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894Y1 -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 Google Patents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894Y1
KR200187894Y1 KR2020000003045U KR20000003045U KR200187894Y1 KR 200187894 Y1 KR200187894 Y1 KR 200187894Y1 KR 2020000003045 U KR2020000003045 U KR 2020000003045U KR 20000003045 U KR20000003045 U KR 20000003045U KR 200187894 Y1 KR200187894 Y1 KR 200187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ipe
building
pipe bod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00003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8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8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에 관한 것으로서, 외벽을 관통하는 구멍을 통하여 빗물이 베란다 내부 또는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리이브는, 건물 외벽에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양단면이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파이프 본체(1)와; 상기 파이프 본체와 대응하여 양단면이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1)의 한 쪽 단부에 삽입되는 덮개(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이프 본체(1)로부터 덮개(2)가 알맞게 결합될 수 있도록 파이프 본체의 한 쪽 단부 내주면에는 위치결정 그루브(13)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덮개의 외주면에는 결합리브(23)가 형성된다. 또한, 파이프 본체(1)의 외주면에는 외벽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리브(11)가 다수 개 형성된다. 따라서, 파이프 본체(1)의 낮은 쪽 단부가 건물 외부를 향하도록 파이프 본체(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우천시에도 빗물이 파이프 본체(1)의 중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WALL SLEEVE FOR PIPE LINE THROUGH WALL}
본 고안은 아파트, 단독주택 등에서 사용되는 보일러의 연통이나 에어컨의 냉매파이프와 같은 관로가 베란다 외벽 또는 건물 외벽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거나 주방의 환기를 위하여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의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구로 작용할 수 있도록 베란다 외벽 또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벽을 관통하는 구멍을 통하여 통하여 빗물이 베란다 내부 또는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독주택 등에 사용되는 보일러는 베란다나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일이 많고 이 경우 보일러 연소로 날생하는 배기가스의 배기를 위한 연통은 건물을 외벽이나 창틀을 관통하여 건물 외부로 돌출되어야 한다. 또한, 에어컨의 경우에는 실내기는 건물 내부에 설치하고 냉매의 방열을 위한 실외기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와 같은 관로도 건물의 외벽이나 창틀을 관통하게 된다. 한편, 주방의 환기를 위하여 건물의 외벽을 관통하여 환기구 그릴 장착 개구부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는 실내의 공기를 강제배출하기 위하여 주방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환기팬이 설치된 환기장치와 연결된다.
건물을 신축하거나 외벽을 보수할 때 보일러 연통이나 냉매파이프를 관통시키거나 환기구 그릴 장착 개구부로 사용하기 위한 통로를 미리 마련하지 않으면 건물의 준공후에는 상기 통로들을 마련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사를 하거나 창틀 등에 통로들을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공사를 하여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외벽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 공사를 할 때 미리 거푸집 사이의 공간중 적절한 위치에 파이프형 슬리이브를 설치한 다음 슬라브 공사를 하고 있다. 즉, 외벽공사 완료후에 상기 슬리이브의 중공을 상기 통로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슬리이브로 일반적인 중공 파이프를 채용하고 이것을 소정의 길이로 그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수평으로 배치하여 외벽공사를 함에 따라 거푸집을 제거하여 미장공사 등을 행하는 과정에서는 물론 보일러 시공, 에어컨 설치 또는 주방 환기장치 설치 후에 비가 내릴 경우 상기 슬리이브의 중공을 통하여 빗물이 실내로 흘러 들어 물기에 의하여 마감이 이루어진 실내 내벽면이 손상되거나 실내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차양이 없는 아파트 베란다 외벽을 관통하여 슬리이브가 설치될 때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벽을 관통하는 구멍을 통하여 빗물이 베란다 내부 또는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리이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리이브를 외벽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외벽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슬리이브를 통하여 관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본체, 2 : 덮개,
11 : 이탈방지 리브, 13 : 위치결정 그루브,
23 : 결합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는, 건물 외벽에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양단면이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파이프 본체와; 상기 파이프 본체와 대응하여 양단면이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의 한 쪽 단부에 삽입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 본체로부터 덮개가 알맞게 결합될 수 있도록 파이프 본체의 한 쪽 단부 내주면에는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위치결정 그루브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덮개의 외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그루브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이프 본체의 외주면에는 외벽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이탈방지 리브가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에 따르면, 파이프 본체의 양단면이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양단면이 거푸집의 내면에 접하도록 덮개가 결합된 파이프 본체를 거푸집들 사이에 설치하면 파이프 본체가 수평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 본체를 그 높은 쪽 단부가 건물 안쪽을 향하도록 배치시킴과 아울러 덮개가 결합된 단부, 즉 낮은 쪽 단부는 건물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시켜야 한다. 이 상태에서 슬라브 공사를 마친 후 거푸집을 벽체로부터 분리하면 파이프 본체가 외벽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 상태는 파이프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탈방지 리브들에 의하여 더욱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벽에 슬리이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연통 또는 냉매파이프를 설치하거나 환기구 그릴을 연결할 경우에는 건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파이프 본체의 중공을 통하여 덮개를 밀어내면 덮개가 파이프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연통 또는 냉매파이프를 파이프 본체의 중공을 통하여 건물의 내,외부로 관통시키면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 본체의 중공을 개방한 후에도 파이프 본체의 건물 외부를 향하는 단부가 낮은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폭우가 내린다 할 지라도 빗물이 파이프 본체의 중공을 통해서는 건물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건물 외벽에 건물 내부와 건물 내부가 통하도록 중공을 가진 파이프 본체이다. 파이프 본체(1)는 그 양단면이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두 경사면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5)의 내,외면과 파이프 본체(1)의 양단면이 일치하도록 파이프 본체(1)를 외벽(5)에 설치하면 파이프 본체(1)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파이프 본체(1)의 외주면에는 외벽 슬라브 공사 등을 할 때 파이프 본체(1)가 슬라브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이탈방지 리브(11)가 돌출형성된다. 즉, 이탈방지 리브(11)들 사이에 모르타르 등이 삽입되어 파지됨으로써 파이프 본체(1)와 슬라브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 본체(1)의 한 쪽 단부에는 그 중공 내부로 덮개(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덮개(2)도 파이프 본체(1)와 대응하여 양단면이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2)가 결합된 파이프 본체(1)도 외벽(5)에 경사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덮개(2)를 파이프 본체(1)에 알맞게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파이프 본체(1)의 한 쪽 단부 내주면에는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위치결정 그루브(13)가 요입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덮개(2)의 외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그루브(1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리브(23)가 돌출형성되는 바람직하다. 즉, 덮개(2)는 상기 위치결정 그루브(13) 또는 결합리브(23)의 길이만큼 파이프 본체(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덮개(2)가 결합되는 쪽과는 반대쪽의 파이프 본체(1)의 단부에도 덮개(2)와 함께 파이프 본체(1)의 양쪽을 막을 수 있음과 아울러 필요할 때 쉽게 절취하여 파이프 본체(1)의 중공을 개방할 수 있는 임시막음판이 설치되어도 좋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 공사 과정에서 거푸집(3,4)을 설치하면서 파이프 본체(1)의 양단면이 건물 내부의 거푸집(3)과 건물 외부의 거푸집(4)의 내면에 차례로 접하도록 덮개(2)가 결합된 파이프 본체(1)를 거푸집들(3,4) 사이에 설치하면, 파이프 본체(1)의 양단면이 파이프 본체(1)의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파이프 본체(1)가 수평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 본체(1)중 건물 안쪽을 향하는 단부는 높고 건물 바깥쪽을 향하는 단부는 낮게 배치되도록 하고 이 낮은 쪽 단부에 덮개(2)가 결합되어 있도록 파이프 본체(1)가 거푸집들(3,4) 사이에 배치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거푸집들(3,4)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 본체(1)를 고정하기 위하여 못(35) 등을 사용하여 외부 거푸집(4)과 덮개(2)를 결합시킨다. 이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덮개(2)의 막힌 쪽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25)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거푸집들(3,4)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슬리이브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슬라브 공사를 행한 후 양생된 외벽(5)로부터 거푸집들(3,4)을 제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슬리이브가 외벽(5)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는 파이프 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탈방지 리브(11)들에 의하여 더욱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슬라브 공사를 행하지 않고 벽돌이나 블록으로 외벽(5)을 형성할 경우에는 벽돌이나 블록으로 외벽(5)을 형성하면서 소정의 장소에 슬리이브를 고정시킨 후 모르타르 등으로 슬리이브와 벽돌이나 블록들과의 사이의 틈을 메워 양생시키면 슬리이브가 외벽(5)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벽(5)에 슬리이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연통 또는 냉매파이프와 같은 관로(6)를 설치할 필요가 있거나 주방의 환기를 위한 환기구 그릴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건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파이프 본체(1)의 중공을 통하여 덮개(2)를 밀어내면 덮개(2)가 파이프 본체(1)로부터 쉽게 이탈되므로 파이프 본체(1)의 중공을 통하여 건물 내부와 건물 외부가 통하게 된다. 파이프 본체(1)에 임시막음판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임시막음판을 밀어 파이프 본체(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임시막음판을 밀어낼 때 덮개(2)도 함께 파이프 본체(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 본체(1)의 중공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곳을 통하여 연통 또는 냉매파이프와 같은 관로(6)를 건물의 내,외부로 관통시키고, 환기구 그릴의 경우에는 그 끝을 파이프 본체(1)의 건물 안쪽 단부의 중공에 삽입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리이브를 외벽(5)에 설치한 후 파이프 본체(1)의 중공을 개방한 후에도 파이프 본체(1)의 건물 외부를 향하는 단부가 건물 내부를 향하는 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홍수가 나서 건물이 잠기지 않는 한 폭우가 내린다 할 지라도 빗물이 파이프 본체(1)의 중공을 통해서는 건물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5)에 안쪽 단부보다 바깥쪽 단부가 낮게 위치하도록 파이프 본체(1)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빗물이 파이프 본체(1)의 중공을 통하여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건물 내부의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건물 외벽에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양단면이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파이프 본체(1)와;
    상기 파이프 본체와 대응하여 양단면이 길이방향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1)의 한 쪽 단부에 삽입되는 덮개(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본체(1)로부터 덮개(2)가 알맞게 결합될 수 있도록 파이프 본체의 한 쪽 단부 내주면에는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위치결정 그루브(13)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덮개의 외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그루브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결합리브(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본체(1)의 외주면에는 이것이 설치되는 외벽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이탈방지 리브(11)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KR2020000003045U 2000-02-03 2000-02-03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KR200187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045U KR200187894Y1 (ko) 2000-02-03 2000-02-03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045U KR200187894Y1 (ko) 2000-02-03 2000-02-03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894Y1 true KR200187894Y1 (ko) 2000-07-15

Family

ID=1964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045U KR200187894Y1 (ko) 2000-02-03 2000-02-03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8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947A (en) Clothes dryer air exhaust duct wall connector
KR101512409B1 (ko) 결로방지용 후드캡
US5482507A (en) Clothes dryer vent
US11609003B1 (en) Clothes dryer exhaust vent for building exterior wall
KR200187894Y1 (ko) 벽관통 관로용 벽면 슬리이브
WO2008006572A1 (en) A wall vent
KR200415779Y1 (ko) 배관 연결용 벽체 매립박스
KR100803398B1 (ko)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KR20130007113U (ko) 에어컨용 드레인호스 연결구
JPH08178381A (ja) 換気口
JP2793379B2 (ja) 屋外熱交換機の配置方法
KR200369210Y1 (ko) 에어컨 냉매 배관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13005462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수 역류방지장치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JP2763287B2 (ja) 空調用エアコンディショナの配管回り構造
KR200325287Y1 (ko) 건물용 배기덕트
KR200300026Y1 (ko) 에어컨 배관 구조물
KR2010002370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연교환 시스템
KR200344690Y1 (ko)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KR200254715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
KR102655122B1 (ko)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SK285888B6 (sk) Šachtová sústava
KR102125000B1 (ko)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JP2000314186A (ja) 庇ユニット
KR200321072Y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이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