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990Y1 - 깔때기 겸용 바가지 - Google Patents

깔때기 겸용 바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990Y1
KR200187990Y1 KR2019990029710U KR19990029710U KR200187990Y1 KR 200187990 Y1 KR200187990 Y1 KR 200187990Y1 KR 2019990029710 U KR2019990029710 U KR 2019990029710U KR 19990029710 U KR19990029710 U KR 19990029710U KR 200187990 Y1 KR200187990 Y1 KR 200187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urd
handle
liquid
water pipe
f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섭
Original Assignee
송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섭 filed Critical 송병섭
Priority to KR2019990029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1Cooking spoons; L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 A47J43/285Skimmers; Skimming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깔때기 겸용 바가지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양의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의 일측에 일정길이의 손잡이(2)가 형성된 바가지에 있어서,
손잡이(2)의 내부에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된 수관(10)을 형성하되, 수관(10)의 일측은 몸체(1)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손잡이(2)의 끝부분에 관통되어 유출구(11)를 이루도록 하며, 유출구(11)가 형성된 손잡이(2) 끝부분의 외주면 상에 나사결합부(12)를 형성하고, 이 나사결합부(12)에 결합되어 수관(10)을 밀폐시키는 캡(13)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바가지에 담겨진 내용물(물, 화학약품과 같은 액체)을 입구가 작은 용기에 손쉽게 옮겨담을 수 있도록 한 깔때기 겸용 바가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깔때기 겸용 바가지{Groud combine funnel}
본 고안은 깔때기 겸용 바가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가지의 손잡이 내부에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관을 형성하되, 이 수관의 끝부분이 외부와 통하도록 하여 바가지에 담겨진 내용물(물, 화학약품과 같은 액체)을 입구가 작은 용기에 손쉽게 옮겨담을 수 있도록 한 깔때기 겸용 바가지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바가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정양의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의 일측에 일정길이의 손잡이(2)가 형성된 구성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바가지는 사용자가 물이나 화학약품과 같은 액체를 퍼 담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잡이(2)를 손으로 잡고 몸체(1) 부분을 이용하여 액체를 다른 용기에 퍼담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바가지는 몸체(1) 부분이 둥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바가지로 액체를 떠서 입구가 좁은 병과같은 용기에 액체를 담을 경우 액체가 용기의 좁은 입구에 정확히 부어지지 않게되어 액체의 일부분이 용기 밖으로 흐르게되고, 이와같은 이유로 용기의 외면이 더렵혀지고, 용기에 부어지는 액체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약품을 바가지를 이용하여 입구가 좁은 용기에 담고자 할 경우, 바가지의 몸체(1) 부분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의 좁은 입구에 액체를 정확히 유입시킬 수 없게되고, 이에따라 약품의 일부분이 용기에 담겨지지 못하고 용기외부로 흘러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추형으로 형성된 깔대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같이 깔대기를 이용하게되면 별도의 기구를 구비해야만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깔대기가 바가지와는 별도로 존재하므로 분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가지의 손잡이 내부에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관을 형성하되, 이 수관의 끝부분이 외부와 통하도록 하여 바가지에 담겨진 내용물(물, 화학약품과 같은 액체)을 입구가 작은 용기에 손쉽게 옮겨담을 수 있도록 한 깔때기 겸용 바가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정양의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의 일측에 일정길이의 손잡이가 형성된 바가지에 있어서,
손잡이의 내부에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된 수관을 형성하되, 수관의 일측은 몸체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손잡이의 끝부분에 관통되어 유출구를 이루도록 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손잡이 끝부분의 외주면상에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이 나사결합부에 결합되어 수관을 밀폐시키는 캡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의 몸체 상측으로 몸체의 개방면을 부분적으로 막아주는 차단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의 몸체 일측에 수관으로 이동하는 액체의 이동을 안내해주는 구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바가지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깔때기 겸용 바가지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깔때기 겸용 바가지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깔때기 겸용 바가지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손잡이
10: 수관 11: 유출구
12: 캡 14: 차단판
15: 구면부
도면 도 2 내지 도 5 는 본 고안의 깔때기 겸용 바가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부호 1 은 일정양의 액체가 담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 바가지의 몸체를 나타내며, 이 몸체(1)의 일측으로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일정길이의 손잡이(2)가 형성된다.
손잡이(2)의 내부에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관(10)을 형성하였는데,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관(10)의 일측은 몸체(1) 내부와 연통되고 그 타측은 손잡이(2)의 끝부분에 관통되어 액체가 유출되기 위한 유출구(11)를 이루도록 하였다.
유출구(11)가 형성된 손잡이(2) 끝부분의 외주면상에는 나사결합부(12)를 형성하고, 이 나사결합부(12)에 결합되어 수관(10)의 유출구(11)가 밀폐되도록 하는 캡(13)을 구성한다.
상기 유출구(11)가 형성된 부분은 손잡이(2)의 다른 부분보다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입구가 좁은 용기에 액체를 담을 때 상기 유출구(11) 부분이 용기의 입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바가지를 이용하여 액체를 입구가 좁은 용기에 담고자 하여 캡(13)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몸체(1)에 일정양의 액체를 퍼 담은 후 손잡이(2)의 끝부분에 형성된 유출구(11)를 용기의 입구에 위치시킨 후 몸체(1)를 기울여주면 몸체(1)에 담겨진 액체가 수관(10)을 통해 이동하여 용기에 담겨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는 액체를 용기가 좁은 용기에 담을때 몸체(1) 부분을 급격히 기울임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액체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14)을 손잡이(2)가 형성된 부분의 몸체(1) 상측으로 형성하고, 또한 액체가 수관(10)으로 보다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는 구면부(15)를 손잡이(2)와 몸체(1)의 연결부위에 형성하였다.
차단판(14)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의 상면 일부분을 막아주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그 설치위치는 손잡이(2)가 형성된 부분에 치우치도록 형성한다.
이와같이 차단판(14)이 몸체(1)의 상면에 형성되면 액체를 입구가 좁은 용기에 담고자하여 몸체(1) 부분을 급격히 기울이더라도 넘치려고하는 액체가 차단판(14)에 의해 차단되므로 넘치지 않게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게되고, 액체를 용기에 담고자하여 몸체(1)부분을 기울일때 몸체(1) 내에 존재하는 구면부(15)를 통해 액체가 안내되어 수관(10)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몸체(1) 내에 존재하는 액체를 마지막 한방울 까지 모두 용기에 옮겨담을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깔때기 겸용 바가지는 일반 바가지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를 입구가 좁은 용기에 옮겨 담을 때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 바가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캡(13)을 나사결합부(12)에 결합시켜 몸체(1)에 담겨진 액체가 유출구(11)로 유출되지 않도록하여 본 고안의 깔때기 겸용 바가지를 일반적인 바가지로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가지를 깔때기로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13)을 나사결합부(12)로 부터 분리시켜 유출구(11)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에 일정양의 액체가 담겨지도록 한 후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11)가 용기의 입구에 위치되도록하고, 몸체(1) 부분을 기울여주면 몸체(1) 내에 담겨있던 액체가 수관(10)을 통해 유출구(11) 측으로 이동하여 입구가 좁은 용기 내부로 옮겨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깔때기 겸용 바가지를 이용하여 액체를 입구가 좁은 용기에 옮겨 담게 되면, 옮겨지는 액체가 직경이 작은 유출구(11)를 통해 용기로 옮겨지게 되므로 용기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바가지의 손잡이 내부에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관을 형성하되, 이 수관의 끝부분이 외부와 통하도록 하여 바가지에 담겨진 내용물(물, 화학약품과 같은 액체)을 입구가 작은 용기에 손쉽게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한 깔때기 겸용 바가지이다.

Claims (3)

  1. 일정양의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의 일측에 일정길이의 손잡이(2)가 형성된 바가지에 있어서,
    손잡이(2)의 내부에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된 수관(10)을 형성하되, 수관(10)의 일측은 몸체(1)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손잡이(2)의 끝부분에 관통되어 유출구(11)를 이루도록 하며, 유출구(11)가 형성된 손잡이(2) 끝부분의 외주면 상에 나사결합부(12)를 형성하고, 이 나사결합부(12)에 결합되어 수관(10)을 밀폐시키는 캡(13)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 겸용 바가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가 형성된 부분의 몸체(1) 상측으로 몸체(1)의 개방면을 부분적으로 막아주는 차단판(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 겸용 바가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가 형성된 부분의 몸체(1) 일측에 수관(10)으로 이동하는 액체의 이동을 안내해 주는 구면부(1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 겸용 바가지.
KR2019990029710U 1999-12-24 1999-12-24 깔때기 겸용 바가지 KR200187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10U KR200187990Y1 (ko) 1999-12-24 1999-12-24 깔때기 겸용 바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10U KR200187990Y1 (ko) 1999-12-24 1999-12-24 깔때기 겸용 바가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990Y1 true KR200187990Y1 (ko) 2000-07-15

Family

ID=1960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710U KR200187990Y1 (ko) 1999-12-24 1999-12-24 깔때기 겸용 바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9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7342A (en) Pushbutton type bottle cap
FR2611759A1 (fr) Dispositif doseur et distributeur d'un produit fluide, a deposer librement dans l'enceinte mobile d'une machine
KR100518165B1 (ko) 배출 뚜껑
JPH0471785B2 (ko)
JP2653662B2 (ja) 液体貯蔵、移送装置
KR200187990Y1 (ko) 깔때기 겸용 바가지
US890018A (en) Dose-stopper.
NO123469B (ko)
US8220671B2 (en) Lubricant dispenser with nozzle
JP2004026230A (ja) 液体排出補助具及び容器
KR0122554Y1 (ko) 액체용기의 공기주입 장치
KR200206990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
KR950000627Y1 (ko) 액체수납용기
EP0585393A1 (en) POURER.
US7971288B2 (en) Waste fitting
JPH0137551Y2 (ko)
SU380555A1 (ru) Пробка для укупорки емкостей с жидкостями
KR200307299Y1 (ko) 약액 흘러넘침 방지를 위한 스포이트 일체형 시약병
KR20100060826A (ko) 액체용기 뚜껑의 공기조절밸브
KR100549441B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및 용기 개폐장치
JP3209019B2 (ja) キャップ
JPH06136A (ja) 魔法瓶の注水部構造
KR200166684Y1 (ko) 시약용기
KR0131875Y1 (ko) 액체 용기
JPH01380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