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870Y1 -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 Google Patents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870Y1
KR200187870Y1 KR2020000002168U KR20000002168U KR200187870Y1 KR 200187870 Y1 KR200187870 Y1 KR 200187870Y1 KR 2020000002168 U KR2020000002168 U KR 2020000002168U KR 20000002168 U KR20000002168 U KR 20000002168U KR 200187870 Y1 KR200187870 Y1 KR 200187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rock
fastening body
fastening
climb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봉일
Original Assignee
배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봉일 filed Critical 배봉일
Priority to KR2020000002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7/00Apparatus for climbing poles, tre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암벽 등반시 손으로 잡게되는 클라임홀드를 인공암벽패널에 보다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일정구간 형성된 통체부의 상단부에 다각형의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체부의 내부에는 암나사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본체와; 상기 체결본체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본체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는 장착볼트와; 상기 체결본체의 통체부에 끼워지도록 중앙부위에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밀착부시와; 상기 체결본체의 통체부에 끼워지도록 중앙부위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측 주연부는 절취되어 그 단부가 상호 대칭되어 어긋나는 탄성부가 형성된 탄성부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CLAMP FOR CLIMB HOLD}
본 고안은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인공암벽 등반시 손으로 잡게되는 클라임홀드를 인공암벽패널에 보다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암벽 등반시 손으로 잡게되는 클라임홀드(20)가 인공암벽 패널에 결합될 경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공암벽패널(10)에 너트(30)가 매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클라임홀드(20)에는 볼트(40)가 삽입되는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1)에는 볼트(40)가 끼워져 인공암벽패널(10)에 매입된 너트(3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인공암벽패널(10)에 클라임홀드(20)가 고정 결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상기 클라임홀드(20)를 인공암벽패널(10)에 결합시키는 볼트(40)가 체결되는 너트(30)가 인공암벽패널(10)에 매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어 있음으로, 상기 너트(30)에 볼트(40)를 체결하여 인공암벽패널(10)에 클라임홀드(2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너트(30)가 파손되면, 상기 파손된 너트(30)를 인공암벽패널(10)에서 꺼내어 제거하고, 이후 그 자리에 다시 새로운 너트(30)를 매입하여 인공암벽패널(10)을 굳힌 다음 상기 교체되어 인공암벽패널(10)에 매입된 너트(30)에 볼트(40)를 체결하여 인공암벽패널(10)에 클라임홀드(20)를 장착해야 함으로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너트(30)에 볼트(40)를 체결하여 인공암벽패널(10)에 클라임홀드(2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너트(30)에 체결되는 볼트(40)를 일정강도 이상 회전시키다 보면 대부분 재료가 FRP인 인공암벽패널과 금속인 너트의 부착력 약하여 너트(30)가 헛돌게 됨으로 일정강도 이상으로는 너트(30)에 볼트(40)를 체결할 수 없어 인공암벽패널(10)에 장착되는 클라임홀드(20)의 단단한 결속력은 기대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공암벽 등반시 손으로 잡게되는 클라임홀드를 인공암벽패널에 보다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한 경우 상기 인공암벽패널에 결합된 클라임홀드를 손쉽게 탈거하여 임의의 다른 위치인 인공암벽패널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일정구간 형성된 통체부의 상단부에 다각형의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체부의 내부에는 암나사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본체와; 상기 체결본체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본체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는 장착볼트와; 상기 체결본체의 통체부에 끼워지도록 중앙부위에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밀착부시와; 상기 체결본체의 통체부에 끼워지도록 중앙부위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측 주연부는 절취되어 그 단부가 상호 대칭되어 어긋나는 탄성부가 형성된 탄성부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에 인공암벽패널에 클라임홀드를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를 이용하여 인공암벽패널에 클라임홀드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공암벽패널 11 : 결합공
12 : 걸림단턱요홈 20 : 클라임홀드
21 : 결합공 22 : 걸림요홈
100 :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110 : 체결본체
111 : 통체부 111a : 수나사
111b : 암나사공 112 : 머리부
120 : 체결너트 121 : 체결공
130 : 장착볼트 131 : 나사부
132 : 머리부 133 : 육각랜지삽입구
140 : 밀착부시 141 : 삽입공
150 : 탄성부시 151 : 삽입공
152 : 탄성부
이하 본 고안인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를 이용하여 인공암벽패널에 클라임홀드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100)는 외주연에 수나사(111a)가 일정구간 형성된 통체부(111)의 상단에 사각이나 육각이나 팔각 형상 등과 같은 다각형의 머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통체부(111)의 내부에는 암나사공(111b)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본체(110)와, 상기 체결본체(110)의 수나사(111a)에 체결되는 체결공(121)이 중앙부위에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너트(120)와, 상기 체결본체(110)의 암나사공(111b)에 체결되는 장착볼트(13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본체(110)가 고정 결합되는 인공암벽패널(10)에는 결합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체결본체(110)의 머리부(11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체결본체(110)의 머리부(112) 형상과 같은 걸림단턱요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볼트(130)는 육각랜지로 체결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본체(110)의 암나사공(111b)에 체결되는 나사부(131)의 단부에 원통형상의 머리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32)의 상면 중앙부위에는 공구인 육각랜지가 삽입되는 육각랜지삽입구(133)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나사부(131)의 단부에 육각형상의 머리부(132)가 형성된 통상적인 육각볼트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볼트(130)가 끼워지는 클라임홀드(20)에는 상기 장착볼트(130)의 나사부(131)가 끼워지는 결합공(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1) 일측 내면에는 장착볼트(130)의 머리부(132)가 삽입되는 걸림요홈(22)이 형성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체결본체(110)의 통체부(111)에 끼워지도록 중앙부위에 삽입공(14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본체(110)의 수나사(111a)에 결합되는 체결너트(120)에 의해 인공암벽패널(10)에 밀착되는 밀착부시(140)와, 상기 체결본체(110)의 통체부(111)에 끼워지도록 중앙부위에 삽입공(151)이 형성되고 일측 주연부는 절취되어 그 단부가 상호 대칭되어 어긋나는 탄성부(15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본체(110)의 수나사(111a)에 결합되는 체결너트(120)에 의해 양면이 각각 밀착부시(140)와 체결너트(120)에 밀착되어 상기 체결본체(110)에 체결된 체결너트(120)를 고정 하는 탄성부시(1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100)를 이용하여 인공암벽패널(10)에 클라임홀드(20)를 장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클라임홀드(20)를 장착하고자 하는 부위인 인공암벽패널(10)에 상기 체결본체(110)의 수나사(111a)와 머리부(112)가 끼워지는 결합공(11)과 걸림단턱요홈(12)이 연이어지도록 형성되도록 인공암벽패널 성형시 미리 형성한다.
이후 상기 인공암벽패널(10)에 형성된 결합공(11)에 체결본체(110)의 수나사(111a)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단턱요홈(12)에 머리부(112)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삽입하고, 이후 상기 인공암벽패널(10)의 결합공(11)을 삽입되어 관통한 체결본체(110)의 수나사(111a)에 밀착부시(140)와 탄성부시(150)를 순차적으로 끼운 다음 상기 체결본체(110)의 수나사(111a)에 체결너트(120)의 체결공(121)을 체결하여 상기 체결본체(110)가 인공암벽패널(1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체결본체(110)에 체결너트(120)를 체결하여 장착볼트(130)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본체(110)를 인공암벽패널(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체결너트(120) 또는 체결본체(110)가 파손되더라도 즉시 교체하여 체결할 수 있게된다.
이후, 클라임홀드(20)에 형성된 결합공(21)에 장착볼트(130)를 끼우고, 이후 상기 체결본체(110)의 암나사공(111b)에 장착볼트(130)의 나사부(131)를 체결합으로써 인공암벽패널(10)에 클라임홀드(2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130)를 체결본체(110)에 체결하여 클라임홀드(20)를 인공암벽패널(10)에 장착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체결본체(110)의 머리부(112)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잡아 단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130)는 육각랜지와 같은 공구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 상기 체결본체(110)에 체결볼트(130)를 단단하게 체결할 수 있어 인공암벽패널(10)에 클라임홀드(20)를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된다.
한편, 인공암벽패널(10)에 이미 장착된 클라임홀드(20)를 임의의 다른 위치의 인공암벽패널에 이동 장착할 경우에는 우선 상호 결합된 장착볼트(130)와 체결너트(120)와 탄성부시(150)와 밀착부시(140)를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이미 인공암벽패널(10)에 장착된 클라임홀드(20)를 탈거한다.
이후 클라임홀드(20)를 장착하고자 하는 다른 부위의 인공암벽패널(10)에 드릴링하여 결합공(11) 및 걸림단턱요홈(12)을 형성하고, 이후 상기 체결본체(110)를 위치를 변경하여 새로이 형성한 상기 결합공(11)에 삽입하며, 상기 결합공(11)에 삽입되어 통과한 체결본체(110)의 통체부(111)에 밀착부시(140)와 탄성부시(150)를 순차적으로 끼운 다음 상기 체결본체(110)의 수나사(111a)에 체결너트(120)의 체결공(121)를 체결하여 인공암벽패널(10)에 체결본체(110)가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위치 변경된 인공암벽패널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본체(110)의 암나사공(111b)에 클라임홀드(20)가 끼워진 장착볼트(130)의 나사부(131)를 체결함으로써 인공암벽패널(10)에 클라임홀드(20)의 위치를 임의적으로 변경하여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암벽패널에 삽입 고정되는 체결본체와, 상기 인공암벽패널에 삽입 고정된 장착볼트를 고정하는 체결너트와, 클라임홀드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인공암벽패널에 고정 결합된 체결본체에 결합되는 장착볼트 등으로 구성된 본 고안인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는 성형시 형성된 인공암벽패널의 결합공에 체결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공암벽패널에 결합된 체결본체에 장착볼트를 체결하여 인공암벽패널에 클라임홀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인공암벽 등반시 손으로 잡는 클라임홀드를 상기 인공암벽패널에보다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인공암벽패널에 장착되는 클라임홀드를 탈거하여 인공암벽패널의 임의 위치로 변경하여 간편하게 이동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주연에 수나사(111a)가 일정구간 형성된 통체부(111)의 상단에 다각형의 머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통체부(111)의 내부에는 암나사공(111b)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본체(110)와; 상기 체결본체(110)의 수나사(111a)에 체결되는 체결너트(120)와; 상기 체결본체(110)의 암나사공(111b)에 체결되는 장착볼트(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본체(110)의 통체부(111)에 끼워지도록 중앙부위에 삽입공(141)이 관통되어 형성된 밀착부시(140)와; 상기 체결본체(110)의 통체부(111)에 끼워지도록 중앙부위에 삽입공(151)이 형성되고, 일측 주연부는 절취되어 그 단부가 상호 대칭되어 어긋나는 탄성부(152)가 형성된 탄성부시(15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KR2020000002168U 2000-01-26 2000-01-26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KR200187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68U KR200187870Y1 (ko) 2000-01-26 2000-01-26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68U KR200187870Y1 (ko) 2000-01-26 2000-01-26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870Y1 true KR200187870Y1 (ko) 2000-07-15

Family

ID=1963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168U KR200187870Y1 (ko) 2000-01-26 2000-01-26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8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25B1 (ko) 2008-03-13 2010-07-23 김창주 암벽등반용 사출패널.
KR101714487B1 (ko) * 2016-04-12 2017-03-09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체결력 보강수단 및 파손조각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스포츠 클라이밍용 인공홀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25B1 (ko) 2008-03-13 2010-07-23 김창주 암벽등반용 사출패널.
KR101714487B1 (ko) * 2016-04-12 2017-03-09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체결력 보강수단 및 파손조각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스포츠 클라이밍용 인공홀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71636A2 (en) Fixture set
US20040129107A1 (en) Handlebar grip
US10300588B2 (en) Method of setting a drop-in anchor
US4971502A (en) Fastening bolt set
US4681496A (en) Reusable and adjustable fastener for use with power tool applicator
US6928899B1 (en) Striking head-interchangeable hammer with a stress-distributable fastener
KR200187870Y1 (ko) 인공암벽용 클라임홀드 체결구
US4515496A (en) Securing assembly
US6625850B2 (en) V-lock
US20080175687A1 (en) Double-ended mounting stud and tool
US20040013494A1 (en) Fastener having solid driving structure
JP3547823B2 (ja) 角締め用金具
KR200194821Y1 (ko) 연결관 조임구
CN111271356A (zh) 一种反向膨胀螺栓
EP0253674A2 (en) An improvement of the C type clamp (11)
JPS6123961Y2 (ko)
CN211039325U (zh) 一种自锁紧自攻丝
KR100422126B1 (ko) 렌치
KR200238474Y1 (ko) 철근 이음구
KR200248803Y1 (ko) 현관도어용 손잡이의 체결구조
KR200339767Y1 (ko) 파이프 행거
KR100712466B1 (ko) 연속작업용 나사 체결보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장착부재
AU723288B1 (en) Fastener
KR200181594Y1 (ko) 콘크리트 못
KR200233603Y1 (ko) 렌치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