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496Y1 - 악취방지용 배수구 - Google Patents
악취방지용 배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2496Y1 KR200262496Y1 KR2020010031105U KR20010031105U KR200262496Y1 KR 200262496 Y1 KR200262496 Y1 KR 200262496Y1 KR 2020010031105 U KR2020010031105 U KR 2020010031105U KR 20010031105 U KR20010031105 U KR 20010031105U KR 200262496 Y1 KR200262496 Y1 KR 2002624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plate
- water
- drainage
- cap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방지용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구 동체 내부에 개폐판을 설치하여 개폐판의 무게중심과 배수되는 물의 작용원리를 이용하여 악취방지가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배수구는 동체 내부 중앙부에 구멍을 가진 배수관이 돌출 형성되고, 배수망 저면에는 ''형 캡을 고정 설치하되, 돌출된 구멍 외주면 직경보다 캡의 내경이 크고, 또. 구멍 상단 높이보다 캡의 하단이 약간 더 내려간 상태로 형성하여 물이 배수되고 난 뒤, 배수구 동체 내에 남아 있는 물의 수면이 캡의 하단보다 높게 하여 캡의 하단이 잠기게 하여 악취가 유입될 틈이 없게 하며, 이에 따라 악취가 예방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구는 고여있는 물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그리 오래가지 않아 물이 증발하게 되어 캡과 구멍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이에 따라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다.
또한. 배수되는 물이 항상 배수구내의 집수부에 고여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따른다.
따라서, 종래의 악취방지용 배수구는 악취를 근원적으로 차단 또는 방지할 수 없어 신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일 측이 경사지게끔 절곡 되어 있고, 타측에는 수평부를 형성하되, 수평부 저면에 중량추가 고정 설치된 개폐판을 설치하여, 힌지축이 절곡부에 위치하게끔 설치하고, 배수구 동체 내경에는 개폐판의 경사면 끝단이 위치하는 벽면 상측과, 중량추 위치하는 벽면 하측에 끝단 스톱돌부를 설치함으로써, 배수되는 물이 개폐판의 경사면에 모아지면서 중량의 불균형이 초래되어 개폐판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하며, 이에 따라 생활하수나 오폐수가 배출되고, 배출이 이루어진 뒤에는 개폐판이 중량추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자동 밀폐되어 악취가 예방되게 하는 악취방지용 배수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악취방지용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 동체 내부에 개폐판을 설치하여, 개폐판의 무게 중심과 배수되는 물의 작용원리를 이용하여 악취방지가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배수구는 동체 내부 중앙부에 구멍을 가진 배수관이 돌출 형성되고, 배수망 저면에는 ''형 캡을 고정 설치하되, 돌출된 구멍 외주면 직경보다 캡의 내경이 크고, 또. 구멍 상단 높이 보다 캡의 하단이 약간 더 내려간 상태로 형성하여 물이 배수되고 난 뒤, 배수구 동체 내에 남아 있는 물의 수면에 캡의 하단이 잠기게 하여 악취가 유입될 틈이 없게 하며, 이에 따라 악취가 예방되게 끔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구는 고여있는 물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그리 오래가지 않아 물이 쉽게 증발하게 되어 캡과 구멍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이에 따라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다.
또한 배수되는 물이 항상 배수구의 집수부 내에 고여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따른다.
따라서, 종래의 악취방지용 배수구는 악취를 근원적으로 차단 또는 방지할 수 없어 신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일측이 경사지게끔 절곡된 경사부와, 저면에 중량추를 고정 설치한 수평부를 가진 개폐판을 힌지축을 이용하여 배수구 동체 내부에 설치하고, 배수구 동체 내벽에는 개폐판의 경사부 끝이 위치하는 부분과 수평부 끝이 위치하는 부분에 스톱돌부를 형성하여 배수망을 통과한 물이 경사부에 모이면 개폐판 중량의 균형이 깨짐으로서 개폐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경사부 쪽으로 기울어져 배수가 이루어지고, 퇴수후에는 중량추에 의해 개폐판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옴에 따라 밀폐되어 악취를 예방하는 악취방지용 배수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2는 도1의 A-A'선 종단면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 예시도.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1-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망(2)을 가진 통상의 배수구 동체(1) 내부에 개폐판(3)을 설치하되, 상기 개폐판(3)은 중앙부 또는 중앙부와 가까운 위치에 절곡부(31)를 형성하여 일측에는 5° - 30° 정도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32)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수평면(33)을 형성하며, 개폐판 주연부에 고무패킹(34)을 설치하여 동체(1) 내경과의 밀폐효과를 높이고, 또, 상기 절곡부(31) 저면에 힌지봉(35)을 고정설치하여, 상기 힌지봉(35)의 양끝부분이 동체(1) 내경 벽면에 형성된 요홈(11)에 결합되게 하였다.
또한, 상기 개폐판(3)의 수평면(33) 저면에 중량추(36)를 설치하여, 힌지봉(35)을 중심으로 수평면(33) 위치가 약간 더 무겁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배수구 동체(1) 내경벽면에 경사면(32)의 위치를 제어하는 스톱돌부(37)와 수평면(33)의 위치를 제어하는 스톱돌부(37')를 설치하되, 스톱돌부(37)는 경사면(32)의 상측 위치에 형성하고, 스톱돌부(37')는 수평면(33)의 하측 위치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중량추(36)에 의해 개폐판(3)이 닫혀 있어 배수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악취를 예방하고, 생활오수, 폐수 등이 배수될 때는 경사면(32) 위치로 오폐수가 집중되면서 개폐판(3)이 개방되어 매우 안정적이고도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생활하수, 오폐수 등이 배수되고 나면, 중량추(36)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판(3)이 닫히게 되어 악취를 예방하며, 더불어 상기 개폐판(3)이 닫힌 뒤에는 개폐판(3) 위에 오폐수가 전혀 고여 있거나 남아 있지 않아 매우 위생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3과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개폐판(3)과 연결 설치된 힌지봉(35) 양 끝단부분이 동체(1)에 결합 된 구성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1은 하나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상 또는 종류의 배수구도 본 고안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어, 이러한 여러 형상, 또는 여러 종류의 배수구에 있어서도 개폐판이 설치된 경우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배수구 동체(1) 내부에 경사면(32)과 수평면(33)을 가진 개폐판을 설치하여 생활하수를 비롯한 오폐수가 배수될 때, 개폐판의 경사면 위에 물이 먼저 고여 물의 중량에 의해 개폐판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물의 배수가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물이 배수된 뒤에는 중량추(36)에 의해 개폐판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어 배수구를 통하여 각종 악취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배수망(2)을 가진 통상의 배수구 동체(1) 내부에 개폐판(3)을 설치하되, 상기 개폐판(3)은 중앙부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일측에는 5° - 30° 정도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32)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수평면(33)을 형성하며, 개폐판 주연부에 고무패킹(34)을 설치하고, 절곡부(31) 저면에 힌지봉(35)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봉(35)의 양끝부분이 동체(1) 내경 벽면에 형성된 요홈에 조립되게 하며, 수평면(33) 저면에 중량추(36)를 설치하여 힌지봉(35)을 중심으로 수평면(33) 위치가 약간 더 무겁게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용 배수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1105U KR200262496Y1 (ko) | 2001-10-08 | 2001-10-08 | 악취방지용 배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1105U KR200262496Y1 (ko) | 2001-10-08 | 2001-10-08 | 악취방지용 배수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2496Y1 true KR200262496Y1 (ko) | 2002-03-18 |
Family
ID=7311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1105U KR200262496Y1 (ko) | 2001-10-08 | 2001-10-08 | 악취방지용 배수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249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3080A (ko) | 2019-11-22 | 2021-06-01 | 강철규 |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
-
2001
- 2001-10-08 KR KR2020010031105U patent/KR2002624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3080A (ko) | 2019-11-22 | 2021-06-01 | 강철규 |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38651B1 (ko) | 오수받이 장치 | |
KR200383882Y1 (ko) | 오수받이 | |
KR200262496Y1 (ko) | 악취방지용 배수구 | |
KR200257146Y1 (ko) | 이중차단 기능의 배수트랩 | |
KR102083469B1 (ko) | 배수용 트랩 | |
KR200437874Y1 (ko) | 배수점검구 | |
KR200333410Y1 (ko) | 빗물 오수 겸용받이 | |
KR100454999B1 (ko) |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 |
KR200265933Y1 (ko) |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 |
KR200383592Y1 (ko) |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 |
KR200348050Y1 (ko) |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 |
KR200168138Y1 (ko) | 집수정의 악취 및 해충 역류 방지 장치 | |
KR100923020B1 (ko) | 하수 배출 장치 | |
KR100952989B1 (ko) | 배수 트랩 구조물 | |
JP3569842B2 (ja) |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 |
KR101704347B1 (ko) | 빗물받이용 다단 악취 차단시스템 | |
KR200439737Y1 (ko) | 싱크대용 배수전 | |
KR101840448B1 (ko) | 무경첩 밸브방식의 배수트랩 | |
KR200300280Y1 (ko) |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 |
KR200294876Y1 (ko) | 맨홀 | |
KR20180000448U (ko) | 악취 차단장치가 장착된 하수구 배수트랩 | |
KR100420001B1 (ko) |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 | |
KR200221928Y1 (ko) | 하수 및 악취역류 방지장치 | |
KR200338761Y1 (ko) | 맨홀용 악취 차단장치 | |
JPH0718713A (ja) | ユニット形排水トラ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