고정핀 15 : 용기하단부
7 : C 고정핀 16 : 빗살틈
8 : B 고정핀 17 : C 볼록부
9 : B 볼록부
- 본 고안의 구성은 A(용기)와 B(머리빗), C(마개)등으로 크게 구분되고 서로 각각 탈·부착이 되어지는데 마름모 꼴과 와인잔 형태의 혼합형으로 형성된 A(용기)의 상부에는 6(A 고정핀)이 구성되어 C(마개)의 7(C 고정핀)과 서로 결합, 탈·부착이 된다. 도2의 (가)에 나타난 바와 같이 14(오목홈)은 4(빗살) 전체 대부분이 충분히 내장될수 있는 오목하고 긴 공간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D(내용물)을 낭비없이 거의 남기지 않고 소진 되도록 구성함. 또한 A(용기)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12(A 스톱퍼)는 B(머리빗)이 A(용기)에 고정되게끔 스톱퍼 역할을 함. 1.(손잡이)와 2(B 캡), 3(빗대)등이 한몸체로 구성되어진 B(머리빗)은 머리빗손잡이의 고유기능과 B(머리빗)을 A(용기)및 C(마개)로 부터 원활히 삽입 및 이출될 수 있게끔 1(손잡이) 상부에 볼록부와 사각홈을 형성하였고 우산형 및 꼬깔형으로 구성된 2(B 캡)은 도2의 (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D(내용물)을 외부로부터 완전 밀폐하는 뚜껑기능을 하는데 즉, 2(B 캡)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8(B 고정핀)과 C(마개)의 외부에 형성되어진 17(C 볼록부)와 견고히 삽.탈 되게끔 한 것이다. 3(빗대)의 하단부에는 4(빗살)이 도3의 (가)에 나타난바와 같이 촘촘한 간격과 넓은 간격의 빗살이 구성되는데 이 부위는 모발을 다루는 부위이므로 적정한 간격으로 구성되고 16(빗살틈)은 D(내용물)이 실제로 묻어나오는 부위로 또한 적정량이 묻힐수 있도록 적정간격으로 구성됨. 또한 9(B 볼록부)는 B(머리빗)의 4(빗살)및 3(빗대)부분이 13(지지대) 안쪽 구멍을 통과하면서 완전 삽입 될시 10(여과구)턱에 미세하게 걸려 B(머리빗)을 C(마개)및 A(용기)로 부터 견고히 삽입 고정되게끔 보조역활로 구성한 것이므로 13(지지대)는 본 고안의 구조및 탄성재질로 구성됨. C(마개)는 B(머리빗)의 3(빗대)와 4(빗살)이 원활히 삽입, 이출되도록 도2및 도3에 나타난바와 같이 5(통기구) 구조가 형성 되어지는데 D(내용물)의 수분등이 쉽게 증발되지 않도록 5(통기구)의 외측부 의 방향이 아래로 향하게끔 구성되어 있고, 본 고안에 의한 용기로헤어젤을 사용하지 않고 2(B 캡)을 막아 보관 시에는 5(통기구)의 외측부도 완전 밀폐되므로 보관이 완전함. 또한 C(마개)는 상부에 11(C 스톱퍼)가 형성 12(A 스톱퍼)와 동일한 B(머리빗)의 스톱퍼 역활을 하고 C(마개)의 안쪽내부에는 5(통기구)를 포함한 13(지지대)및 10(여과구)가 견고히 구성되어 3(빗대)와 4(빗살)의 수직 삽·탈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D(내용물)은 효과적으로 걸러져 여과될수 있게끔 구성된다. 5(통기구)의 주역활은 B(머리빗)의 4(빗살)을 포함한 3(빗대)가 D(내용물)이 차있는 A(용기)안으로부터 삽입 및 이출시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한것인데 즉, 삽입시에는 3(빗대)및 4(빗살) 부피만큼 A(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야 하고 이출시에는 그 반대 작용을 하여야 하므로 적정한 구경의 5(통기구) 구조로 구성 되어짐.
첫째, 내용물을 손에 묻히지 않고 본 고안에 의하여 모발을 세팅및 염색할 수 있는 것이다. A(용기)로 부터 B(머리빗)을 빼내면 자동적으로 적정량의 D(내용물)이 16(빗살틈)에 묻어나오기 때문에 빗질만으로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모발을 셋팅및 염색 할 수 있다. 특히, 세면 시설및 용수가 없는 야외에서 그 실용성이 적용될 것이다. 또한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튜브식 용기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의 B(머리빗)부분중 3(빗대)의 평평한 부위에 문구 및 그림을 인쇄, 표현할 수 있어 제품 설명. 홍보. 광고등 각종 판촉 효과를 줄수 있다.
세째, 본 고안은 일회용이 아닌 D(내용물)을 계속 보충(리필)하여 사용가능하므로 경제적이고, 또한 본 고안의 15(용기 하단부)가 14(오목홈)과 더불어 4(빗살)부위만 삽입될 수 있도록 칼집형태로 잘룩하게 고안하였으므로 거의 낭비없이 내용물을 사용할수 있음.
네째, 본 고안은 별도의 보호캡이 필요없이 B(머리빗)자체에 2(B 캡)=마개 기능을 겸하고 있으므로 사용이 끝난후 도 2의 (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완전하게 내용물을 보호하게 끔 고안 하였음.

Claims (1)

  1. 마름모 꼴과 와인잔 형의 혼합형으로 형성된 A(용기)는 4(빗살) 부위 전체가 충분히 삽입되어지는 오목한 공간을 구비한 14(오목홈)이 이루어지고 A(용기)의 상부에는 6(A 고정핀)및 12(A 스톱퍼)가 형성되어 C(마개)의 7(C 고정핀)과 서로 결합 탈·부착 되어지고 3(빗대)및 4(빗살)을 포함한 꼬깔형태인 2(B 캡)과 1(손잡이) 등이 한 몸체로 형성되어진 B(머리빗)은 13(지지대)를 통과하면서 11(C 스톱퍼)및 12(A 스톱퍼)에 다다름과 동시에 8(B 고정핀)은 17(C 볼록부)와 서로 결합, 고정되면서 5(통기구)를 막음과 동시에 13(지지대)및 10(여과구)를 통과한 9(B 볼록부)는 B(머리빗)이 10(여과구)에 걸려 완전 삽입, 닫는 기능을 함과 B(머리빗)이 A(용기)에 삽입되는 과정에는 A(용기) 내부공기가 밖으로 배출되고 또한 B(머리빗)이 이출될 때에는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기능을 하는 5(통기구)가 포함된 C(마개)는 B(머리빗)이 이출시 D(내용물)이 16(빗살틈)주변에만 묻어나오는 역활및 수직 이출을 하게하는 10(여과구)및 13(지지대)가 형성 A(용기)에 삽탈 되면서 아울러 A(용기)는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성재질의 튜브식 용기에도 B(머리빗) 및 C(마개)가 적용되어 삽·탈 되어짐을 그 특징으로 하는 머리빗이 내장된 용기에 관한 것.
KR2020000004613U 2000-02-19 2000-02-19 머리빗이 내장된 용기 KR200190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13U KR200190736Y1 (ko) 2000-02-19 2000-02-19 머리빗이 내장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13U KR200190736Y1 (ko) 2000-02-19 2000-02-19 머리빗이 내장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736Y1 true KR200190736Y1 (ko) 2000-08-01

Family

ID=1964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613U KR200190736Y1 (ko) 2000-02-19 2000-02-19 머리빗이 내장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7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674B1 (ko) * 2018-07-11 2018-10-04 주식회사 딥포인트 빗 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674B1 (ko) * 2018-07-11 2018-10-04 주식회사 딥포인트 빗 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WO2020013385A1 (ko) * 2018-07-11 2020-01-16 주식회사 딥포인트 빗 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473B2 (en) Dual type cosmetics case
KR100789283B1 (ko) 크림타입 화장품 토출용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190736Y1 (ko) 머리빗이 내장된 용기
KR100843642B1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436166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489350B1 (ko) 브러시가 구비된 염색약 튜브
KR100398162B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KR200380074Y1 (ko)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JP2007135672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218694Y1 (ko) 화장용크림용기
KR20100001626U (ko) 염색용 빗
US10166562B2 (en) Protective cap with detachable nozzle and nozzle holder
KR200419921Y1 (ko) 용액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헤어브러시
KR200430507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용기
KR200325777Y1 (ko) 개량형 로션Type 파스용기
JP3688343B2 (ja) 小形液体塗布容器
CN201109588Y (zh) 一种洗液瓶
KR200270345Y1 (ko) 화장솔
KR200173620Y1 (ko) 매니큐어용기
KR200260197Y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JP2593428Y2 (ja) ブラシ付き注出容器
JPS5939935Y2 (ja) 睫毛用化粧筆容器
KR960009477Y1 (ko) 화장품 용기 뚜껑의 외부 투명캡 괘탈장치
KR200190338Y1 (ko) 매니큐어 용기
KR20230147919A (ko)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