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839Y1 - 조립식 도시락통 - Google Patents

조립식 도시락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839Y1
KR200188839Y1 KR2020000002118U KR20000002118U KR200188839Y1 KR 200188839 Y1 KR200188839 Y1 KR 200188839Y1 KR 2020000002118 U KR2020000002118 U KR 2020000002118U KR 20000002118 U KR20000002118 U KR 20000002118U KR 200188839 Y1 KR200188839 Y1 KR 200188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te
plate member
lunch box
main bod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락
Original Assignee
이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락 filed Critical 이상락
Priority to KR2020000002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도시락통에 관한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놓아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사용시에는 각각의 부재를 조립시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도시락통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직사각형의 바닥판부재의 4면에 낱장의 수직판부재를 연결하여 구성된 본체와, 이 본체 위에 덮히는 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부재는 그 양측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이고, 이 절곡된 양측단부에는 좌우측 수직판부재가 연결됨으로써 전후측 수직판부재를 접고나서 그 위로 좌우측 수직판부재를 접기가 용이하게 되며, 상기 전후측 수직판부재의 양단에는 결합플렌지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플렌지가 끼워지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부와 결합플렌지를 결합시킴으로써 본체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조립시킬 수 있는 도시락통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도시락통은 조립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야외 나들이나 소풍시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도시락통을 접은 후 뚜껑에 끼움으로써 간편하게 가지고 올 수 있고, 도시락통을 보관하기에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도시락통{prefabricated lunch-box}
본 고안은 조립식 도시락통에 관한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놓아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사용시에는 각각의 부재를 조립시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도시락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유회나 소풍 등을 갈때 김밥이나 토스트, 샌드위치 등의 점심 식사를 준비하는데, 통상적인 도시락통은 음식물을 다 먹고 난 후 빈통을 들고 와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이를 보관함에 있어서도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조립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후 보관시에는 그 부피를 줄일 수 있게되어 보관이 용이하며 휴대가 간편한 도시락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사각형의 바닥판부재의 4면에 낱장의 수직판부재를 연결하여 구성된 본체와, 이 본체 위에 덮히는 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부재는 그 양측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이고, 이 절곡된 양측단부에는 좌우측 수직판부재가 연결됨으로써 전후측 수직판부재를 접고나서 그 위로 좌우측 수직판부재를 접기가 용이하게 되며, 상기 전후측 수직판부재의 양단에는 결합플렌지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플렌지가 끼워지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부와 결합플렌지를 결합시킴으로써 본체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조립시킬 수 있는 도시락통을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조립식 도시락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조립식 도시락통을 접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도시락통의 본체를 접어 뚜껑에 삽입시킨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바닥판부재
12 : 전후측 수직판부재 13 : 좌우측 수직판부재
14 : 결합플렌지 15 : 결합홈부
16 : 결합돌기 20 : 뚜껑
이하 본 고안의 도시락통을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1은 본 고안의 도시락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김밥, 토스트, 샌드위치 등을 담는 본체(10)와, 뚜껑(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와 뚜껑(20)은 통상적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상기 본체(10)는 직사각형의 바닥판부재(11)에 4면으로 낱장의 수직판부재(12)(13)가 연결된 것으로, 상기 바닥판부재(11)와 수직판부재(12)(13)는 일정부위가 플라스틱재로 접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직판부재(12)(13)가 바닥판부재(11)에 연결된 상태에서 180°이상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4개의 수직판부재(12)(13) 중 도시락통의 전면과 후면을 이루는 전후측 수직판부재(12)는 그 양측단부에 결합플렌지(14)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측 수직판부재(12)에 접하게 되는 좌우측 수직판부재(13)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결합플렌지(14)가 삽입가능한 결합홈부(1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플렌지(14)의 일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돌출부(14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플렌지(14)가 결합홈부(15)에 삽입될 때 그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13)가 바닥판부재(11)에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재(11)의 양측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소정높이의 절곡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부(11a)에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13)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절곡부(11a)는 상기 전후측 수직판부재(12)를 바닥판부재(11)에 접어놓은 후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13)를 그 위로 접어놓았을 때 좌우측 수직판부재(13)가 수평으로 접힐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13)의 양단 즉, 결합홈부(15)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전후측 수직판부재(12)를 바닥판부재(11)에 접어놓은 후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13)를 그 위로 접어놓게 되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6)가 바닥판부재(11)와 전후측 수직판부재(12)를 연결한 플라스틱재에 걸리게 되어 그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한다.
또한, 뚜껑(20)의 내측면에는 4개의 모서리 부위로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도시락통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전후측 수직판부재(12)에 형성된 결합플렌지(14)와 좌우측 수직판부재(13)의 결합홈부(15)를 결합시키면 직육면체형의 도시락통 본체(10)가 완성되고, 이와 같은 본체(10)에 김밥이나 토스트, 샌드위치 등의 음식물을 담고 뚜껑(20)을 닫으면 도시락통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뚜껑(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1)로 인해 본체(10)와 뚜껑(2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된다.
이후, 음식물을 다 먹은 후에는 상기 결합홈부(15)에서 결합플렌지(14)를 이탈시켜 전후측 수직판부재(12)와 좌우측 수직판부재(13)의 결합을 해제한 후 상기 전후측 수직판부재(12)를 바닥판부재(11) 위로 접고, 그 위에 좌우측 수직판부재(13)를 접는다.
이때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13)의 양단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6)가 바닥판부재(11)와 전후측 수직판부재(12)를 연결한 플라스틱재에 걸리게 되어 접은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접혀진 본체(1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 내에 삽입이 가능하며, 뚜껑(20)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21)에 의해 뚜껑(20)에 삽입된 본체(10)가 뚜껑(20) 내에서 유동하지 않고 꼭맞게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음식물을 다 먹은 후에는 도시락통 본체를 해체한 후 접어서 뚜껑에 끼우면 간편하게 가지고 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도시락통을 보관할 때에도 본체를 접어 뚜껑에 끼우면 되므로 보관하기가 용이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직사각형의 바닥판부재(11)의 4면에 낱장의 수직판부재(12)(13)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본체(10)와, 이 본체(10) 위에 덮히는 뚜껑(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부재(11)는 그 양측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상방향 절곡된 형상이고, 이 절곡된 양측단부에 좌우측 수직판부재(13)가 연결됨으로써, 전후측 수직판부재(12)를 바닥판부재(11)에 접고나서 그 위로 좌우측 수직판부재(13)를 접기가 용이하게 되며, 상기 전후측 수직판부재(12)의 양단에는 결합플렌지(14)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13)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플렌지(14)가 끼워지는 결합홈부(15)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부(15)와 결합플렌지(14)를 결합시킴으로써 본체(10)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조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시락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15)의 내측면에는 상기 좌우측 수직판부재(13)를 접을 때 바닥판부재(11)에 걸릴 수 있는 결합돌기(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시락통.
KR2020000002118U 2000-01-26 2000-01-26 조립식 도시락통 KR200188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18U KR200188839Y1 (ko) 2000-01-26 2000-01-26 조립식 도시락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18U KR200188839Y1 (ko) 2000-01-26 2000-01-26 조립식 도시락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839Y1 true KR200188839Y1 (ko) 2000-07-15

Family

ID=1963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118U KR200188839Y1 (ko) 2000-01-26 2000-01-26 조립식 도시락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8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42533U (zh) 折叠式纸杯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200188839Y1 (ko) 조립식 도시락통
US4290658A (en) Drawer file cabinet
JP3243381U (ja) 折りたたみ式コンビネーションポータブルカトラリーセット
JP5437697B2 (ja) 輸送容器
JPS6313160Y2 (ko)
KR101057823B1 (ko) 접이식 용기 및 즉석식품
JP3230468U (ja) 折り畳み携帯食品ケース
JP4402261B2 (ja) 提手付き紙箱
KR20200109587A (ko) 상품 포장용 종이백
JPH0327458Y2 (ko)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JP3095059U (ja) 保冷剤用スペース付組立て箱
KR20180029996A (ko) 다층 적재 구조 포장용 상자
JP2004051142A (ja) 断熱容器
JPH062908Y2 (ja) 簡易重箱
JPS6013772Y2 (ja) 折畳内箱付菓子箱
JP2001114263A (ja) 紙製包装箱
KR200256165Y1 (ko) 다용도 박스
JPS5929895Y2 (ja) 容器
JP2003011965A (ja) 食品収納用簡易容器
JPS5938346Y2 (ja) 食卓皿兼用の食品容器
JP2001315765A (ja) 料理品容器
JPS5916251Y2 (ja) 包装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