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247Y1 - 포대입구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포대입구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247Y1
KR200188247Y1 KR2020000003729U KR20000003729U KR200188247Y1 KR 200188247 Y1 KR200188247 Y1 KR 200188247Y1 KR 2020000003729 U KR2020000003729 U KR 2020000003729U KR 20000003729 U KR20000003729 U KR 20000003729U KR 200188247 Y1 KR200188247 Y1 KR 200188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mechanism
inlet
bag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진
Original Assignee
문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진 filed Critical 문수진
Priority to KR2020000003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2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대 입구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 양쪽 2개의 개방가능한 입구부재(10)(20)로 이루어지되, 이 입구부재(10)(20)에 각각 절취선(11)(21)이 형성되고, 이 절취선(11)(21)을 경계로 하부는 부착판(12)(22)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11)(21)의 상부에는 오물을 쓸어담을 수 있도록 분리가능한 분리판(13)(23)으로 구성된 것으로,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합성수지재봉투등에 부착하여 각종 취급이 곤란한 배설물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음은 물론, 그외에 각종 오물등을 간편하게 수거처리할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포대입구 개폐기구{A Inlet Opening and Closing Unit of a Packing Device }
본 고안은 포대 입구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각종 포대의 입구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포대는 여러가지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부를 가지고 있는 바, 소정의 내용물을 담은 다음에는 밀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포대의 입구부에 패스너나 기타 잠금역할을 할 수 있는 수단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예를들어 각종 오물(각종 쓰레기 애완동물의 배설물 등)을 수거하고자 하는 경우, 간편하게 휴대하고 있다가 사용시, 패스너가 부착된 비닐재의 봉지 인 경우, 오물을 주어담아 밀봉할 수 있으나, 손으로 직접 주워 담아야 하므로 손이 더러워지고, 자칫 만지기 곤란한 오물인 경우에는 주워담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애완동물등을 기르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애완동물을 데리고 산책등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애완동물을 데리고 산책등을하는 경우, 예를들어 애완견이 지나가면서 배출한 배설물을 처리하는 것이 문제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거할 수 있는 봉투가 별도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거하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았고, 그에 따라 각종 배설물이 여기저기 그대로 방치되어 타인이 지나가면서 보게되어 시각적으로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와 더불어 매우 불쾌감을 주는 한편, 자칫 행인이 발생된 배설물을 무심코 밟게되는 경우, 신발이 더러워져 난처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이에 대비하여 합성수지재봉투 등을 휴대하고 있다가 오물을 싸서 쓰레기통에 버리는 사람들도 있지만, 오물을 봉투에 담을 때 봉투 입구 주변에 오물이 묻어 후속 처리가 매우 불편한 경우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손에 봉투를 씌워 직접 오물을 담을 경우, 불쾌한 냄새를 맡게 될 뿐만 아니라, 손으로 오물을 잡을 때의 불쾌한 느낌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봉투와 같은 도구을 휴대하기 어렵고, 휴대할 수 있더라도 사용이 불편하여 오물의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비단 애완견의 배설물 뿐만 아니라, 길거리에 나뒹구는 오물들으을 쉽게 수거하여 처분할 수 있으며, 봉투에 오물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간편한 도구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각종 오물을 담을 수 있는 포대에 장착하여 손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포대 입구 개폐기구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기구가 포대에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폐기구가 포대에 적용된 상태에서 분리판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분리판의 양단에 절취선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분리판의 양단을 절취하여 경사면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판을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a, 8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20 : 입구부재
11,21 : 절취선
12,22 : 부착판
13,23 : 분리판
13a,23a : 절취선
13b,23b : 경사면
30 : 접착부
32 : 분리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포대 입구 개폐기구는, 양쪽 2개의 개방가능한 입구부재로 이루어지되, 이 입구부재에 각각 절취선이 형성되고, 이 절취선을 경계로 하부는 수거부의 상부 입구부에 부착고정되도록 하는 부착판을 구성하고, 상기 절취선의 상부는 오물을 쓸어담을 수 있도록 분리가능한 분리판을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구부재의 부착판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한 접착부를 형성하여 접착부가 포대의 안쪽 또는 외면에 부착되도록 하여 포대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취선은 입구부재 모두 또는 어느 한쪽에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판의 모서리부는 절취선 또는 모두 따내어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입구부재에 절취선의 형성없이 일체로 형성하면서,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접착부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후지재의 분리편을 구비하여, 상기 분리편을 이용하여 오물을 봉투에 쓸어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편의 양측 모서리부에 절취선 또는 절단된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폐기구는, 양쪽 2개의 개방가능한 입구부재(10)(20)로 이루어지진다. 상기 입구부재(10)(20)에는 절취선(1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취선(11)(21)을 경계로 하부는 부착판(12)(22)을 구성하며, 상기 절취선(11)(21)의 상부는 오물을 쓸어담을 수 있도록 분리가능한 분리판(13)(23)을 구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구부재(10)(20)의 일측에서 분리된 분리판은, 오물을 밀거나집어서 봉투(40)로 투입하는 기구로서 사용되며, 분리되지 아니한 분리판은 오물이 용이하게 봉투(40)로 투입될 수 있도록, 마치 쓰레받기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입구부재(10)(20)는 종이재 예컨데, 마분지, 골판지 등과 같이 소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또는 합성수지재로 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재(10)(20)의 부착판(13)(23)에는, 오물을 담을 수 있는 봉투(4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에 접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30)는 양면테이프를 부착하거나 소정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소정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부(30)를 형성하는 경우, 봉투(40)와 결합되기 전까지 접착제의 접착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후지재을 이용하여 접착부(30)를 덮어둔다.
본 고안의 개폐기구의 사용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30)에 덮혀진 후지재 또는 양면테이프의 막을 벗겨낸 후, 상기 접착부(30)를 봉투(40)의 안쪽 또는 외면에 부착하여 개폐기구를 봉투(40)와 일체로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입구부재에 형성된 절취선(11)(21)은, 입구부재 전부 또는 입구부재중 어느 하나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분리된 분리판을 반으로 접었을 때, 도 6과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13)(23)이 평행사변형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분리판(13)(23)의 양단 모서리부에 경사진 절취선(13a)(23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절취선을 형성하는 대신에 미리 모서리를 절취하여 경사면(13b)(23b)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부재(10)(20)에 절취선의 형성없이 일체로 형성하면서,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접착부(30)에 덮혀지는 보호막을 분리편(32)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폐부재를 봉투(40)에 결합하기 위하여 접착부(30) 위의 분리편(32)을 제거한 후, 분리된 분리편(32)을 앞서 설명한 분리판과 같이, 오물을 쓸어담는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편(32) 역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편(32)의 양측 모서리부에도 절취선(32a) 또는 절단한 상태의 경사면(32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개폐기구가 결합되는 봉투(4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일반적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봉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연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봉투를 사용하게 되면 환경친화적 성격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50은 봉투(40)의 상부 입구에 구비된 봉투접촉부(40)인데, 오물을 투입한 후, 개폐기구를 봉투와 함께 말게 되면, 상기 봉투접촉부(40)가 개폐기구 또는 봉투의 다른 부분과 부착되어 봉투가 완전하게 밀봉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60은 오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개폐기구는, 통상의 포대, 예를들어 합성수지재봉투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개폐기구를 합성수지재봉투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개폐기구의 입구부재(10)(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접착부(30)의 보호막을 벗겨낸 후, 접착부(30)를 합성수지재봉투(40)의 외면 또는 내면 상부에 각각 부착하여 개폐기구를 봉투(40)와 일체로 결합한다.
봉투(40)와 결합된 개폐기구의 상기 입구부재(10)(20)에 형성된 절취선(11)(21) 중 어느 하나의 절취선을 절취하여 분리판(13)(23)을 분리한다. 도 3에는 두 개의 분리판(13)(23) 중 부재번호 13으로 표시된 분리판(13)이 분리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리판(13)을 분리한 상태에서 분리판을 분리하지 않은 입구부재면을 지면에 대고 양측을 눌러 벌린 다음, 분리된 분리판(13)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배설물과 같은 오물(60)을 봉투(40)내로 밀어 담는다. 그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오물(60)을 담은 다음에는 이를 말아서 쓰레기통 등에 집어넣어 처리하면 된다.
또한, 상기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묽은 경우에는 주변의 흙이나 휴지등을 사용하여 배설물과 혼합한 다음, 상기 분리한 분리판을 이용하여 합성수지재봉투의 내부에 담으면 된다.
일반적인 봉투를 이용하여 애완견의 배설물과 같은 오물을 담는 경우에는, 봉투의 입구가 지면에 잘 밀착되지 않아 오물을 담기가 매우 어려웠으나, 본 고안에서는,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개폐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분리되지 않은 입구부재는 소정 강성을 갖게 되므로, 분리되지 않은 입구부재는 마치 쓰레받기처럼 지면에 밀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오물을 용이하게 봉투로 담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재로부터 분리된 분리판(13)(23)에 절취선(13a)(23a)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따내면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분리판을 반으로 접어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분리판의 단부길이가 연장된다. 그에따라 상기 분리판(13) 또는 분리판(23)의 접어진 끝단부가 경사면이 일치하는 순간, 일직선이 되기때문에 보다 연장된 접촉길이를 이루어 마치 빗자루와 같은 기능으로 일시에 많은 양의 오물(60)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13)(23)의 양단에 절취선(13a)(23a)를 형성하는 대신에, 따내어 경사면(13b)(23b)을 형성하여 이를 접어서 상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분리판(13) 또는 분리판(23)을 접어서 사용하지 않고 반으로 일단 접은 후 길이가 긴쪽을 지면에 닿게 하여 오물을 쓸어담을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재 자체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접착부(30)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후지재로서도 기능하는 분리편(32)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입구부재(10)(20)에 갖추어진 접촉부(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분리편(32)을 분리한 다음 합성수지재봉투(40)에 부착한 후, 분리된 분리편(32)을 가지고 배설물등을 합성수지재봉투(40)안으로 담으면 된다.
이 경우, 별도의 절취선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개폐기구의 제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되고, 접촉부(30)를 덮고 있던 후지재를 오물 처리용 분리편(32)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리편(32)을 이용하여 오물을 수거하는 방법은 상기 분리판(13)(23)을 이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합성수지재봉투등에 부착하여 각종 취급이 곤란한 배설물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음은 물론, 그외에 각종 오물등을 간편하게 수거처리할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양쪽 2개의 개방가능한 입구부재로 이루어지되, 이 입구부재에 절취선이 형성되고, 이 절취선을 경계로 하부는 부착판을 구성하며, 상기 절취선의 상부에는 오물을 담을 수 있도록 분리가능한 분리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입구 개폐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포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부재의 부착판에는 각각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입구 개폐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입구부재의 전부 또는 어느 하나에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입구 개폐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재는 포대의 상부 입구 안쪽 또는 외면에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포대 입구 개폐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을 분리하여 접었을 때 하부면이 일직선을 이룰수 있도록, 상기 분리판의 양단 모서리부에 경사진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입구 개폐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재를 절취선의 형성없이 일체로 형성하면서,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접촉부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후지재의 분리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분리편은 접촉부로부터 분리되어 오물을 쓸어담는 기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입구 개폐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편의 양측 모서리부에 절취선 또는 절단된 상태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입구 개폐기구.
KR2020000003729U 2000-02-12 2000-02-12 포대입구 개폐기구 KR200188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729U KR200188247Y1 (ko) 2000-02-12 2000-02-12 포대입구 개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729U KR200188247Y1 (ko) 2000-02-12 2000-02-12 포대입구 개폐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606A Division KR100356009B1 (ko) 2000-02-12 2000-02-12 포대 입구 개폐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247Y1 true KR200188247Y1 (ko) 2000-07-15

Family

ID=1964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729U KR200188247Y1 (ko) 2000-02-12 2000-02-12 포대입구 개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2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4762A (en) Animal waste pick-up and disposal scoop apparatus
US4138153A (en) Sanitary self-contained fecal waste container
US4458932A (en) Disposable container for animal waste
US7625026B2 (en) Animal litter collector
US7472668B2 (en) Animal litter collector
WO1989006089A1 (en) Disposable animal waste collector
US6527320B1 (en) Animal droppings collector
EP1482783B1 (en) Dog leash provided with a rigid handle including means for collecting and disposing of the animal excrements
US20070181593A1 (en) Manual material collection bag kit with internally attached cleansing towelette
US4858559A (en) Disposable pet toilet unit
KR200188247Y1 (ko) 포대입구 개폐기구
KR100356009B1 (ko) 포대 입구 개폐기구
KR200187935Y1 (ko) 개폐기구가 구비된 오물수거용 포대
US20050006914A1 (en) Disposable animal waste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RU168856U1 (ru) Устройство ручного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экскрементов животных
EP0546491A1 (en) Pack for collection and disposal of animal excrements, especially of dogs
JP3646866B2 (ja) 動物の糞処理具
KR200331637Y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 위생봉투
NL1028175C1 (nl) Inrichting voor het opnemen van uitwerpselen.
EP0780520A1 (en) Deodorizing pack and deodorizing bag
JP7353945B2 (ja) 犬の糞処理具
KR200277409Y1 (ko) 일회용 위생 비닐포대
JP3081687U (ja) ペット排泄物の採取用紙とその採取容器
JP2508982Y2 (ja) ペット用糞採取容器
JP3140167U (ja) ペット用糞処理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