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971Y1 -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971Y1
KR200188971Y1 KR2019990021608U KR19990021608U KR200188971Y1 KR 200188971 Y1 KR200188971 Y1 KR 200188971Y1 KR 2019990021608 U KR2019990021608 U KR 2019990021608U KR 19990021608 U KR19990021608 U KR 19990021608U KR 200188971 Y1 KR200188971 Y1 KR 200188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fire
high voltage
circuit
discharg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방종합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방종합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방종합방재
Priority to KR2019990021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Landscapes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소화전 램프의 안내기능을 강화 시키므로서, 경종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자들이 시각적 효과에 의해 비상사태임을 알 수 있도록 한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평상시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등상태를 유지하고, 화재시 위험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경종회로가 구비된 소화전 회로에 있어서, 상기 경종회로와 병렬 접속되어 감지기 동작신호의 발생시 방전램프를 점멸시키기 위해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발진부; 상기 발진부로부터 생성된 전압이 기준치 이상의 고전압으로 유도하기 위한 고압발생부; 및 상기 고압발생부로부터 얻어진 고전압으로 방전램프(Tu)를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부로 이루어진 램프 구동회로가 더 포함되어, 화재시 비상스위치의 스위칭이 이루어질 경우 경보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방전램프의 점멸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화재시 소화전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얻으며, 상기 경보음을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자들이 고전압 방전램프의 섬광에 의해 화재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A STROBE LIGHT WITH INDICATE LAMP CIRCUIT IN HYDRANT}
본 고안은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소화전 램프의 안내기능을 강화시키므로서, 경종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자들이 시각적 효과에 의해 비상사태임을 알 수 있도록 한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물공급장치와 더불어 소화전 표시장치가 구비되어, 화재시에 경종과 더불어 램프를 점멸시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린다. 이러한 소화전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각을 통해 화재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경종(101) 및 상기 경종(101)을 타종하기 위한 공이(103)로 이루어진 경종장치와, 시각을 통해 화재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소정의 발광다이오드(LED;107) 및 발광된 빛을 방사시키기 위한 렌즈(105)로 구성된 램프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화전 표시장치(100)는, 정상상태 즉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107)는 점등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화재로 인한 비상사태시에는 화재상황임을 알리는 감지기 및 발신기(미도시) 동작신호가 수신부에 입력되며 이 때, 상기 경종장치가 발동을 함과 동시에, 램프장치가 점멸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공이(103)가 경종(101)을 일정 간격으로 타종을 하며, 발광다이오드(107)가 일정 주기로 점멸을 수행하여, 청각과 시각을 통한 화재상황임을 경고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소화전 표시장치(100)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소화전 표시장치(100)의 회로동작에 따른 블록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화재발생에 따른 감지기 동작신호가 생성되면, 이를 스위칭 절환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래치회로(201)와, 상기 래치회로(201)에서 절환 유지되는 신호에 의거 소정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타이머(203)와, 상기 타이머(203)에서 유지되는 시간동안 점멸신호를 생성하는 점멸회로(205)와, 상기 점멸회로(205)에서 공급되는 신호에 의거 상기 발광다이오드(107)를 점소등시키는 LED구동회로(209) 및 청각적으로 화재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경종장치를 구동시키는 경종회로(20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화전 표시장치(100)의 회로동작은, 화재감지에 따른 상기 감지기 동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래치회로(201)를 통해 스위칭 시점에서 지속적인 동작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이러한 래치회로(201)에서 생성된 절환신호가 상기 타이머(203)로 전송되어, 일정시간 예컨대,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상기 래치회로(201)가 동작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시간동안 점멸회로(205)로 전원을 공급토록 하여 소정 주기를 갖는 멀티바이브레이터를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107)가 점멸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종회로(207)는 LED 구동회로(209)의 점멸동작과 동시에 상기 경종장치를 구동 제어하므로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 따른 소화전 표시장치(100)는 경종(101) 즉, 청각에 의해 비상사태임을 경고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107)의 점멸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실질적인 화재상황에서는 상기 경종(101)의 동작으로부터 비상사태임을 감지하게 된다. 이는 발광다이오드(107)의 점멸이 주의를 끌지 못하기 때문인데, 화재로 인한 유독성 연기가 발생할 시에는 상기의 발광다이오드(107)의 점멸은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이는 발광다이오드(107)의 밝기가 어두움과 연기속에서 지시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발광다이오드(107)의 특성상 광원이 멀리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시각에만 의존하는 청각 장애자는 위험상황임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시 동작되는 소화전 표시램프의 기능을 강화시켜 청각 장애자가 비상사태임을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속에서 소화전의 위치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관점에 따른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는, 평상시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등상태를 유지하고, 화재시 위험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경종회로가 구비된 소화전 회로에 있어서, 상기 경종회로와 병렬 접속되어 감지기 동작신호의 발생시 방전램프를 점멸시키기 위해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발진부; 상기 발진부로부터 생성된 전압이 기준치 이상의 고전압으로 유도하기 위한 고압발생부; 및 상기 고압발생부로부터 얻어진 고전압으로 방전램프(Tu)를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부로 이루어진 램프 구동회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2관점에 따른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는, 상기 발진부는 발진코일 및 캐패시터, 트랜지스터를 통해 소정 주기로 발진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고압발생부는 사이닥 및 다이오드, 저항을 거쳐 고전압을 유도하여, 유도된 고전압과 트리거 코일에 의거 트리거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램프부는 상기 고압발생부 및 트리거코일에 의해 방전램프가 동작되도록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3관점에 따른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는, 상기 방전램프는 발광다이오드와 더불어 렌즈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소화전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 경종회로 403 : 발진부
405 : 고압발생부 407 : 램프부
LED : 발광다이오드 Tu : 방전램프
T1 : 발진코일 T2 : 트리거코일
C1-C4 : 캐패시터 R1-R5 : 저항
D1,D2 : 다이오드 L1-L3 : 코일
S : 사이닥(SIDAC)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전 램프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로도이다. 우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이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렌즈(301)와, 상시등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 및 비상시 점멸동작을 수행하는 방전램프(Tu)가 기판(303)상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301)에 내설된다.
이와 같은 램프의 구성은, 비상사태가 아닌 즉,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LED)가 지속적인 점등상태를 유지하며, 화재가 발생되어 소정의 화재경보에 따른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방전램프(Tu)는 점멸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렌즈(301)에 내설된 발광다이오드(LED) 및 방전랜프(Tu)는 상시등과 비상등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한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의 구성은, 감지기 동작신호가 발생시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경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종회로(401)와, 상기 경종회로(401)의 동작과 더불어 방전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램프 구동회로(411)로 구성되며, 상시등으로 사용되는 LED 구동부(409)가 마련된다.
상기 램프 구동회로(411)는 상기 경종회로(401)의 동작시 스위칭되어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발진부(403)와, 상기 발진부(403)로부터 생성된 전압이 기준치 이상의 고전압으로 유도하기 위한 고압발생부(405)와, 상기 고압발생부(405)로부터 얻어진 고전압으로 방전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부(40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발진부(403)는 발진코일(T1) 및 캐패시터(C2), 트랜지스터(Q)를 통해 소정 주기로 발진되도록 하고 있으며, 저항 (R2,R3)은 안정적으로 회로를 구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압발생부(405)는 사이닥(S : SIDAC) 및 다이오드(D1), 저항(R4,R5)을 거쳐 고전압을 유도하고 있으며, 유도된 고전압과 트리거코일(T2)에 의거 트리거 전압을 생성하고 있다. 상기 램프부(407)는 고압발생부(405) 및 트리거코일(T2)에 의해 방전램프(Tu)가 동작되도록 캐패시터(C4)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상태 즉 화재가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 발광다이오드(LED)가 구비된 LED구동부(409)를 통해 지속적으로 점등상태를 유지하여, 평상시에 소화전의 위치를 인지시키게 된다.
한편, 화재 발생시 화재발생에 따른 감지기 동작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LED 구동부(409)와는 별도로 24V의 전원이 경종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경종회로(401) 및 램프 구동회로(411)로 병렬 공급되는데, 이는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소정의 발진음으로 경보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경종을 울릴게 된다. 또한 상기 램프 구동회로(411)의 발진부(403)로 공급된 전원은 발진코일(T1)의 일차측 코일(L1)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저항(R2) 및 캐패시터(C2)로 직류전원이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캐패시터(C2)로 공급된 전원은 캐패시터(C2)의 용량 및 저항 (R2)에 따라 충전량이 결정되며, 이러한 전압이 충전된 이 후 방전전압은 저항 (R3)을 거쳐 발진코일(T1)의 3차측 코일(L3)로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지스터 (Q)의 베이스측으로 전송된다. 트랜지스터(Q)는 곧 턴온되어 상기 1차측 코일 (L1)을 동작시키며, 상기 캐패시터(C2)의 방전을 유도한다. 그리고 1차측 코일(L1)의 동작은 2차 및 3차측 코일(L2,L3)의 역방향 동작을 유도함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 (Q)의 베이스측은 다시 로우상태로 반전된다.
따라서 상기 1차측 코일(L1)은 전원 오프상태로 절환되어 상기 캐패시터(C2)는 다시 충전을 수행하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발진코일(T1)의 발진을 유도하게 된다. 결국 상기 발진부(403)는 R, L, C에 의한 고전압 발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트랜지스터(Q)의 턴온동작 시점에서 발진이 시작되며 상기 고압발생부 (405)로 상기 발진 전압이 공급된다.
상기 고압발생부(405)는 발진코일(T1)에서 발진된 전압을 다이오드(D1), 저항(R4,R5)를 거쳐 사이닥(S)으로 유도하며, 상기 램프부(407)의 캐패시터(C4)에 상기 유도전압이 충전되도록 함에 따라, 일정 전압 이상시 사이닥(S)이 턴온되도록 하여 순간전압을 생성한다. 즉, 무접점 스위칭에 의한 순간전압은 사이닥(S)의 도통시에 생성되는 것으로 캐패시터(C3)를 통해 트리거코일(T2)의 양단자 코일을 로우상태로 풀다운시킨다.
상기 트리거코일(T2)의 풀다운 동작으로 인한 트리거 전압과, 상기 사이닥 (S) 및 저항(R5)의 양단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은 상기 램프부(407)의 방전램프(Tu)의 양단으로 걸려 램프(Tu)의 방전이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기 신호의 발생에 의한 스위칭 동작은 경종회로(401)의 구동과 더불어 방전램프(Tu)를 점멸시키는 것이다.
이상의 본 고안은 평상시에 소화전의 위치를 알리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지속적으로 점등되고, 화재시 감지기 동작신호가 생성되어 경종회로에 전원이 인가되면 경보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방전램프의 점멸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화재시 소화전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얻으며, 상기 경보기의 경보음을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자들이 고전압 방전램프의 섬광에 의해 화재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평상시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등상태를 유지하고, 화재시 위험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경종회로(401)가 구비된 소화전 회로에 있어서,
    상기 경종회로(401)와 병렬 접속되어 감지기 동작신호의 발생시 방전램프 (Tu)를 점멸시키기 위해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발진부(403);
    상기 발진부(403)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기준치 이상의 고전압으로 유도하기 위한 고압발생부(405); 및
    상기 고압발생부(405)로부터 얻어진 고전압으로 방전램프(Tu)를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부(407)로 이루어진 램프 구동회로(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403)는 발진코일(T1) 및 캐패시터(C2), 트랜지스터(Q)를 통해 소정 주기로 발진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고압발생부(405)는 사이닥(S) 및 다이오드(D1), 저항(R4,R5)을 거쳐 고전압을 유도하여, 유도된 고전압과 트리거 코일(T2)에 의거 트리거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램프부(407)는 상기 고압발생부(405) 및 트리거코일(T2)에 의해 방전램프(Tu)가 동작되도록 캐패시터 (C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램프(Tu)는 발광다이오드(LED)와 더불어 렌즈 (301)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KR2019990021608U 1999-10-08 1999-10-08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KR200188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608U KR200188971Y1 (ko) 1999-10-08 1999-10-08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608U KR200188971Y1 (ko) 1999-10-08 1999-10-08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971Y1 true KR200188971Y1 (ko) 2000-07-15

Family

ID=1959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608U KR200188971Y1 (ko) 1999-10-08 1999-10-08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9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9891A (en) Control means for lighting devices
US9445699B2 (en) Low power toilet light illuminator and night light with photosensor activation
US7023353B2 (en) Warning device status circuit including a status output device
WO2008076715A1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irectional signaling apparatus
US20080106695A1 (en) Low battery indicator for electro-active spectacles
KR200188971Y1 (ko) 소화전 램프 표시장치
JP2006113752A (ja) 照明器具
KR20050004362A (ko) 저 전력 소모형 오토바이 도난 방지 시스템
KR200332123Y1 (ko) 통로 유도등
KR200440838Y1 (ko) 화재경보기 경종회로
JP6523754B2 (ja) 光警報装置
US20100264840A1 (en) Flashlight for alarm systems
KR200262311Y1 (ko) 소화전 경보램프 점멸장치
KR100641054B1 (ko) 시각경보기를 구비한 비상유도장치 및 시각경보기 구동방법
KR100515003B1 (ko) 비상경보유도기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JP2005322207A (ja) 独立電源装置
JP4600475B2 (ja) 浄水器
JP2005004267A (ja) ガス漏れ警報器及び点灯制御方法
AU785408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operation of an electric fence
KR200311459Y1 (ko) 수신호용 발광장갑
KR200311460Y1 (ko) 수신호용 발광장갑
JPH09265594A (ja) 警報音響装置
JPH10134851A (ja) バッテリの残量警告装置
KR200354512Y1 (ko) 치한 퇴치기능을 갖는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