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962Y1 -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있는 녹즙기 - Google Patents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있는 녹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962Y1
KR200189962Y1 KR2019980015143U KR19980015143U KR200189962Y1 KR 200189962 Y1 KR200189962 Y1 KR 200189962Y1 KR 2019980015143 U KR2019980015143 U KR 2019980015143U KR 19980015143 U KR19980015143 U KR 19980015143U KR 200189962 Y1 KR200189962 Y1 KR 200189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screw
juicer
gea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627U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김종부
주식회사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부, 주식회사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김종부
Priority to KR2019980015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96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6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6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9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5Contro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rotary pressing members, other than worms or screws, e.g. rollers, rings,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엽채 스크류와 근채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한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는 녹즙기에 관한 것으로, 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입력을 적당히 감속시키는 수개의 감속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용 감속기가 장착된 구동장치와, 엽채 스크류가 장착된 착즙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전달용 감속기의 감속출력축에 상기 착즙장치에 장착된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을 착탈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 상기 착즙장치 자체도 커플링에 의하여 구동장치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녹즙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용 감속기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의 소형입력기어에 치합되는 대형감속기어와 상기 대형감속기어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소형감속기어에 치합되어 감속회전하는 대형출력기어와, 상기 대형출력기어의 일측으로 돌출된 채 다각형 내면이 형성된 중공부과 관통공을 동일축선상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감속출력축 및 상기 관통공에 지지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채 일측에는 대형감속기어에 치합되는 소형증속기어가 축착되어 있고, 타측에는 다각형 축부가 상기 감속출력축의 중공부 끝단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는 증속출력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감속출력축과 증속출력축이 동일축선상에서 함께 회전작동하면서 엽채 스크류와 근채 스크류를 선택적으로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는 녹즙기
본 고안은 엽채 스크류와 근채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한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는 녹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즙기는 채소의 잎사귀(葉菜)를 재료로 하여 즙을 내는 기기로 알려져 있으며, 즙을 내는 장치로서는 원통상으로 된 회전몸체에 나선상의 스크류날개가 달린 엽채 스크류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한 엽채 스크류는 저속(통상 100rpm 내외)으로 회전작동시켜야만 효과적으로 즙을 낼 수 있다.
종래의 녹즙기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출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박스가 장작된 구동장치와 엽채 스크류가 장착된 착즙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구동장치의 감속기어박스 전면에는 커플링이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착즙장치에는 상기한 커플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착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어박스에는 모터의 회전출력을 소망하는 회전속도로 감속시키기 위하여 크고 작은 수개의 기어를 장착하여 적절히 치합하는 구조로서 출력기어가 원하는 회전비로 감속되게 하는데, 상기한 출력기어는 대체로 대형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대형기어의 중심부에는 중공부의 내면에 다각면이 형성된 출력축이 착즙장치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착즙장치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은 상기 출력축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다각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이 다각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녹즙기는 구동장치에 장착된 감속기어박스의 출력축이 단일축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 하나만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엽채 스크류만을 저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엽채만을 착즙할 수 있을 뿐 채소의 뿌리(根菜)는 착즙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한편, 상기와 같은 녹즙기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분쇄칼날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후드 믹서기(food mixer)가 있는데, 이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분쇄칼날이 재료를 잘게 절단할 수는 있어도 즙을 내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동장치에 장착된 동력전달용 감속기가 동일 축선상에서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하는 두 종류의 출력축을 구성하는 수단으로 착즙장치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는 엽채 스크류의 경우는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근채 스크류의 경우는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한 대의 녹즙기로서 엽채와 근채를 효율적으로 착즙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에서는 당근과 같은 채소의 뿌리 종류인 근채를 착즙하는 근채 스크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입력을 적당히 감속시키는 수개의 감속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용 감속기가 장착된 구동장치와, 엽채 스크류가 장착된 착즙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전달용 감속기의 감속출력축에 상기 착즙장치에 장착된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을 착탈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 상기 착즙장치 자체도 커플링에 의하여 구동장치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녹즙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용 감속기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의 소형입력기어에 치합되는 대형감속기어와 상기 대형감속기어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소형감속기어에 치합되어 감속회전하는 대형출력기어와;
상기 대형출력기어의 일측으로 돌출된 채 다각형 내면이 형성된 중공부과 관통공을 동일축선상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감속출력축과; 및
상기 관통공에 지지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채 일측에는 대형감속기어에 치합되는 소형증속기어가 축착되어 있고, 타측에는 다각형 축부가 상기 감속출력축의 중공부 끝단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는 증속출력축;
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감속출력축과 증속출력축이 동일축선상에서 함께 회전작동하면서 엽채 스크류와 근채 스크류를 선택적으로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착즙장치에 장착된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은 상기 증속출력축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축의 외경부는 감속출력축의 중공부 내경과 일치함과 동시 다각형 내면에 결속되는 다각형 외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을 동력전달용 감속기의 감속출력축에 결합시켜 저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 상기 착즙장치에 장착되는 근채 스크류의 결합축은 상기 감속출력축의 중공부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증속출력축의 다각형 축부와 결속되는 다각형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근채 스크류를 동력전달용 감속기의 증속출력축에 겹합시켜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단면한 녹즙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동력전달용 감속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 5는 엽채스크류를 사용할 때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은 근채스크류를 사용할 때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장치 2 : 동력전달용 감속기
3 : 대형출력기어 4 : 증속출력축
5 : 커플링 6 : 착즙장치
7 : 엽채 스크류 8 : 근채 스크류
11 : 모터 12 : 소형입력기어
21 : 기어박스 22 : 대형감속기어
23 : 소형감속기어 31 : 감속출력축
32,33 : 지지베어링 311 : 중공부
312 : 다각형 내면 313 : 관통공
41 : 소형출력기어 42 : 다각형 축부
61 : 결합부 71,84 : 결합축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단면한 녹즙기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동력전달용 감속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구동장치(1) 내부에는 동력원인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축에 축착된 입력기어(1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용 감속기(2)가 장설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용 감속기(2)는 상기 모터(11) 케이스에 고정됨과 동시 구동장치(1)의 케이스에도 고정설치되는 기어박스(21)와 그 내부에 수개의 감속 및 증속기어들이 상호간에 치합되고 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기어박스(21) 내부에는 모터(11)의 소형입력기어(12)에 치합되는 대형감속기어(22)와 상기 대형감속기어(22)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소형감속기어(23)가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군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소형감속기어(23)에는 대형출력기어(3)가 치합되어 있다.
상기 대형출력기어(3)에 일체로 형성된 감속출력축(31)이 기어박스(21)에 고정된 베어링(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출력축(31)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부(311) 내면에는 다각형 내면(3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다각형 내면(312)의 반대측 즉, 상기 대형출력기어(3)의 중심부에 관통공(313)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중공부(311)와 관통공(313)에 의해 대형출력기어(3)와 감속출력축(31)의 중심부가 동일축선상에서 서로 관통된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동일축선상에서 서로 연통하는 관통공(313)과 중공부(311)에 본 고안이 특징으로 하는 증속출력축(4)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증속출력축(4)은 그 중간부분이 관통공(313)에 착설되는 지지베어링(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 그 선단부도 기어박스커버(211)에 착설된 지지베어링(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증속출력축(4)은 대형출력기어(3)의 동일축선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증속출력축(4)의 선단부에는 상기 대형감속기어(22)에 치합되는 소형증속기어(41)가 축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감속출력축(31)의 중공부(311)측으로 길게 연장된 후단부는 외면이 다각형으로 된 다각형 축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대형출력기어(3)의 감속출력축(31)과 증속출력기어(4)의 다각형 축부(42)가 노출되는 부분에는 커플링(5)이 착설되는데, 상기 커플링(5)은 기어박스(21)에 고정부착되는 고정체(51)와 상기 고정체(51)에 회전이 가능하게 착설되어 착즙장치(6)의 결합부(61)를 체결하는 회전체(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5)의 회전체(52) 내면에는 결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즙장치(6)의 결합부(61)에는 상기한 결착홈에 맞물리는 결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결착홈과 결착돌기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상태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착즙장치(6)의 케이스(62)는 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설되는 엽채 스크류(7) 또는 근채 스크류(8)를 교체가능하도록 분해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2)의 선단측에는 찌꺼기 배출구(63)가 형성된 선단커버체(64)가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케이스(62)의 상부에는 내용물 투입구(65)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여과망체(도시 생략)가 있는 즙배출구(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엽채 스크류(7)는 그 외주면과 원추형 선단부에 종래 기술과 같이 나선형으로 된 이송날개부(날개의 피치간격이 넓은 부분)와 압착날개(날개의 피치간격이 좁은 부분) 그리고 분쇄날개(원추형부분에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분)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엽채 스크류(7)의 결합축(71)은 감속출력축(31)의 중공부(311)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부(72) 및 중공부(311) 안쪽으로 형성된 다각형 내면(312)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다각형 외면(73)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결합축(71)중심부에는 증속출력축(4)의 외경보다 큰 중공 수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근채 스크류(8)의 경우는 절단부분과 이송부분 그리고 압착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한 절단부분에는 근채를 잘게 절단할 수 있는 다수의 절단칼날(81)들이 원추형 선단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송부분과 압착부분에는 나선상으로 된 이송날개(82)와 압착날개(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근채 스크류(8)의 결합축(84)은 그 외경이 감속출력축(31)의 중공부(311) 및 다각형 내면(312)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상기 증속출력축(4)의 다각형 축부(42)를 긴밀하게 감싸면서 삽입되는 다각형 중공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엽채 및 근채를 재료로 하여 착즙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엽채류를 재료로 하여 착즙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착즙장치(6)의 케이스(62) 내부에 엽채 스크류(7)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착즙장치(6)의 결합부(61)에 돌출된 엽채 스크류(7)의 결합축(71)을 동력전달용 감속기(2)에 장착된 감속출력축(31)의 중공부(31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결합축(71)의 외경부(72)와 다각형 외면(73) 각각은 상기 중공부(31) 내경과 다각형 내면(312)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므로 상기 엽채 스크류(7)는 감속출력축(31)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결합축(71)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 수용부(74) 속으로는 증속출력축(4)의 다각형 축부(42)가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한 다격형 축부(42)는 중공 수용부(7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엽채 스크류(7) 자체는 증속출력축(4)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엽채 스크류(7)를 감속출력축(31)에 삽착시켰을 때에는 착즙장치(6)의 결합부(61)가 커플링(5)의 고정체(51)에 밀착된 상태가 되며, 이어서 회전체(52)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착즙장치(6)는 구동장치(1)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장치(1)의 작동스위치를 온(on)조작하게 되면 모터(11)의 회전축에 축착된 소형입력기어(12)에 치합된 대형감속기어(22)가 적당히 감속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대형감속기어(22)와 동일한 회전비로 감속회전하는 소형감속기어(23)에 치합된 대형출력기어(3)는 더욱 감속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대형출력기어(3)의 다각형 내면(312)에 다각형 외면(73)이 결속된 엽채 스크류(7)는 소망하는 감속 회전수(98rpm 내·외)로 저속회전작동을 하게 되어 내용물 투입구(65)로 투입된 엽채를 효율적으로 착즙하게 되는 것이며, 한편 상기 대형출력기어(3)의 관통공(313)에 착설된 지지베어링(32)과 기어박스커버(211)의 지지베어링(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증속출력축(4)에 축착된 소형출력기어(41)가 상기 대형감속기어(22)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증속출력기어(4)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인데(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감속출력축(31)의 중공부(311)에 길게 연장된 다각형 축부(42)는 엽채 스크류(7)의 중공 수용부(74)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엽채 스크류(7)의 저속회전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고속으로 공회전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엽채를 재료로 하여 착즙작동을 할 경우에는 엽채 스크류(7)를 착즙장치(6)에 장착한 다음 상기 엽채 스크류(7)의 결합축(71)을 감속출력축(31)에 겹합시켜 상기 엽채 스크류(7)를 저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엽채를 효율적으로 착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근채를 착즙하고자 할 경우에는 착즙장치(1)의 케이스(62)를 분리하여 엽채 스크류(7)를 해체하고 근채 스크류(8)를 장착한 후 케이스(62)를 결합한 다음 착즙장치(6)의 결합부(61)에서 돌출된 근채 스크류(8)의 결합축(84)을 증속출력축(4)의 다각형 축부(42)에 겹합시키는데, 이때에는 도 7과 같이 다각형 축부(42)가 결합축(84)의 중심부에 형성된 다각형 중공부(85)에 긴밀하게 끼인 상태가 되는 반면에 상기 결합축(84)의 외면은 감속출력축(31)의 중공부(311) 및 다각형 내면(312)과 이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증속출력축(4)의 소형출력기어(41)의 외경은 소형입력기어(12)와 동일한 규격(또는 조금 크거나 조금 작은 규격)으로 구성되어 상기 소형입력기어(12)와 함께 대형감속기어(22)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소형출력기어(41)는 모터(11)의 소형입력기어(12)와 같은 회전수로 고속회전(1500∼2000rpm)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장치(1)의 모터(11)를 온조작하면 소형입력기어(1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대형감속기어(22)가 소형출력기어(41)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서 증속출력축(4)의 다각형 축부(42)에 결합된 근채 스크류(8)는 고속으로 회전작동하게 되는 한편, 감속출력축(31)은 저속으로 공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증속출력축(4)에 결합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근채 스크류(8)에 형성된 다수의 절단칼날(81)이 내용물 투입구(65)로 투입되는 내용물을 잘게 절단하면서 이송날개(82)측으로 밀어내며, 이송날개(82)는 절단된 내용물을 일차적으로 압축하면서 압착날개(83)로 밀어내게 되며, 원추형 선단부에 형성된 압착날개(83)는 내용물을 강하게 압착하여 짜내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즙은 즙배출구(66)로 흘러내리게 되는 반면에 즙이 추출된 찌꺼지는 찌꺼기 배출구(63)로 배출되므로서 내용물이 근채일 경우에도 착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구동장치와 착즙장치로 구성되는 녹즙기에 있어 상기 구동장치에 장착되는 동력전달용 감속기에 감속출력축과 증속출력축을 동일축선상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착즙장치에는 엽채 스크류와 근채 스크류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착즙하고자 하는 재료가 엽채일 경우에는 착즙장치에 엽채 스크류를 설치한 다음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을 감속출력축에 결합하여 엽채 스크류를 저속으로 회전작동시키므로서 엽채를 효율적으로 착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착즙하고자 하는 재료가 근채일 경우에는 착즙장치에 근채 스크류를 교체설치한 다음 상기 근채 스크류의 결합축을 증속출력축에 결합하여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키므로서 근채를 효율적으로 착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한 대의 녹즙기를 이용하여 엽채와 근채 모두를 착즙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입력을 적당히 감속시키는 수개의 감속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용 감속기가 장착된 구동장치와, 엽채 스크류가 장착된 착즙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전달용 감속기의 감속출력축에 상기 착즙장치에 장착된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을 착탈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 상기 착즙장치 자체도 커플링에 의하여 구동장치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녹즙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용 감속기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의 소형입력기어에 치합되는 대형감속기어와 상기 대형감속기어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소형감속기어에 치합되어 감속회전하는 대형출력기어와;
    상기 대형출력기어의 일측으로 돌출된 채 다각형 내면이 형성된 중공부과 관통공을 동일축선상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감속출력축과; 및
    상기 감속출력축의 관통공에 지지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채 일측에는 대형감속기어에 치합되는 소형증속기어가 축착되어 있고, 타측에는 다각형 축부가 상기 감속출력축의 중공부 끝단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는 증속출력축;
    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감속출력축과 증속출력축이 동일축선상에서 함께 회전작동하면서 엽채 스크류와 근채 스크류를 선택적으로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는 녹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장치에 장착된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의 중심부에는 상기 증속출력축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축의 외경부는 감속출력축의 중공부 내경과 일치함과 동시 다각형 내면에 결속되는 다각형 외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엽채 스크류의 결합축을 동력전달용 감속기의 감속출력축에 결합시켜 저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는 녹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장치에 장착되는 근채 스크류의 결합축 중심부에는 상기 감속출력축의 중공부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증속출력축의 다각형 축부와 결속되는 다각형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근채 스크류를 동력전달용 감속기의 증속출력축에 겹합시켜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는 녹즙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근채 스크류는 내용물이 투입되는 부분에 원추형 선단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다수열 배열되어 내용물을 절단하는 다수의 절단칼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는 녹즙기.
KR2019980015143U 1998-08-12 1998-08-12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있는 녹즙기 KR200189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143U KR200189962Y1 (ko) 1998-08-12 1998-08-12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있는 녹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143U KR200189962Y1 (ko) 1998-08-12 1998-08-12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있는 녹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27U KR20000004627U (ko) 2000-03-06
KR200189962Y1 true KR200189962Y1 (ko) 2000-08-01

Family

ID=1953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143U KR200189962Y1 (ko) 1998-08-12 1998-08-12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있는 녹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9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199B1 (ko) * 2002-04-11 2005-04-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녹즙장치겸용 정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2109A (zh) * 2019-12-03 2020-02-11 余姚市万邦电机有限公司 一种兼具榨汁与搅拌功能的料理机
WO2023249319A1 (ko) * 2022-06-22 2023-12-28 주식회사 휴롬 단일 출력축을 고속 또는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이용한 믹서기로 겸용 사용이 가능한 착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199B1 (ko) * 2002-04-11 2005-04-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녹즙장치겸용 정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27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079Y1 (ko) 착즙기
JP3193618U (ja) 多機能ジューサー
KR20150067014A (ko)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EP4014794A1 (en) Juice extractor capable of serving as mixer
KR200189962Y1 (ko) 두 종류의 녹즙 스크류를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작동시킬 수있는 녹즙기
US11745375B2 (en) Cutter assembly and fruit and vegetable cutter using the cutter assembly
KR102216074B1 (ko) 다기능 주서기
CN203662514U (zh) 一种水果榨汁机
WO2021088764A1 (zh) 榨汁机和搅拌机兼容动力装置
KR100483199B1 (ko) 녹즙장치겸용 정미기
KR20210019919A (ko) 믹서기로 겸용 사용이 가능한 착즙 주스기
KR20120012039A (ko)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220800739U (zh) 榨汁组件及榨汁机
KR200346852Y1 (ko) 식품분쇄기
KR960003075B1 (ko) 2개의 회전속도로 작동하는 착즙기
KR950013532B1 (ko) 녹즙기
CN213468075U (zh) 一种操作灵活省力的小型手摇切菜器
KR200362953Y1 (ko) 착즙기
KR200238985Y1 (ko) 믹서기
KR20020082956A (ko) 믹서기
CN219803301U (zh) 一种果蔬打浆装置
CN214743186U (zh) 一种差速多轴驱动装置
CN217962783U (zh) 一种切菜器刀盘安装结构及小型电动切菜器
CN217313733U (zh) 一种刀盘组件及搅拌机
KR100920155B1 (ko)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