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466Y1 - 요금 정산기의 금고 - Google Patents

요금 정산기의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466Y1
KR200189466Y1 KR2019960027837U KR19960027837U KR200189466Y1 KR 200189466 Y1 KR200189466 Y1 KR 200189466Y1 KR 2019960027837 U KR2019960027837 U KR 2019960027837U KR 19960027837 U KR19960027837 U KR 19960027837U KR 200189466 Y1 KR200189466 Y1 KR 200189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
coin
inlet
locking means
b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685U (ko
Inventor
이선기
Original Assignee
이찬수
한국사무자동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수, 한국사무자동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찬수
Priority to KR2019960027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46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6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4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버스요금 정산기, 즉 주화나 지폐 또는 카드(정액권)를 겸하여 사용하는 요금 정산기에서 주화나 지폐 또는 카드를 수납 보관시키고 그 요금을 운행후 회수시키게하는 금고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금고는 통상에서와 같이 함체형상으로 구성된 금고 그 상면판 적당한 위치에 주화유입구와 지폐유입구를 구비하고, 이의 주화 또는 지폐유입구를 그 상면판 내면에 제1모터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폐판에 의해 개로, 폐로되게 구성하고 있다. 지폐유입구에는 또한 지폐투입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제2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며 지폐가 구겨짐 없이 유입 안내되게하는 한쌍의 날개차가 병설된다. 그리고 금고는 정산기 본체에 구비되는 잠금수단에 의해 결속, 해제되게 함과 동시에, 그 잠금수단에 의해 전원공급은 물론 신호전달계통이 단속되게 구성한다. 또 금고의 이면은 괘정구조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개폐판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요금의 분실은 물론 금고도난을 완전 방지시키고 지폐가 구겨짐 없이 원할하게 유입된다.

Description

요금 정산기의 금고
본 고안은 주화나 지폐 또는 자기카드를 동시에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정산기에 있어, 투입된 지폐와 주화회수를 위해 일시적으로 수납 보관시키는 요금 정산기의 금고에 관한 것이다.
요금정산기는 공중전화나, 자동판매기의 상품 요금 또는 버스나 전철 요금 정산에 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요금 정산기들은 주화나 지폐 또는 자기테이프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금 정산기들중 그 일예를 들어 버스나 전차등의 요금기에 사용되는 정산기의 경우를 보면 주화와 지폐, 그리고 자기테이프등의 승차권을 겸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일례로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60-25644호 공개실용신안공번 소 60-14417호 실용신안공번 평 2-41723호, 공개실용신안공번 평 3-34172호를 들을 수 있다.
그러한 버스 요금 정산기들은 대체적으로 주화와 지폐 또는 승차건의 투입구를 각각 구비하고, 이의 각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주화,지폐,승차권을 계수나 판독부로 계수 또는 인식시키고, 그리고 선별부를 거치어 주화는 잔금지급을 위해 주화 단위로 구획된 반출금고내에 주화단위별로 수납시키고 잔금 보관액이상의 주화나 지폐, 승차권은 별도의 금고내에 보관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버스요금 정산기의 금고를 보면 별도로 제작되어 선별부와 지폐유입부의 직하부에 연이어 그 요금 정산기의 본체로 부터 자유로이 삽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요금 정산기의 금고는 대략 장방형의 함체형상으로 구성되어 독립적으로 버스요금 정산기 본체 하부에 삽입,이탈식으로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금고는 금속재의 주화 유입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지폐의 유입에서는 그 유입 경로상에서 구겨짐이나 걸림등이 발생과 수납된 주화나 지폐의 유출이 용이하고, 또한 금고의 잠김상태가 불안정하여 도난우려등의 예기치 않은 도범사고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금고의 분리시 주화와 지폐의 유입부가 자동적으로 차폐되게 하여 요금의 분실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게한 요금 정산기의 금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화나 지폐가 구겨지거나 걸림 없이 원할히 유입되게한 요금 정산기의 금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금고의 삽탈에 의해 전원공급및 신호전달체계가 구축되고 도난을 완전히 예방시킬 수 있는 요금 정산기의 금고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버스요금 정산기, 즉 주화나 지폐 또는 카드(정액권)를 겸하여 사용하는 요금 정산기에서 주화나 지폐 또는 카드를 수납 보관시키고 그 요금을 운행후 회수시키게하는 금고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금고는 통상에서와 같이 함체형상으로 구성된 금고 그 상면판 적당한 위치에 주화유입구와 지폐유입구를 구비하고, 이의 주화 또는 지폐유입구를 그 상면판 내면에 제1모터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폐판에 의해 개로,폐로되게 구성하고 있다. 지폐유입구에는 또한 지폐투입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제2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며 지폐가 구겨짐 없이 유입 안내 되게하는 한쌍의 날개차가 병설된다. 그리고 금고는 정산기 본체에 구비되는 잠금수단에 의해 결속,해제되게 함과 동시에, 그 잠금수단에 의해 전원공급은 물론 신호전달계통이 단속되게 구성한다. 또 금고의 이면은 괘정구조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개폐판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요금의 분실은 물론 금고도난을 완전 방지시키고 지폐가 구겨짐 없이 원할하게 유입된다.
제1도는 본 고안 금고가 구비된 요금 정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금고가 구비된 요금 정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금고만을 발췌하여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제4(a),(b)도는 본 고안 금고에 적용되는 금고의 잠금구조만을 발췌하여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제4(a)도는 잠금구조가 잠겨있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
제4(b)도는 잠금구조가 풀려있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 금고의 상면을 벗기어 내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
제8(a),(b)도는 금고 이면의 개폐판 괘정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 회수금고 701 : 주화유입구
702 : 지폐유입구 710 : 차폐판
711 : 랙 712 : 요철판
720 : 정역모터 740 : 날개차
750 : 개폐판 760 : 괘정수단
800 : 잠금수단 810 : 정역모터
820 : 괘정봉 821 : 승강나사봉
821A : 차단판 830 : 홀더
841 : 잠김위치센서 842 : 해제위치센서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고안에서는 버스나 전차등에서 승차요금, 즉 주화나 지폐 또는 카드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된 요금 정산기의 예를 보이고 있다. 제1도및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금고가 구비된 요금 정산기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 100은 요금 정산기이다. 이 요금 정산기(100)는 패키지형으로 구성되어 상면에 주화투입구(101)와 지폐투입구(102), 그리고 카드리더(103)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주화투입구(101)에 연이어 주화계수부(200)와 주화선별부(300), 반출금고(400), 그리고 이의 반출금고(400)에 연이어 잔금지급을 위한 반출엘리베이팅콘베이어(500)가 일측변측에 종향으로 설치되고, 지폐투입구(102) 하부에는 유입되는 지폐를 끌어드리는 반입엘리베이팅콘베이어(600)가 종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의 반입엘리베이팅콘베이어(600)와 주화선별부(300)으로 부터 유입되는 지폐 또는 주화는 요금 정산기(10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회수금고(700)에 수납 보관되게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각 부들은 단위적으로 유니트화되어 조립및 보수관리가 매우 간편하게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요금 정산기(100)에서 회수금고(700)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회수금고(700)의 구조에 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회수금고(700)는 별도로 제작되어 요금 정산기(100)의 하부측에 삽탈식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회수금고(700)는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적당한 밀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함체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전면에 손잡이(70)를 구비하고 있고, 이렇게 구성되는 회수금고(700)를 요금 정산기(100)의 이면 하부측으로 넣고 꺼내게 하고 있다. 이 때 회수금고(700)는 요금 정산기(100)에 일체로 구비되는 별도의 잠금수단(800)에 의해 결속,해제되게 구성하였다.
제4도에는 잠금수단(8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잠금수단(800)은 요금 정산기(100)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트(801)상에 탑재되어 설치되는데, 이 잠금수단(800)은 정역모터(810)와 그 정역모터(810)의 피니언(811)과 치합되어 피니언(811)의 정역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괘정봉(8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괘정봉(820)이 승강하는 동일수직선상의 회수금고(800) 상면에는 상기 괘정봉(820)가 삽탈되며 잠김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더(830)를 하고 있다.
또 괘정봉(820)은 정역모터(810)의 피니언(811)과 치합되어 그 정역모터(8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승강나사봉(821)과 그 승강나사봉(821) 하단부에 일체로 연이어지는 삽입부(8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괘정봉(820)의 삽입부(822)에는 회수금고(700)의 잠김결속 또는 해제는 물론, 회수금고(700)측의 전원공급 인입단자(831)와 접탈하며 전기적 접촉 단속을 제어하는 접속단자(823)가 구비되어 있고, 그 접속단자(823)의 일측에는 요금 정산기(100)측의 홀더(830)에 구비되는 발광감지센서(832)와 회수금고의 삽탈을 감지하는 수광센서(8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괘정봉(820)의 승강나사봉(821) 상단부에는 차단판(821A)을 일체로 구비하여 승강나사봉(821)과 같이 승강되게 하고 브래킷트(801) 일측에 입설된 수직대(840) 상하측에는 상기 차단판(821A)의 승강경로상으로 설치되는 잠김위치센서(841)와 해제위치센서(84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잠김및 해제위치센서는 정역모터(810)의 구동을 제어하게될 것이다.
제5도및 제6도 제7도에는 회수금고(7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및 일부 절결 확대단면도로서, 제5도는 회수금고(700)의 상면판을 벗겨내어 회수금고내의 기계적 요소와 결합관계를 보이고 있다. 제5도에서와 같이 회수금고(700)의 상면판 적당한 위치에는 좌우 양측으로 주화유입부(701)와 지폐유입부(702)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주화및 지폐유입구(701)과 (702)는 회수금고(700) 내측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폐판(710)에 의해 열리고 닫히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차폐판(710)은 그 몸체를 박형의 판체를 사용하여 적합한 프레스 공정을 통해 가압성형 하여 채널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양단부에 랙(711)을 구비시키고 있고, 이렇게 구성된 차폐판(710)은 회수금고(700)의 너비 전장길이에 걸쳐지는 길이를 가지고 회수금고내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유입구의 통로를 열고 닫히게 할 것이다. 이때 차폐판(710)의 구동은 회수금고(70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정역모터(720)의 주동치차(721)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피니언(72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랙(711)에 의해 그 전후이동을 이루게될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차폐판(710)의 저면에는 그 차폐판(710)의 차폐위치시 회수금고(700)의 주화유입구(701)와 지폐유입구(702) 각각에 위치하는 요철판(71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판(712)는 회수금고(700)의 상면판과 차폐판(710)의 사이에서 주화나 지폐의 끼임을 예방하게 된다.
또 지폐유입구(702)에는 지폐인식기와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730)에 의해 회전하는 한쌍의 날개차(740)가 병설되어 있다. 이러한 날개차(740)는 지폐유입시 지폐가 구겨짐 없이 유입되도록 안내되게 하고 있다.
또한 회수금고(700)의 이면에는 하부측을 회전중심잡이로 하여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개폐판(750)이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되는 개폐판(750)은 별도의 괘정수단(760)에 의해 결속,해제되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괘정수단(760)은 조작자의 조작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스텝모터(761)의 캠(762) 양측으로 연결된 링크(763)의 각 단부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결속편(764)에 의해 개폐판(750)이 잠기고 풀리게 구성하고 있다.
그러면 본 고안 요금 정산기의 금고 작동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고안은 먼저 주화의 경우를 설명하면 주화투입구(101)로 투입된 주화는 주화계수부(200)의 원반형 리프트로 하여 정상주화는 낱개로 판독및 계수경로상으로 반출시키고 불량 주화는 선별해내어 회수금고(700)측으로 직접 회수되게 하였다..
그리고 판독및 계수경로상으로 반송된 정상주화는 주화선별부(300)를 거쳐 각 주화 단위별로 선별되어 반출금고(400)에 구분 적재된다. 이때 반출금고(400)에 적재한계 이상의 주화는 회수금고(700)측으로 직접 회수된다.
그리고 지폐의 경우를 설명하면 지폐유입구(102)로 유입된 지폐는 반입엘리베이팅콘베이어(600)를 거쳐 회수금고(700)측으로 직접 회수되게 하였다.
이러한 주화및 지폐의 유입은 본원인이 선출한바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본고안에서는 이렇게 주화선별부와 반출금고및 지폐 반입엘리베이팅콘베이어를 거쳐 유입되는 주화및 지폐가 수납 보관되는 회수금고(70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회수금고(700)는 요금 정산기(100)의 이면 하부측에 삽탈식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회수금고(700)는 요금 정산기(100)내에 잠금수단(800)에 의해 결속, 해제된다.
제4(b)도는 잠금수단(800)이 풀려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요금 정산기(100)내에 회수금고(700)를 넣고 빼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행이 시작되면 그 조작신호에 의해 정역모터(810)가 구동하여 괘정바(820)의 삽입부(822)를 하강시키어 회수금고(700) 상면에 구비되는 홀더(830)내에 삽입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잠금수단(800)의 잠김과 동시에 접속단자(823)와 회수금고(700)측의 인입단자(831)가 접촉되어 전원 공급과 동시에, 신호전달계통로를 통전시키게될 것이다. 이렇게 잠금수단(800)의 잠김은 회수금고(700)의 삽입상태를 안전하게 고정 유지함과 아울러, 전원공급과 신호전달체계를 이루게된다.
이렇게 회수금고(700)가 설치된, 즉 회수금고(700)의 결속이 완료되면 수광및 발광센서(832)와 수광센서(824)의 인식신호에 의해 정역모터(720)가 구동하여 회수금고(700)의 주화및 지폐유입구(701)과 (702)를 막고 있던 차폐판(710)을 이동시키어 그 유입구를 개문시키면서 회수금고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러한 과정은 회수금고의 삽입과 동시에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이루워져 요금이 유입되는 것을 대기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주화가 투입되면 주화는 주화계수부와 주화선별부를 거쳐 반출금고에서 낙하되는 주화를 주화유입구(701)로 받아드리어 수납시키게된다.
그리고 지폐가 투입되면 지폐는 반입엘리베이팅콘베이어를 통하여 유입 되는데, 이때 지폐의 유입이 감지되면 이와동시에 구동모터(730)가 동작되어 지폐유입구(702)내의 날개차(740)가 회전하면서 유입되는 지폐를 구겨짐없이 회수금고내로 안전하게 유입시킨다.
또한 운행을 완료후 요금의 회수시에서는 관리자의 조작신호에 의해 잠금수단(800)을 해제시키고, 이와같이 해제된 상태에서 회수금고(700)를 요금 정산기(100) 내에서 꺼낸다. 이때 회수금고(700)의 각 주화및 지폐유입구(701)과 (702)는 개문되어 있던 상태에서 차폐판(710)이 이동하여 폐문상태로 유지시키고 회수금고(700)의 개폐판(750) 역시 괘정수단(760)에 의해 잠겨 있다.
그리고 이렇게 회수된 회수금고(700)는 요금 정산자가 별도의 전원을 공급시킨 후 개문조작신호를 주면 개폐판(750)의 괘정수단(760) 스텝모터(761)가 구동하여 괘정수단(760)의 결속편(764)이 잠김상태에서 풀리어 개폐판(750)을 해정하게 되고, 이러한 해정된 상태에서 개폐판(750)을 열어 수납 보관된 주화나 지폐를 꺼내어 정산작업을 마치게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회수금고(700)는 잠금수단(800)에 의해 요금 정산기(100)이면 하부측에 견고히 결속되어 잠금수단(800)의 해정조작 없이는 회수금고가 이탈되지 않게 하므로서, 도난을 완전히 방지시키고, 또 회수금고(700)를 요금 정산기(100)로 부터 꺼낼시에서는 주화및 지폐유입구(701)과 (702)가 차폐판(710)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혀져 요금의 분실 또는 유출되는 사례를 미연에 예방시키게 된다.
또한 회수금고(700)의 지폐유입구(702)에는 한쌍의 날개차(740)가 병설되어 지폐유입신호가 감지됨과 동시에 구동하여 지폐가 구겨짐없이 안전하게 유입 안내되게 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주화 및 지폐투입구와 카드리더를 가지며, 내부에는 주화계수부, 주화선별부, 그리고 반출금고와 지폐반입엘리베이팅 콘베이어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요금 정산기와, 이 요금정산기의 이면에 잠금수단에 의해 결속, 해제되는 회수금고를 구비한 요금정산기와, 상기 회수금고 상면측에 주화유입구 및 지폐유입구를 구비하여 차폐판으로 개폐되는 요금정산기의 금고에 있어서, 상기 잠김수단은 정역모터와 협동하여 잠김과 해정을 위한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나사봉과, 그 나사봉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수금고의 홀더에 삽탈하는 삽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에는 잠김상태시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접속단자와 신호전달체계를 이루는 발광 및 수광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정산기의 금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수단에는 승강나사봉의 상단에 구비한 차단판의 승강경로상에 잠금과 해정위치센서를 구비하여 정역모터의 구동을 제어한 것으로 포함하는 요금정산기의 금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금고의 이면에는 스텝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괘정 수단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개폐판을 구비한 것을 포함하는 요금 정산기의 금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금고의 주화유입구와 지폐유입구를 정역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차폐판으로 하여 금고의 삽입, 이탈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개폐되게 한 것으로 포함하는 요금정산기의 금고.
KR2019960027837U 1996-09-02 1996-09-02 요금 정산기의 금고 KR200189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837U KR200189466Y1 (ko) 1996-09-02 1996-09-02 요금 정산기의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837U KR200189466Y1 (ko) 1996-09-02 1996-09-02 요금 정산기의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85U KR19980014685U (ko) 1998-06-25
KR200189466Y1 true KR200189466Y1 (ko) 2000-09-01

Family

ID=1946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837U KR200189466Y1 (ko) 1996-09-02 1996-09-02 요금 정산기의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4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85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654B1 (ko) 지폐류 처리시스템
CA1319753C (en) Vending-type machine for goods and/or ser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3115976B1 (en) Money handling apparatus and money managing method
US5909792A (en) Banknote reader
US4877179A (en) Farebox security device
KR910001258B1 (ko) 지폐출납기
US5662201A (en) Banknote reader
JPS61276090A (ja) 循環式入出金装置
KR200189466Y1 (ko) 요금 정산기의 금고
CN210836310U (zh) 一种钞箱和现金循环处理设备
JP4370656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4099757B2 (ja) 小型交通機関用料金装置
CN111986401A (zh) 一种自助银行大额现金受理设备
JP2004005151A (ja) 料金自動収受装置
CN213399812U (zh) 一种大额现金受理设备
JPS6248269B2 (ko)
JP2918317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6187250B2 (ja) 媒体入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6167572B2 (ja) 運賃収受システム
CN209746720U (zh) 一种金融自助设备
KR100295890B1 (ko) 주차요금 자동정산기
CA1295978C (en) Farebox security device
KR900001975B1 (ko)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KR200144276Y1 (ko) 요금 정산기의 지폐반입장치
JP2567365Y2 (ja) 運賃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