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937Y1 -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 - Google Patents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937Y1
KR200188937Y1 KR2019960041813U KR19960041813U KR200188937Y1 KR 200188937 Y1 KR200188937 Y1 KR 200188937Y1 KR 2019960041813 U KR2019960041813 U KR 2019960041813U KR 19960041813 U KR19960041813 U KR 19960041813U KR 200188937 Y1 KR200188937 Y1 KR 200188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steel ball
purg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781U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41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93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7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7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10B31/06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horizontally
    • C10B31/08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horizontally coke ovens with horizontal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4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powdered co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형배관(31-1)에 원주방향으로 수직배관(31-2)이 수직 형성되고, 상기 수직배관(31-2)의 상단이 분배기(10)의 삼방밸브(20)에 연결되는 퍼지용배관(31)과; 상단이 상기 퍼지용배관(31)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유량조절밸브(19)와 콤프레서(11)가 설치되는 퍼지에어배관(36)과; 상단이 상기 퍼지에어배관(36)의 상단부에 연결되면서 밸브(17,16,18)가 차례로 설치되는 스틸볼취입배관(32)과; 상기 취입밸브(16)와 가압밸브(18) 사이의 스틸볼취입배관(32)에 취입밸브(1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가압밸브(18)와 연통되는 에어압력계(30)가 설치되는 취입호퍼(13)와; 상기 취입호퍼(13)의 상부에 충전밸브(14)에 의해 연결되면서 스틸볼(21)이 저장되는 저장호퍼(12)와; 상기 전동밸브(14,15,16,18,20)를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는 운전실제어판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
본 고안은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배기의 미분탄을 용광로에 공급하는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가 막힌 경우 고압의 에어로 스틸볼을 투입시켜 자동 관통시키는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배기(10)에서 취입랜스(22)까지의 길이는 수십m로 취입량 증가에 의해 미분탄의 밀도가 상승되거나, 파쇄불량에 의한 입도증가, 운반용에어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미분탄이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내주면에 흡착되는 경우 막힘이 발생된다.
이때 용광로(35)의 고열에 노출되어 있는 취입랜스(22)는 막힘으로 인해 냉각기능이 상실되고, 이 때문에 취입랜스의 수명이 단축되며, 또한 취입랜스 내부의 미분탄이 탄화되면서 고착상태가 되어 취입랜스의 열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막힌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22)의 관통작업시 먼저 플레시블호스(25)를 해체하게 되는데, 이때 용광로(35) 내부의 열풍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미량의 미분탄만이 통과되도록 막힌 취입랜스 및 취입배관을 고압의 에어로 스틸볼을 투입시켜 자동 관통시킴으로써 설비를 보호하고, 관통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미분탄의 제조, 운반, 취입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미분탄 취입랜스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가 장착된 분배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를 제어하는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콘베어 2 : 원료탄저장조
3 : 급탄기 4 : 분쇄기
5 : 건조열풍 6 : 배그필터
7 : 미분탄저장조 8 : 미분탄취입호퍼
9 : 픽업 10 : 분배기
11 : 콤프레서 12 : 저장호퍼
13 : 관통용취입호퍼 14 : 충전밸브
15,16 : 취입밸브 17 : 차단밸브
18 : 가압밸브 19 : 유량조절밸브
20 : 삼방밸브 21 : 스틸볼
22 : 취입랜스 23 : 로밴드피스
24 : 풍구 25 : 플렉시블호스
26 : 랜스벤트밸브 27,28 : 랜스밸브
31 : 퍼지용배관 32 : 스틸볼취입배관
33 : 연결용호스 34 : 취입배관
35 : 용광로 36 : 퍼지에어배관
40 : 운전실제어판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환형배관에 원주방향으로 수직배관이 수직 형성되고, 상기 수직배관의 상단이 분배기의 삼방밸브에 연결되는 퍼지용배관과; 상단이 상기 퍼지용배관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유량조절밸브와 콤프레서가 설치되는 퍼지에어배관과; 상단이 상기 퍼지에어배관의 상단부에 연결되면서 밸브가 차례로 설치되는 스틸볼취입배관과; 상기 취입밸브와 가압밸브 사이의 스틸볼취입배관에 취입밸브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가압밸브와 연통되는 에어압력계가 설치되는 취입호퍼와; 상기 취입호퍼의 상부에 충전밸브에 의해 연결되면서 스틸볼이 저장되는 저장호퍼와; 상기 전동밸브를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는 운전실제어판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가 장착된 분배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를 제어하는 계통도이다.
먼저 분배기(10)의 외주면 상단부에 방사상의 형상으로 34개의 삼방밸브(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삼방밸브에는 퍼지용배관(Purge Pipe)(31)이 연결되어 있는데,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퍼지용배관은 환형배관(31-1)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34개의 수직배관(31-2)이 연통되도록 수직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직배관(31-2)의 상단이 각각 삼방밸브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환형배관(31-1)의 일측에는 퍼지에어배관(36)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퍼지에어배관(36)에는 우측단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서(11)가 설치되면서 중단부에 에어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1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취입배관(34) 및 취입랜스(22)의 관통작업을 멈춘 상태에서 유량조절밸브(19)를 통해 퍼지용배관(31)에 공급된 퍼지에어량이 100N㎥/Hr이상이면 관통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100N㎥/Hr이하이면 관통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관통작업을 실시한다.
한편 상단이 퍼지에어배관(36)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스틸볼취입배관(32)은 차단밸브(17), 취입밸브(16), 가압밸브(18)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취입밸브(16)와 가압밸브(18) 사이에는 취입밸브(15)가 연결되어 있고, 이 취입밸브(15)의 상단에는 관통용취입호퍼(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취입호퍼(13)의 상부에는 충전밸브(14)에 의해 연결되는 저장호퍼(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장호퍼(12)에는 직경이 2mm인 스틸볼(21)이 충전되어 있고, 이 스틸볼(21)은 충전밸브(14)를 통해 취입호퍼(13)에 충전되면서 취입밸브(15)의 개방으로 스틸볼취입배관(32)에 투입되고 가압밸브(18)로 부터 송풍되는 고압의 질소가스에 의해 퍼지용배관(31)에 공급된다.
그리고 취입호퍼(13)에 연통되도록 부착된 압력계(30)는 가압밸브(18)에서 송풍되는 질소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5kg/㎠이상의 압력이면 스틸볼(21)을 퍼지용배관(31)의 입구까지 안전하게 이송하게 된다.
한편 운전실에 설치되는 제어판넬(40)은 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어 릴레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각 전동밸브(14,15,16,18)에 출력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 출력신호에 의해 각 전동밸브는 개폐가 이루어 진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벨트콘베어(1)에 의해 입조된 원료탄은 원료탄의 저장조(2)에서 급탄기(3)에 의해 분쇄기(4)로 공급되고, 분쇄기에서 원료탄은 파쇄되면서 배그필터(6)에서 여과된 건조열풍(5)에 의해 건조된다.
그리고 분쇄기(4)에서 제조된 미분탄은 미분탄저장조(7)에서 저장되었다가 취입호퍼(8)에 충전되고, 취입호퍼에 충전된 미분탄은 고압의 질소가스에 의해 강제 압출되어 픽업(9)에서 운반용공기(11)와 함께 분배기(10)에 저장된다.
이때 분배기(10)의 미분탄은 운반용공기(11)에 의해 분배되면서 수십m길이의 취입배관(34)을 경유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로밴드피스(Low Bend Piece)(28)에 부착된 취입랜스(22)를 통해 용광로(35)에 강제 취입된다.
한편 수십m 길이의 취입랜스(22) 및 취입배관(34)가 미분탄에 의해 막혔을 때 삼방밸브(50)를 취입모드에서 퍼지모드(Purge Mode)로 절환하고, 운전실의 제어판넬에서 취입랜스 및 취입배관의 개공지령을 보낸다.
그리고 개공지령을 받으면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릴레이를 구동시키면서 출력신호를 보내고, 출력신호를 받은 전동밸브(14,15,16,18)가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동작하게 된다.
즉, 충전밸브(14)가 열리면서 지름 2mm의 스틸볼(21)이 저장호퍼(12)로 부터 취입호퍼(13)로 이동 충전되고, 스틸볼이 취입호퍼에 충전되면 충전밸브(14)가 잠기면서 퍼지용배관(31) 내에 스틸볼(21) 투입을 도와주는 가압밸브(18)가 개방된다.
또한 가압밸브(18)가 열림과 동시에 취입밸브(15,16) 및 차단밸브(17)가 열리면서 고압의 질소가스 및 취입호퍼(13)내의 스틸볼(21)이 스틸볼취입배관(32)에 공급되고, 이 스틸볼은 고압의 질소가스에 의해 스틸볼취입배관(32)을 따라 퍼지용배관(31)의 입구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콤프레서(11)가 작동되면서 고압(18kg/㎠)의 퍼지에어가 퍼지에어배관(36)에 공급되고, 퍼지에어는 퍼지용배관(31)의 입구에서 스틸볼(21)과 뭉치면서 고압을 이용하여 스틸볼을 퍼지용배관에 강제 압입시킨다.
따라서 퍼지용배관(36) 내에 퍼지에어에 의해 강제 압송되는 스틸볼(21)은 미분탄에 의해 막혀있는 취입배관(34) 및 취입랜스(22)를 차례로 관통하게 되고, 고착된 미분탄을 완전히 청소하게 된다.
한편 설정된 관통시간이 도달되면 취입밸브(15)가 잠기게 되고, 동시에 취입밸브(16) 및 가압밸브(18)가 폐쇄되면서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관통장치가 멈추게 된다.
그리고 운전실의 제어판넬에서 개공시간의 설정은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막힘정도에 따라 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취입배관(34) 및 취입랜스(22)의 관통작업을 멈춘 상태에서 유량조절밸브(19)를 통해 퍼지용배관(31)에 공급된 퍼지에어량이 100N㎥/Hr이상이면 관통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100N㎥/Hr이하이면 관통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관통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퍼지에어량이 100N㎥/Hr이상 송풍되어 관통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방밸브(20)를 퍼지모드에서 취입모드로 절환하여 용광로(35)에 미분탄을 재취입하게 된다.
본 고안은 미량의 미분탄만이 통과되도록 막힌 취입랜스 및 취입배관을 고압의 에어로 스틸볼을 투입시켜 자동 관통시킴으로써 설비를 보호하고, 관통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환형배관(31-1)에 원주방향으로 수직배관(31-2)이 수직 형성되고, 상기 수직배관(31-2)의 상단이 분배기(10)의 삼방밸브(20)에 연결되는 퍼지용배관(31)과; 상단이 상기 퍼지용배관(31)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유량조절밸브(19)와 콤프레서(11)가 설치되는 퍼지에어배관(36)과; 상단이 상기 퍼지에어배관(36)의 상단부에 연결되면서 밸브(17,16,18)가 차례로 설치되는 스틸볼취입배관(32)과; 상기 취입밸브(16)와 가압밸브(18) 사이의 스틸볼취입배관(32)에 취입밸브(1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가압밸브(18)와 연통되는 에어압력계(30)가 설치되는 취입호퍼(13)와; 상기 취입호퍼(13)의 상부에 충전밸브(14)에 의해 연결되면서 스틸볼(21)이 저장되는 저장호퍼(12)와; 상기 전동밸브(14,15,16,18,20)를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는 운전실제어판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
KR2019960041813U 1996-11-25 1996-11-25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 KR200188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813U KR200188937Y1 (ko) 1996-11-25 1996-11-25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813U KR200188937Y1 (ko) 1996-11-25 1996-11-25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781U KR19980028781U (ko) 1998-08-05
KR200188937Y1 true KR200188937Y1 (ko) 2000-09-01

Family

ID=1947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813U KR200188937Y1 (ko) 1996-11-25 1996-11-25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9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659B1 (ko) * 2000-12-21 2004-12-09 주식회사 포스코 미분탄 취입설비의 이송본관 이상시 퍼지 및 재취입공정을위한 제어시스템
CN117862838B (zh) * 2024-03-11 2024-05-07 广东创锋精工机械有限公司 一种螺母钢珠填装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781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9166A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olid residues from a gas purification installation
CA1284808C (en) High speed auger venturi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bulk materials
US6802268B2 (en) Device for discharging dust from a dry dust collector of a blast furnace
US4599017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automatic charging a plurality of receiving stations with pulverized material
KR200188937Y1 (ko) 미분탄 취입배관 및 취입랜스의 자동관통장치
CA22162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blocking conveying pipe
KR20020012285A (ko) 분립체의 잘라냄ㆍ반송방법 및 그 장치
US4395166A (en) Fluidization and distribution
US6231638B1 (en) Process for producing metal from metal ores
KR100489033B1 (ko) 고로 미분탄 취입라인의 픽업부 막힘관통장치
JPH06135561A (ja) 石炭塔内の石炭付着防止方法
EP2425026B1 (en) Method for feeding a burden to a blast furnace
RU2150422C1 (ru) Способ введения второго потока пылевидных материалов в трубопровод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о которому перемещают первый поток пылевидных материалов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одачей
KR100889506B1 (ko) 분진 비산 방지장치
JPH01181624A (ja) 樹脂材料の気力輪送方法及び装置
JPS6331939A (ja) 粉粒体用高圧輸送装置
CA10755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dust separated from gases
KR19990017157U (ko) 석탄 급탄기의 슈트 막힘방지장치
KR970006412Y1 (ko) 파폐쇄장치가 구비된 분진폐기물 배출장치
JP3053327B2 (ja) 微粉炭吹き込み用フィードタンクの排圧配管
KR0116083Y1 (ko) 미분탄 생산라인의 고로풍구 피시랜스 막힘방지장치
SU1609626A1 (ru) Дробеструйна установка
KR200264856Y1 (ko) 분광석 토출량 제어장치를 구비한 분광석 취입장치
WO2021134338A1 (zh) 一种封闭型活性炭储存输送系统
KR19990035061A (ko) 고로 미분탄 취입설비의 수직슈트 막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