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289Y1 -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89Y1
KR200187289Y1 KR2020000001619U KR20000001619U KR200187289Y1 KR 200187289 Y1 KR200187289 Y1 KR 200187289Y1 KR 2020000001619 U KR2020000001619 U KR 2020000001619U KR 20000001619 U KR20000001619 U KR 20000001619U KR 200187289 Y1 KR200187289 Y1 KR 200187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dehydrator
fixing nut
dehydration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진
박태준
Original Assignee
박우진
박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진, 박태준 filed Critical 박우진
Priority to KR2020000001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시 싱크탈수기(1')의 탈수통(3')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가 하수와 함께 탈수통(3')의 상단으로 넘쳐흘러 하수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된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싱크 보울(8')의 배수구(5')에 배수구덮개(7')가 안착되고, 상, 하측으로 이동이 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12)가 구비되어 설치되는 싱크탈수기(1')의 탈수통(3')과 상기 배수구덮개(7')의 사이에 틈새(t)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시 음식물쓰레기와 하수가 탈수통(3')의 상부로 넘쳐흘러 상기 틈새(t)를 통하여 하수구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가 되게 되며, 높이조절구(12)가 높낮이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싱크대에 설치되어도 그 싱크대에 맞게 배수구덮개(7')와 탈수통(3')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사용을 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a dehydrator in a sink}
본 고안은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시 싱크탈수기의 탈수통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가 하수와 함께 탈수통의 상단으로 넘쳐흘러 하수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된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생활쓰레기의 상단부분을 차지하는 음식물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이를 그대로 매립시키게 되면 악취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면서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실제 가정이나 업소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별도의 방법이 없었으며,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이 빠질 때까지 방치할시 이로부터의 악취가 실내 또는 집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싱크탈수기(1)가 안출된 바 있는데 이 싱크탈수기(1)는, 케이스(2)가 구비되어 내부에 탈수통(3)과 상기 탈수통(3)과 연결되는 모터(4)로 이루어져 싱크대의 배수구(5)에 설치가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싱크탈수기(1)를 배수구(5)에 설치하기 위해 배수구(5)에 고정너트(6)가 결합되어 있고, 결합된 고정너트(6)의 중앙에 배수구덮개(7)가 안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너트(6)의 외주면에 상기 싱크탈수기(1)의 케이스(2)가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덮개(7)의 밑면과 상기 탈수통(3)의 상단이 마주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덮개(7)와 탈수통(3)의 사이에는 틈새(t)가 형성되는데 이는,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싱크대의 제작시 다양한 재질과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으로 특히, 싱크대의 물이 수납되는 싱크 보울(sink bowl, 8)은 상기 고정너트(6)의 상단이 지지됨에 따라 그 두께(T)에 따라서 상기 고정너트(6)의 결합위치가 결정되게 되어 상기 배수구덮개(7)와 탈수통(3)의 사이에 틈새(t)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싱크 보울의 두께(T)가 두꺼울 경우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는 고정너트(6)의 위치가 그만큼 배수구(5)에 높게 결합되어 고정너트(6)에 안착되는 배수구덮개(7)와 탈수통(3)의 사이에 그만큼의 틈새(t)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탈수통(3)에 음식물쓰레기가 수납되면 상기 모터(4)의 작동에 의해 탈수통(3)이 회전을 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탈수가 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틈새(t)를 통하여 음식물쓰레기가 하수와 함께 넘쳐흘러 하수구로 빠져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시 배수구덮개와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크기를 조절하여 음식물쓰레기가 하수와 함께 틈새를 통하여 넘쳐흘러 하수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된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싱크대에 설치되어도 그 싱크대에 맞게 배수구덮개와 탈수통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된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싱크대의 배수구에 고정너트가 결합되어 중앙에 배수구덮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너트의 외주면에 탈수통과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싱크탈수기의 케이스가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덮개의 밑면과 상기 탈수통의 상단이 마주하고 있는 싱크탈수기가 설치되어 있는 싱크대에 있어서, 중앙에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내주면 하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 외측방으로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에 외주면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상기 고정너트와; 밑면 중앙에 안착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덮개가 안착되고, 상단 외주면이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고정너트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 하로 이동되는 높이조절구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 1 - 종래 일반적인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싱크탈수기 2' ; 케이스
3' ; 탈수통 4' ; 모터
5' ; 배수구 6' ; 고정너트
7' ; 배수구덮개 8' ; 싱크 보울
9 ; 결합구멍 10 ; 암나사부
11 ; 걸림편 12 ; 높이조절구
13 ; 안착구멍 14 ; 수나사부
이와 같은 본 고안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의하면, 싱크 보울(8')의 배수구(5')에 고정너트(6')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고정너트(6')는, 중앙에 결합구멍(9)이 형성되어 내주면 하단부에 암나사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외측방으로 연장된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상기 싱크 보울(8')에 상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너트(6')의 결합구멍(9)에는 높이조절구(12)가 결합되는데 이 높이조절구(12)는, 밑면 중앙에 안착구멍(13)이 형성되어 배수구덮개(7')가 안착되어 있으며, 상단 외주면이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4)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6)의 암나사부(10)에 상,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5')에는 일반적인 싱크탈수기(1')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싱크탈수기(1')는, 탈수통(3')과 상기 탈수통(3')을 회전시켜 주는 모터(4')와 상기 탈수통(3')과 모터(4')를 수납하는 케이스(2')로 이루어져 케이스(2')가 상기 고정너트(6')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탈수통(3')이 상기 배수구덮개(7')의 밑면과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을 한다.
먼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너트(6')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기 높이조절구(12)를 회전시키면서 상측이나 하측으로 이동시켜 싱크탈수기(1')의 탈수통(3') 상단과의 거리를 줄인 다음 상기 배수구덮개(7')를 높이조절구(12)의 안착구멍(13)에 안착시켜 배수구덮개(7')의 밑면이 탈수통(3')의 상단과 근접하도록 높이조절구(12)의 높이를 맞추어 주게 된다.
이때, 배수구덮개(7')와 탈수통(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틈새(t')는 후술 할 탈수통(3')의 회전시 탈수통(3')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틈새(t')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하 에서는 높이조절구(12)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틈새(t')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을 한다.
상기와 같이 틈새(t')의 조절이 완료 되게 되면, 상기 탈수통(3')에 음식물쓰레기를 수납시키킨 후, 모터(4')의 전원조작에 따라서 탈수통(3')이 회전이 되면서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쓰레기가 탈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가 탈수되는 과정에서 탈수통(3')의 상부와 배수구덮개(7')의 사이에 틈새(t')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탈수통(3')의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탈수통(3')의 상부로 넘쳐흘러 하수구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가 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구(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1')은 고정너트(6')로부터 높낮이의 조절시 고정너트(6')의 상부로는 분리가 가능하게 되고, 하측으로는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게 된다.
즉, 높이조절구(12)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 고정너트(6')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10)의 나사산에 걸림턱(11')이 걸리게 되어 고정너트(6')의 하측으로 높이조절구(12)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가 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싱크 보울(8')의 배수구(5')에 배수구덮개(7')가 안착되고, 상, 하측으로 이동이 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12)가 구비되어 설치되는 싱크탈수기(1')의 탈수통(3')과 상기 배수구덮개(7')의 사이에 틈새(t)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시 음식물쓰레기와 하수가 탈수통(3')의 상부로 넘쳐흘러 상기 틈새(t)를 통하여 하수구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가 되게 되며, 높이조절구(12)가 높낮이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싱크대에 설치되어도 그 싱크대에 맞게 배수구덮개(7')와 탈수통(3')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사용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싱크대의 배수구에 고정너트가 결합되어 중앙에 배수구덮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너트의 외주면에 탈수통과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싱크탈수기의 케이스가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덮개의 밑면과 상기 탈수통의 상단이 마주하고 있는 싱크탈수기가 설치되어 있는 싱크대에 있어서,
    중앙에 결합구멍(9)이 형성되어 내주면 하단에 암나사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 외측방으로 연장된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5')에 외주면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상기 고정너트(6')와;
    밑면 중앙에 안착구멍(13)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덮개(7')가 안착되고, 상단 외주면이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상기 고정너트(6')의 암나사부(10)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4)가 형성되어 상, 하로 이동되는 높이조절구(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
KR2020000001619U 2000-01-21 2000-01-21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 KR200187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19U KR200187289Y1 (ko) 2000-01-21 2000-01-21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19U KR200187289Y1 (ko) 2000-01-21 2000-01-21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89Y1 true KR200187289Y1 (ko) 2000-07-01

Family

ID=1963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19U KR200187289Y1 (ko) 2000-01-21 2000-01-21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2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87B1 (ko) 2007-05-29 2008-05-27 주식회사 싱크피아 개수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20002803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87B1 (ko) 2007-05-29 2008-05-27 주식회사 싱크피아 개수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20002803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99841B1 (ko) * 2020-06-30 2022-05-20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7289Y1 (ko) 싱크탈수기의 탈수통 상단 틈새조절구조
KR200457073Y1 (ko) 배수트랩
KR200409407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101926851B1 (ko) 악취 차단 하수구 마개
JP2000328625A (ja) 排水トラップ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JPH06320048A (ja) シンク用遠心脱水装置
KR100904273B1 (ko) 싱크대의 배수/배출 장치
CN208633237U (zh) 冷库用排水地沟
KR200389659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10056924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결착구조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CN103912043A (zh) 一种水池防堵防臭防溢下水管
KR200205373Y1 (ko) 싱크대용 음식찌꺼기 탈수기의 역류방지구조
KR200371721Y1 (ko) 씽크대용 배수장치
KR101955943B1 (ko) 소제 싱크용 가변 트랩
KR200196803Y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930001322Y1 (ko) 방취용 맨홀배수전
KR940000287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관의 배수전
KR200415802Y1 (ko) 배수구
KR200152483Y1 (ko) 씽크보울의 배수구에 부설된 음식찌꺼기 탈수장치
JPS5938555Y2 (ja) 起点排水桝
KR200273242Y1 (ko) 싱크대의 배수물 탈수장치
JPS627398Y2 (ko)
KR200250154Y1 (ko) 배수조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