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715Y1 -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715Y1
KR200189715Y1 KR2020000004971U KR20000004971U KR200189715Y1 KR 200189715 Y1 KR200189715 Y1 KR 200189715Y1 KR 2020000004971 U KR2020000004971 U KR 2020000004971U KR 20000004971 U KR20000004971 U KR 20000004971U KR 200189715 Y1 KR200189715 Y1 KR 200189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anel
metal panel
panel body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회랑
Original Assignee
우정특수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특수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정특수기업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에 관한 것으로, 패널몸체의 상부 양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각각의 상부날개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져 형성되고, 상기 상부날개 사이의 패널몸체에는 상부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하부날개가 대칭으로 형성되되 아래방향으로 절곡되어져 형성되고, 상기 하부날개 사이의 패널몸체에는 하부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날개의 각각의 고정홈에 다수의 고정클립이 끼워지고, 상기 고정클립의 타측부는 건축물의 지붕 또는 내외벽에 고정되어져서 시공이 빠르고 건축물의 내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A decorative a metal panel for architecture }
본 고안은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이아몬드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지붕 또는 건물 외벽 등을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시공하여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는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건물을 건축시에는 주로 조립식 건축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고, 이러한 시공방법은 우선 건물의 골조를 구축한 후, 건물의 각층에 해당하는 부분에 슬라브를 타설함과 동시에 옹벽을 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지어진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면에 대리석과 같은 자연석이나 인조석 등을 부착시공하여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비바람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도 있고, 단열 및 방수효과를 갖도록 하는 외장시공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지붕 및 내외장시공방법으로는 석재패널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금속패널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석재패널을 이용한 시공시 에는 코오킹을 부수적으로 해야하는 공정상의 불편함과 코오킹시 발생하는 작업의 어려움, 그리고 코오킹 후 틈새로 흘러나온 실링으로 인하여 미관이 아름답지 못한 점 등의 단점이 발생하므로 상기 석재 패널에 비하여 시공속도가 빠르고 미관을 아름답게 꾸며줄 수 있는 금속패널을 이용한 이용한 시공법이 증가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건축물의 지붕 또는 내외벽에 시공할 때에는 작업 현장에서 각종 절단기를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알맞는 크기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판재를 2번 내지 3번 정도 절곡한 후, 절곡된 부위를 서로 고정하여서 이루어지는 건축 구조물 시공공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공법에 있어서는 우선, 시공하기전에 금속판재를 각각에 적합한 크기로 절단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그 절단된 판재를 재차 절곡해야 했으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품을 양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건축물의 시공기간이 길어져 공사비도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축물의 지붕, 내외벽의 외장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다년간의 경험과 기술을 습득하고 있는 기술자만이 시공할 수 있으므로 기술인력을 수급하기에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내외장식용 금속패널을 제품으로 양산시키도록 하고, 시공도 일반 기술자가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환경조성의 일익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석재패널의 시공시 발생하는 코오킹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코오킹시 발생한 실링의 버어를 제거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내외장식용 금속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금속패널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고정클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A선을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패널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널 몸체 12,13 : 상부날개
14,15 : 하부날개 16 : 고정홈
18 : 절곡선 20 : 상부 모서리부
21 : 하부 모서리부 22 : 고정클립
24 : 제 1절곡부 26 : 제 2절곡부
28 : 고정공 30 : 고정수단
32 : 삽입홈
본 고안은 건축물의 지붕 및 건축물 내외벽의 외장을 시공하는 금속패널에 있어서, 패널몸체의 상부 양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각각의 상부날개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져 형성되고, 상기 상부날개 사이의 패널몸체에는 상부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하부날개가 대칭으로 형성되되 아래방향으로 절곡되어져 형성되고, 상기 하부날개 사이의 패널몸체에는 하부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날개의 각각의 고정홈에 다수의 고정클립이 끼워지고, 상기 고정클립의 타측부는 건축물의 지붕 또는 내외벽에 고정되어져서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모서리부는 상하부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절곡 형성하고, 상기 패널몸체의 둘레를 따라 둥글게 절곡시켜서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거나 바람이 새지않도록 형성하고, 상기 패널몸체에 오목 또는 볼록한 형태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외관을 표현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은 다이아몬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금속패널(100)의 패널몸체(10)의 상부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16)이 형성된 상부날개(12,13)가 절곡선(18)을 따라 접혀져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상부날개(12)와 상부날개(13) 사이에는 패널몸체(10) 둘레를 따라 상부 모서리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모서리부(20)는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져서 빗물 또는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부 양측에는 하부날개(14,15)(미도시됨)가 절곡선(18)을 따라 접혀져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상부 모서리부(20)와 대칭으로 이루어지되 방향이 반대인 하부 모서리부(21)는 미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패널(100)의 재질은 산화동판, 스테인레스, 동판, 아연판, 알루미늄판, 납동판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쉽게 알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2는 본 고안의 금속패널(100)의 전개도로서, 다이아몬드 형상 또는 마름모꼴 형상의 패널몸체(10)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날개(12,13)가 절곡되어 접혀질 수 있도록 절곡선(18)이 표시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도 하부날개(14,15)가 절곡되어 접혀질 수 있도록 절곡선(18)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날개(12,13) 사이에 형성된 상부 모서리부(20)와 하부날개(14,15) 사이에 형성된 하부 모서리부(21)가 절곡될 수 있도록 절곡선(18)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날개(12,13)에는 다수의 고정클립(2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고정홈(16)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모서리부(20)는 절곡선(18)을 윗방향으로 따라 접히되, 상기 패널몸체(10)의 주변둘레를 따라 둥글게 절곡되어 지고, 양옆부분보다는 중간부분이 일정거리(A) 만큼 더 높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날개(12,13)가 접혀졌을 때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금속패널(100)간의 연결시 빗물이 튀겨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모서리부(21)와 대칭으로 형성된 하부 모서리부(21)는 상기 절곡선(18)을 아래방향으로 따라 접히되, 상기 패널몸체(10)의 주변둘레를 따라 둥글게 절곡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모서리부(20)와 마찬가지로 양옆부분보다는 중간부분이 일정거리(A)만큼 더 높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하부날개(14,15)가 접혀졌을 때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서 상기 금속패널(100)의 연결시 바람이 하부방향으로 새어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상부 모서리부(20)와 하부 모서리부(21)는 바람직하게는 각이 지지 않도록 약간의 라운딩을 주어도 가능하나 원형의 형태로 둥글게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금속패널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고정클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A-A선을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패널(100)의 상부에 좌우측 상부날개(12,13)가 접혀져 있고, 상기 상부날개(12,13)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16)에는 고정클립(22)이 끼워져서 설치된다.
상기 고정클립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얇은 편으로 이루어진 강철에 못,스크류 등의 고정수단(30)이 끼워지도록 고정공(28)을 뚫고,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서 1차 절곡하여 제 1절곡부(26)를 형성하고, 다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하여 2차 절곡하여 제 2절곡부(24)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절곡부(26)는 약간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가볍게 절곡하여 주고, 상기 제 2절곡부(24)는 고정클립(22)의 끝단이 상기 제 1절곡부(26)에 이르도록 아래방향으로 접히게 절곡하여 준다. 상기 제 2절곡부(24)에 의해 고정클립(22)이 접히게 되면 그 사이에 삽입홈(32)이 형성되는데 이곳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패널 상부날개(12,13)의 고정홈(16)과 결합시키고, 고정클립(22)의 일단부에 형성된 고정공(28)을 건축물의 지붕면 또는 건축물의 내외벽면 일부에 대고 고정수단(30)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클립(22)의 삽입홈(32)에 상부날개(12)가 끼워진 후, 벽면에 고정되면 도 8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삽입홈(32)의 상하면과 상부날개(12)의 상하면이 밀착되어지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금속패널(100)의 상부날개(12,13)는 각각 고정클립(22)에 의해 미도시된 건축물의 지붕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어 지고, 상기 금속패널(100)의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어 접혀진 하부날개(15)에는 금속패널(101)의 상부날개(12)를 끼워서 이어주고, 상기 하부날개(14)에는 금속패널(102)의 상부날개(13)를 끼워서 이어주는 패턴이 된다.
이때, 상기 금속패널에 형성된 상기 상부날개(12,13)는 고정클립(22)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지붕면 또는 건축물의 내외벽면에 고정하여 들뜨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금속패널(100)에 상기 금속패널(101) 및 (102)를 연속하여 연결하고, 상기 금속패널(101) 및 (102)의 하부날개(14,15)에는 또 다른 금속패널(103)의 상부날개(12,13)를 끼워서 연결함으로써 벌집모양의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므로 설치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연결상태가 튼튼하게 된다.
위와 같은 다수의 금속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그 일부분만을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나 그 외 다른 부분에 있어서도 연결하는 방법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금속패널(103)의 상부날개(12,13)의 사이에 형성된 상부 모서리부(20)는 상방향으로 접혀져서 외측면이 라운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정한 높이(A)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금속패널(100)의 하부면과 접하여 금속패널과 금속패널의 연결시 들뜨지 않고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게 되고, 특히 비 또는 눈에 의해서 발생하는 물 등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날개(14,15) 사이에 형성된 하부 모서리부(21)도 동일한 방법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높이(A)를 갖게 되므로 상기 금속패널(103)의 연결시 하부에 연결되는 금속패널의 상부면과 접하여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게 되고, 바람의 영향으로 서로 연결 설치된 금속패널이 뜨지 않도록 바람을 막아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하부 모서리부(20,21)가 형성된 다수의 금속패널을 연결하여 건축물의 지붕, 건축물의 내외벽에 장식용으로 시공할 때, 그 사용되는 금속패널의 재질(동판, 산화동판, 아연판, 납동판 등)에 따라 아름다운 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패널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상기 위에서 언급된 금속패널(100)은 그 재질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본 고안은 금속패널의 재질에 따른 효과에 국한되지 않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널몸체(10)에 엠보싱(34)을 넣을 수 있다. 즉, 다이아몬드 형상의 엠보싱(34)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금속패널(100)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했을 때 전체적으로 어떤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건축물의 내,외관장식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상기 금속패널(104)이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금속패널(104)과 같이 오목 또는 볼록한 엠보싱(34)을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나 좀 더 구체적인 하트, 클로버 또는 인물 형태를 갖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그 어떤 문양을 새겨도 좋다고 할 것이다. 이는 당업자라면 당연히 실시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금속패널(100)은 다수의 금속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종래에 사용하던 시공방법보다 매우 빠르고,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내외장식용으로도 매우 우수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을 이용한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석재패널을 이용한 아스팔트슁글이나 콘크리트 지붕에 비해 아주 가벼운 금속패널을 사용하므로 취급이나 운반이 뛰어나고, 코오킹 등 별도의 시공이 없으므로 시공이 손쉬워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외형적으로도 미려하며,
둘째, 기존의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절단,절곡한 금속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비하여 미리 양산된 제품을 사용하므로 전문 기술자가 아닌 일반 기술자만으로도 시공의 효과가 우수하고, 작업도 빨라졌으며,
셋째, 눈 또는 비가 바람에 의해 역류되지 않도록 막아주므로 수밀효과가 뛰어남과 동시에 바람이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므로 시공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건축물의 지붕 시공시 경사가 급격한 곳이거나 또는 완만한 곳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파손의 염려가 적고, 별도의 보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이며, 한편으로는 부분적인 교체 또는 부분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므로 비용 절감 의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금속패널에 다양한 모양, 형태 또는 문양 등을 엠보싱함으로써 건축물의 지붕, 내외장식용으로 매우 아름답고, 주변환경과 잘 어울리므로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라 할 수 있고, 사용되는 금속패널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하며 방수역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수명이 오래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건축물의 지붕 및 건축물 내외벽의 외장을 시공하는 금속패널에 있어서,
    패널몸체의 상부 양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각각의 상부날개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져 형성되고, 상기 상부날개 사이의 패널몸체에는 상부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하부날개가 대칭으로 형성되되 아래방향으로 절곡되어져 형성되고, 상기 하부날개 사이의 패널몸체에는 하부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날개의 각각의 고정홈에 다수의 고정클립이 끼워지고, 상기 고정클립의 타측부는 건축물의 지붕 또는 내외벽에 고정되어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모서리부는 상하부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절곡 형성하고, 상기 패널몸체의 둘레를 따라 둥글게 절곡시켜서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거나 바람이 새지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에 오목 또는 볼록한 형태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외관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은 다이아몬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 패널.
KR2020000004971U 2000-02-23 2000-02-23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KR2001897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8843A KR100367713B1 (ko) 2000-02-23 2000-02-23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및 그 금속패널을 이용한건축물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08843A Division KR100367713B1 (ko) 2000-02-23 2000-02-23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및 그 금속패널을 이용한건축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715Y1 true KR200189715Y1 (ko) 2000-07-15

Family

ID=196492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08843A KR100367713B1 (ko) 2000-02-23 2000-02-23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및 그 금속패널을 이용한건축물 시공방법
KR2020000004971U KR200189715Y1 (ko) 2000-02-23 2000-02-23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08843A KR100367713B1 (ko) 2000-02-23 2000-02-23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및 그 금속패널을 이용한건축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67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114A (ko) 2015-02-23 2016-09-05 한오승 금속재 장식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형물
KR102204462B1 (ko) 2020-08-31 2021-01-18 기선어종합건설주식회사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KR20220017073A (ko) 2020-08-04 2022-02-11 기선어종합건설주식회사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58Y1 (ko) * 2003-06-26 2003-09-19 (주)로자 거멀접기형 패널용 수분역류방지마개
KR200327057Y1 (ko) * 2003-06-26 2003-09-19 (주)로자 건축물 내외장용 거멀접기형 패널
KR100653173B1 (ko) * 2005-11-01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경로 혼합신호 분리계수의 교환 모호성을 해소하는방법 및 그 장치
KR100942016B1 (ko) * 2007-09-11 2010-02-12 민만호 금속패널의 연결구조
KR101168343B1 (ko) 2010-07-20 2012-07-24 주신기업(주) 건축물 내외장용 금속패널 및 시공방법
KR101953747B1 (ko) * 2018-06-26 2019-03-04 하이테크판넬 주식회사 설치 및 교체가 편리한 건축용 외장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114A (ko) 2015-02-23 2016-09-05 한오승 금속재 장식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형물
KR20220017073A (ko) 2020-08-04 2022-02-11 기선어종합건설주식회사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2204462B1 (ko) 2020-08-31 2021-01-18 기선어종합건설주식회사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7713B1 (ko) 2003-01-15
KR2000003635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9715Y1 (ko) 건축물 내외장식용 금속패널
CA2349423A1 (en) Contoured stucco reveal
KR101168343B1 (ko) 건축물 내외장용 금속패널 및 시공방법
KR100390061B1 (ko) 건축물의 장식재 및 그 장식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JP2010520389A (ja) 屋根カバーエレメント
CN2517810Y (zh) 通风型屋顶浪板
KR200452845Y1 (ko) 금속지붕의 용마루 장식구
KR200237923Y1 (ko)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
CN203188536U (zh) 一种用于双端反向直角外延墙面的竖向装饰结构件
CN219033743U (zh) 一种边龙骨及装饰线条安装结构
CN220318913U (zh) 一种中式亭廊模块式屋顶结构
KR200233422Y1 (ko) 타일마감재
CN217500816U (zh) 一种仿古建筑瓦片结构及屋顶
CN217711494U (zh) 一种墙面装饰板的阴角结构及其龙骨支架
KR200250318Y1 (ko) 동판기와용 암막새
US20210189751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water shaping including for zero edge pools and related systems
KR200273574Y1 (ko) 건축용 외장판넬
KR200388829Y1 (ko) 조립식 블록
JP2001049809A (ja) 床・屋根排水構造および谷溝部材
KR200381494Y1 (ko) 유리판이 구비된 건축용 내/외장패널
JP2008002190A (ja) 軒先瓦
CN2389955Y (zh) 仿木纹鱼鳞板
CN2474641Y (zh) 插扣装饰板
CN2289012Y (zh) 一种倒角瓷砖
CN2628634Y (zh) 内外墙装饰用毛面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