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447Y1 - 금박인쇄물 - Google Patents

금박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447Y1
KR200190447Y1 KR2020000006784U KR20000006784U KR200190447Y1 KR 200190447 Y1 KR200190447 Y1 KR 200190447Y1 KR 2020000006784 U KR2020000006784 U KR 2020000006784U KR 20000006784 U KR20000006784 U KR 20000006784U KR 200190447 Y1 KR200190447 Y1 KR 200190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foil
printed
layer
gold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호
Original Assignee
정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979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21117B1/ko
Application filed by 정병호 filed Critical 정병호
Priority to KR2020000006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4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4Metallic leaves or foils, e.g. gold leaf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박을 바탕배경으로 하여 인쇄하는 금박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금박인쇄물은 얇고 넓게 편 금박층과; 한쪽 면은 인쇄층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금박층에 접착되는 베이스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금박층과 베이스필름은 접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실용적이고 품질이 우수하며 종류가 다양한 금박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박인쇄물 {Print Matter with Gold Leaf}
본 고안은 금박을 바탕배경으로 하여 인쇄하는 금박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금박 위에 인쇄하는 기술로는, 금박 위에 옵셋(Offset) 인쇄를 이용하는 방법, 금박 위에 실크스크린(Silk Screen) 인쇄를 이용하는 방법, 용지에 금박을 접착하고 금박 위에 직접 인쇄하는 방법 등이 있다.
옵셋 인쇄를 이용하여 금박인쇄물을 제작할 경우, 인쇄내용을 고무 롤(Roll)에 전사하여 인쇄하여야 하는데, 인쇄 도중 연성, 전성이 큰 금박이 롤에 눌려서펴지므로 좋은 인쇄물을 만들기 어렵다. 실크스크린 인쇄를 이용할 경우, 실크스크린의 메쉬를 작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단색사진은 가능하나 컬러사진 등을 제대로 인쇄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지 등의 용지에 금박을 접착하고 금박 위에 옵셋 인쇄의 방법으로 직접 인쇄하는 방법 등도 고려할 수 있으나 금 자체에 인쇄해야 하므로 색감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고 비용도 많이 든다.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들로 인하여 우수한 금박인쇄물을 얻기가 어려워 금박인쇄물이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와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실용적이며 종류가 다양한 금박인쇄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인쇄물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박인쇄물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박인쇄 그림카드의 정면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금박인쇄물 10 : 금박층
20 : 베이스필름 30 : 인쇄층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금박을 바탕으로 한 금박인쇄물에 있어서,
한쪽 면은 인쇄층이 형성된 투명한 베이스필름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인쇄층이 형성된 면의 다른 쪽 면에 접착되는 금박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박인쇄물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금박인쇄물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한쪽 면에만 인쇄가 된 것(즉, 단면인쇄물)이고, 도 2는 양쪽 면에 다 인쇄가 된 것(즉, 양면인쇄물)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박인쇄 그림카드의 정면도와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화살표로표시된 방향이 보는 방향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금박인쇄물(1, 3, 5)은 베이스필름(20), 인쇄층(30), 금박층(10)으로 구성된다. 도 3과 같이 인쇄물 전체를 코팅부재(40)로 감싸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투명의 베이스필름(20) 한쪽 면에는 금박층(10)에 접착되고 다른 한쪽 면 위에는 글자나 그림 등을 인쇄한 인쇄층(30)이 형성된다. 베이스필름(20)의 재질은 유연하나, 인쇄롤 사이에서 변형되거나 늘어나지 않는 플라스틱 수지가 바람직하다. 특히 페트(PET; Polyethylen Terephthalate)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 PVC(Polyvinyl Chloride; 염화비닐) 등의 비닐 수지나 그밖의 다른 플라스틱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ABS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필름(20)의 두께는 100㎛ 정도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층(30)은 베이스필름(20) 상에 글자, 그림 등이 인쇄된 층으로서, UV(Ultraviolet) 잉크(당업계에서 통상 사용하는 용어임)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 잉크는 햇빛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색을 잘 발현할 수 있고 인쇄 바탕지에 점착되는 특징을 지니므로 베이스필름(20) 위에 인쇄하기에 적합하다.
금박층(10)은 순금(바람직하기로는 99.9% 이상)을 얇게 펴서 형성한 층으로서, 두께는 약 0.3~0.4㎛정도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필름(20)과 금박층(10) 사이에는 접착제로 접착하여 그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된다. 접착제는 뒤에 상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금박인쇄물(3)은 2장의 베이스필름(20)의 각각의 한쪽 면에 인쇄층(30)을 형성하고 인쇄층(30)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두 장 배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금박층(10)이 끼워진다. 하나의 금박층(10)은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두 장의 베이스필름(20)에 접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물(5)은 도 2에 도시한 인쇄물(3)에 보호코팅층을 둔 것이다. 코팅부재(40)는 인쇄물 전체를 감싸서 코팅하는 부분으로서, 투명한 수지필름재료로 이루어진다. 통상 비닐수지시트의 코팅부재가 사용된다. 도 3과 같이 인쇄층(30)은 그림 또는 글자를 표출한다. 이때 그림 또는 글자 외의 바탕은 금박(10)이 그대로 드러나므로 금색 바탕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박인쇄물(5)의 제조공정에 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박인쇄물(5)은 베이스필름(20) 상에 원하는 그림, 글자 또는 기호 등을 UV 잉크로 인쇄하여 인쇄층(30)을 형성한 후, 금박층(10)과 베이스필름(20)을 접착한 후 전체를 코팅부재(40)로 코팅함으로써 완성된다.
먼저 베이스필름(20)에 인쇄를 행한다. 베이스필름(20) 상에 인쇄하는 방법으로는, 인쇄할 내용을 스캔(Scan) 받아서 프린터로 인쇄하는 방법, 옵셋(Offset) 인쇄 등이 있다. 옵셋 인쇄는 잉크를 한 번 롤에 전사한 다음 베이스필름(20)에 인쇄하는 방식이다. 인쇄하기 위하여 먼저 그림이나 사진 등의 화상은 스캔(Scan)받아서 입력하고, 문자는 자판에서 타이핑(Typing)하여 입력한다. 비슷한 방법으로 디자인(Design)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입력한 원고를 출력하여 필름 상에 제판하는데, 원색의 경우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의 4가지 판을 각각 만들어야 한다. 제판 후에는 쇄판을 제작하는 소부 과정을 거친다. 옵셋 인쇄기로 인쇄하여 가공한 후 베이스필름(20)과 금박층(10)을 접착시킨다.
금박층(10)과 베이스필름(20)을 접착하는 물질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화합물이 주성분이고, 초산 에틸과 톨루엔이 주용제인 용제형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용제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한 예로서, NA-634가 있다. (공급처 : MAMMI Industries Co., Ltd.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32-2 Tel 0341-982-1773) 인쇄한 베이스필름(20)의 인쇄층(30) 반대 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스티커처럼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스티커처리를 한 후, 금박층(10)을 접착시킨다. 인쇄된 베이스필름(20)과 금박층(10)이 완전히 접착된 후, 전체를 코팅부재(40)로 코팅처리하면 도 3과 같은 금박인쇄물(5)이 완성된다.
본 고안의 금박인쇄물(5)은 금박 위에 인쇄물이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구성되므로, 원 인쇄물의 흰색이나 배경바탕은 노란 금색으로 나타나고, 인물의 경우 얼굴 색도 실제와는 다르게 붉은 색 쪽으로 편향되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바탕의 금색이 더해지는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흰색의 경우 노란색, 빨간색, 파란색을 약간 가하여 색도를 조절한다. 망점(가로세로 1인치의 사각형내의 점의 수를 통상 가리킨다.)을 기준으로 하여 Y(Yellow)는 전체 망점의 16~24%가 인쇄되고, M(Magenta)은 전체 망점의 8~12%가 인쇄되고, C(Cyan)는 전체망점의 3~5% 정도가 인쇄되는 정도의 비율로 조합하여 흰색을 재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비율의 범위 내에서도 Y(Yellow)는 20%, M(Magenta)은 10%, C(Cyan)는 4%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붉은 색도 약하게 조절하여야 하므로, 사람의 얼굴 색의 경우는 원래 (흰색용지에 인쇄할 경우) M(Magenta)이 전체 망점의 15~20% 정도가 되도록 조합되나, 약 1/6 내지 1/4(바람직하기로는 1/5)을 감한다. 1/5 감하면 M이 전체망점의 12~16%의 구성비율로 인쇄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고안의 금박인쇄물은 그림카드, 명함, 액자용 대형사진, 앨범용 기념사진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인쇄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품위 있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우수한 금박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금박인쇄물은 종래기술의 금박인쇄의 한계를 뛰어 넘어, 품위 있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우수한 금박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금박이 변형되지 않으므로 인쇄상태가 양호하고, 외부를 코팅하여 내부 금박층이 보호될 뿐 아니라, 색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흰색 또는 얼굴 색에서의 자연스러움이 더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실용적이며 형태와 종류가 다양한 금박인쇄물이 제공된다.

Claims (7)

  1. 금박을 바탕으로 한 금박인쇄물에 있어서,
    한쪽 면은 인쇄층이 형성된 투명한 베이스필름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인쇄층이 형성된 면의 다른 쪽 면에 접착되는 금박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박인쇄물.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를 감싸서 코팅하는 표면코팅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박인쇄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페트(PET) 수지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두께가 8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박인쇄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박층의 두께는 0.3~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박인쇄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과 금박층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화합물이 주성분이고, 초산 에틸과 톨루엔이 주용제인 용제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박인쇄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에서 그림의 흰색으로 인쇄되는 부분은 전체 망점의 Y(Yellow)는 16~24%, M(Magenta)은 8~12%, C(Cyan)는 3~5%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박인쇄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에서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부분은 색을 실제와 가깝게 구현하기 위하여 망점을 기준으로 하여 M(Magenta)의 망점에 대한 비율이 1/4∼1/6 감소되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박인쇄물.
KR2020000006784U 1999-11-10 2000-03-10 금박인쇄물 KR200190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784U KR200190447Y1 (ko) 1999-11-10 2000-03-10 금박인쇄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790A KR100321117B1 (ko) 1999-11-10 1999-11-10 금박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006784U KR200190447Y1 (ko) 1999-11-10 2000-03-10 금박인쇄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790A Division KR100321117B1 (ko) 1999-11-10 1999-11-10 금박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447Y1 true KR200190447Y1 (ko) 2000-08-01

Family

ID=2663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784U KR200190447Y1 (ko) 1999-11-10 2000-03-10 금박인쇄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4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136A (ko) 2017-09-26 2019-04-03 김연희 이중 이미지를 가진 금박 인쇄물 제조 방법 및 금박 인쇄물
KR20220034595A (ko) * 2020-09-11 2022-03-18 배윤진 일러스트가 코팅된 금박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136A (ko) 2017-09-26 2019-04-03 김연희 이중 이미지를 가진 금박 인쇄물 제조 방법 및 금박 인쇄물
KR101969226B1 (ko) 2017-09-26 2019-04-15 김연희 이중 이미지를 가진 금박 인쇄물 제조 방법 및 금박 인쇄물
KR20220034595A (ko) * 2020-09-11 2022-03-18 배윤진 일러스트가 코팅된 금박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8219B1 (ko) * 2020-09-11 2023-10-11 배윤진 일러스트가 코팅된 금박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7805B2 (en) Unidirectional graphic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US4666757A (en) Color printed record
US6258429B1 (en) One-way see-thru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926309B1 (en) Modification of receiver surface to reject stamp cancellation information
WO1987006195A1 (en) Image formation on object
KR200190447Y1 (ko) 금박인쇄물
US7018501B1 (en) One-way see-thru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21117B1 (ko) 금박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US5249828A (en) Printed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18012215A (ja) 装飾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7735251B2 (en) Card carrying business communication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4509876B2 (ja) 光学フィルター
JP2773122B2 (ja) 透視可能な装飾表示パネル製造用転写材
JP3551636B2 (ja) 化粧シート
EP1431060B1 (en) Use of a self-adhesive coating
US9343081B2 (en) Magnetic business communication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03191656A (ja) 中間転写記録媒体およびカードの製造方法
JP3055845U (ja) エンボス模様を有する文字シート
JP3103312B2 (ja) 印刷カード
JP2674056B2 (ja) 着色表示カードの製造方法
JP3146581B2 (ja) 化粧材の製造方法
US20030207092A1 (en) Picture-on-picture decal sheet
Shirai New thermal dye transfer printing applications by using an intermediate transfer printing method
JP2005081833A (ja) 感圧転写シート
JPS63318586A (ja) 装飾表示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