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255Y1 - 하수도관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도관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55Y1
KR200187255Y1 KR2020000000749U KR20000000749U KR200187255Y1 KR 200187255 Y1 KR200187255 Y1 KR 200187255Y1 KR 2020000000749 U KR2020000000749 U KR 2020000000749U KR 20000000749 U KR20000000749 U KR 20000000749U KR 200187255 Y1 KR200187255 Y1 KR 200187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enter
tube
flang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일
Original Assignee
윤석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일 filed Critical 윤석일
Priority to KR2020000000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도관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제 1관통공(12)을 갖는 호스(10)와; 중앙에 제 2관통공(22)을 갖으며 일측에 걸림후크(24)가 형성된 커플링(20)과; 상기 호스(10)와 걸림후크(24)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30)와; 상기 호스(10)의 외주연에 마련된 스프링(44)에 의해 지지되는 가열부(40)와; 중앙에 제 3관통공(52)을 갖으며 타측에 전기유입구(58), 공기유입구 (59)가 형성된 플랜지(50)와; 접합제(62)가 도포된 튜브(60)와; 튜브(60)의 일측을 접어주는 보강 링(70)과; 중앙에 제 4관통공(82)을 갖으며 외측에 전기유입관(88), 공기유입관(89)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캡(80)과; 상기 캡(80)의 외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어(90)와; 굴곡부(102)를 갖는 지지대(104)에 바퀴(106)가 마련된 브라켓(100)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든지 또는 지반의 침하현상으로 인해 하수도관에 균열이 발생할 시 흙을 파지 않은 상태에서 보수장치를 사용하여 균열부위를 손쉽게 보수할 수 있는 하수도관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도관 보수장치{Apparatus for reparing drainage pipe}
본 고안은 하수도관을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든지 또는 지반의 침하현상으로 인해 하수도관에 균열이 발생할 시 흙을 파지 않은 상태에서 균열부위를 보수할 수 있는 하수도관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공장 등에서 배출된 하수(下水)는 악취 및 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하수의 노출을 방지하고자 하수도관을 지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매설한 후 하수를 인공적으로 정화하는 곳까지 이동시키는 역할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수도관은 주변의 지형적인 여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매설되는 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하수도관은 수평 또는 굴곡의 형태를 갖으면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하수도관이 매설된 지역의 지면주위로 자연적인 침하현상이 발생한다든지 또는 주변의 지형적인 여건(예를 들면 건축물의 신축공사 등)에 의해 지반이 약해질 경우, 하수도관의 일부분(특히, 하수도관의 굴곡부)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을 이기지 못해 균열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하수도관의 일부분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여러 명의 작업자들이 보수현장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작업순서를 보면 하수도관에 발생된 균열부위를 작업자가 직접 보수해야 하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된 범위가 작을 지라도 흙을 파기 위한 범위는 작업자의 작업영역이 원활하도록 파내어야만 했다.
즉, 하수도관의 균열범위보다 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이 넓어지므로 인해 주변적으로 통행에 불편을 줌과 동시에 도시환경이 소음과 먼지에 의해 지저분해지게 되었다.
아울러, 하수도관의 균열부위를 보수하기 위해 흙을 파낸 다음 다시 원상복귀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 뿐만 아니라 작업자도 여러 명이 필요함에 따라 공사비가 과다하게 지출되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든지 또는 지반의 침하현상으로 인해 하수도관에 균열이 발생할 시 흙을 파지 않은 상태에서 균열부위를 빠른 시간내에 손쉽게 보수할 수 있는 하수도관 보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제 1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양측의 외주연에 홈이 형성된 호스와; 중앙에 제 2관통공을 갖으며 그 일측이 상기 제 1관통공에 끼워지도록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개의 제 1체결구멍이 마련된 커플링과; 상기 호스의 홈에 끼워져 커플링의 걸림후크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와; 상기 호스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갖으며 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가 저면에 부착된 가열부와; 중앙에 제 3관통공을 갖으며 그 일측이 상기 커플링에 결합되고, 타측에 단턱을 갖으면서 제 2체결구멍, 전기유입구,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플랜지와; 외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접합제가 도포되어 상기 가열부 및 플랜지의 외주연을 감싸게 되는 플렉시블한 튜브와; 상기 플랜지의 단턱에 설치되어 튜브의 일측을 접어주는 보강 링과; 중앙에 제 4관통공을 갖으며 그 일측이 상기 플랜지와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제 3체결구멍이 형성되고, 플랜지와 접하는 내측에 너트부가 개재되도록 요홈이 형성되며, 외측에 전기유입관, 공기유입관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캡과; 상기 캡의 외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어와; 일측이 상기 너트부에 결합되고, 그 타측으로 굴곡부를 갖는 지지대에 바퀴가 마련된 브라켓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 보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 보수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 보수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수도관 보수장치가 하수도관의 보수지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하수도관 보수장치에 압축공기 및 전기가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 보수장치가 보수지역에서 이탈되고 접합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호스 12 : 제 1관통공
14 : 홈 20 : 커플링
22 : 제 2관통공 24 : 걸림후크
26 : 제 1체결구멍 30 : 고정밴드
40 : 가열부 42 : 플래이트
44 : 스프링 50 : 플랜지
52 : 제 3관통공 54 : 단턱
56 : 제 2체결구멍 60 : 튜브
62 : 접합제 70 : 보강 링
80 : 캡 82 : 제 4관통공
84 : 요홈 85 : 너트부
88 : 전기유입관 89 : 공기유입관
90 : 와이어 100 : 브라켓
102 : 굴곡부 104 : 지지대
106 : 바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 보수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하수도관(1)의 길이방향을 갖도록 중앙에 제 1관통공(12)이 형성된 경질(硬質)의 호스(10)가 설치되는데, 이 호스(10)의 양측단 외주연에는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관통공(12)의 양측에는 제 2관통공(22)이 형성된 커플링(20)이 결합되는데, 상기 커플링(20)의 일측은 다수개의 걸림후크(24)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제 1체결구멍(26)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10)의 홈(14)에는 걸림후크(24)를 제 1관통공(12)에 끼운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밴드(30)가 결합된다.
상기 호스(10)의 외측에는 저면에 플레이트(42)가 부착된 가열부(40)가 설치되는데, 상기 플레이트(42)는 일단이 호스(10)의 외주연과 접하는 스프링(44)에 의해 지지되고, 가열부(40)는 내부에 열선(도시되지 않음)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20)의 일측에는 중앙에 제 3관통공(52)이 형성된 플랜지(50)가 별도의 볼트(28)에 의해 나사결합되며, 상기 플랜지(50)의 외측으로 단턱(54)이 형성되고 이 단턱(54)의 내측에는 제 2체결구멍(56), 전기유입구(58), 공기유입구(59)가 각각 다르게 관통되어 있다.
상기 가열부(40) 및 플랜지(50)의 외주연으로는 플렉시블한 튜브(60)가 설치되는데, 이 튜브(60)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접합제(62)가 도포되고, 튜브(60)의 측단부는 플랜지(50)의 단턱(54)에 개재되는 보강 링(70)을 기점으로 접히게 된다.
즉, 상기 튜브(60)의 외측면이 보강 링(70)의 내측면을 지나 다시 튜브(60)의 외측면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튜브(60)가 접혀지고 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캡(80)이 설치된다.
상기 캡(80)은 중앙에 제 4관통공(82)이 형성되고, 플랜지(50)와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제 3체결구멍(86)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50)와 접하는 내측에 너트부(85)가 개재될 수 있는 요홈(84)이 형성되고, 외측에 전기유입관(88) 및 공기유입관(89)이 설치된다. 또한 캡(80)의 외측면에는 로프(2)와 연결되도록 와이어(90)의 양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요홈(84)에는 브라켓(100)이 설치되는데, 상기 브라켓(100)의 일측은 볼트(28)에 의해 너트부(85)로 결합되고, 타측은 바퀴(106)가 마련된 지지대(104)의 선단이 굴곡부(102)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 보수장치의 작용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수도관(1)이 매설된 지역의 지면주위로 자연적인 침하현상이 발생한다든지 또는 주변의 지형적인 여건(예를 들면 건축물의 신축공사 등)에 의해 지반이 약해져 하수도관(1)의 일부분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수하기 위하여 캡(80)의 외측에 마련된 와이어(90)에 로프(2)를 걸어 반대편에서 작업자가 잡아 당겨 하수도관(1)의 균열된 부위로 보수장치를 이동을 시키게 된다.
보수장치가 하수도관(1)으로 이동될 때에는 캡(80)의 외측에 설치된 전기유입관(88) 및 공기유입관(89)에 배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이동을 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전기 및 공기의 공급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상적인 기계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로프(2)를 잡아당길 경우 보수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80)의 브라켓(100)에 결합된 바퀴(106)가 구름운동을 하면서 하수도관(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00)의 지지대(104)에 굴곡부(102)를 형성한 것은 바퀴(106)의 구름운동시 바퀴(106)의 구름운동을 제한할 만한 걸림부위가 나타날 때 굴곡부(102)가 바퀴(106)보다 먼저 걸림부위에 접근하여 바퀴(106)의 구름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하수도관(1)의 내부조건에 상관없이 보수장치의 이동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수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요소에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관통공(12)(22)(52)(8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수도관(1)내에서 보수장치가 이동할 때 하수를 상기한 제 1, 제 2, 제 3 및 제 4관통공(12)(22)(52)(82)에 통과시켜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보수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수장치가 하수도관(1)의 균열부위에 도달하면 압축된 공기를 공급시키게 된다. 이 압축된 공기는 캡(80)의 공기유입관(89)을 통해 플랜지(50)의 공기유입구(59)를 통해 호스(10)와 튜브(60)사이로 공급되며, 공급된 공기는 플랙시블한 튜브(60)를 팽창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튜브(60)가 팽창되면, 호스(10)의 외측면에 일단을 지지하고 있던 스프링(44)도 튜브(60)내의 체적변화에 따라 인장되어 플레이트(42)와 가열부(40)를 밀어내게 된다(도 5참조). 따라서 하수도관(1)의 균열부위에 튜브(60)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접합제(62)가 견고히 밀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5와 같이 공기의 공급이 완료되고 난 후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데, 전기는 전기유입관(88)과 전기유입구(58)를 거쳐 가열부(40)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가열부(40)로 전달된 열은 튜브(60)의 내측과 외측면을 통과해 접합제(62)로 전달되어 접합제(62)에 화학적변화를 가하여 접합제(62)를 경화시켜 균열부위에 부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접합제(62)는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시공방법으로서, 튜브(60)의 외측면에 이형제, 카프란, 이형제를 초벌로서 순차적으로 바른 다음 1차로 유리섬유, 부직포, 경화제용 혼합믈을 바르고, 2차로 다시 유리섬유, 부직포, 경화제용 혼합물을 바르며, 3차로 유리섬유, 부직포, 경화제용 혼합물을 바르도록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접합제(62)가 균열부위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나면 공급되었던 공기를 배출시켜 튜브(6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때 가열부(40)와 플레이트(42)를 밀고 있던 스프링(44)이 복원됨에 따라 튜브(6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던 접합제(62)는 하수도관(1)의 균열부에 부착되고 튜브(60)는 접합제(62)가 이탈된 상태로 복원을 한 후 다음 장소로 이동을 한다든지 또는 하수도관(1)으로부터 빼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도 6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 보수장치는 하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제 1관통공을 갖는 호스와; 중앙에 제 2관통공을 갖으며 일측에 걸림후크가 형성된 커플링과; 상기 호스와 걸림후크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와; 상기 호스의 외주연에 마련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가열부와; 중앙에 제 3관통공을 갖으며 타측에 전기유입구,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플랜지와; 접합제가 도포된 튜브와; 튜브의 일측을 접어주는 보강 링과; 중앙에 제 4관통공을 갖으며 외측에 전기유입관, 공기유입관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캡과; 상기 캡의 외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어와; 굴곡부를 갖는 지지대에 바퀴가 마련된 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든지 또는 지반의 침하현상으로 인해 하수도관에 균열이 발생할 시 흙을 파지 않은 상태에서 보수장치를 사용하여 균열부위를 손쉽게 보수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간에 구애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변통행에 불편을 주는 것을 해소함은 물론, 소음과 먼지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하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제 1관통공(12)이 형성되고, 그 양측의 외주연에 홈(14)이 형성된 호스(10)와;
    중앙에 제 2관통공(22)을 갖으며 그 일측이 상기 제 1관통공(12)에 끼워지도록 걸림후크(24)가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개의 제 1체결구멍(26)이 마련된 커플링(20)과;
    상기 호스(10)의 홈(14)에 끼워져 커플링(20)의 걸림후크(24)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30)와;
    상기 호스(10)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스프링(44)을 갖으며 이 스프링(44)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42)가 저면에 부착된 가열부(40)와;
    중앙에 제 3관통공(52)을 갖으며 그 일측이 상기 커플링(20)에 결합되고, 타측에 단턱(54)을 갖으면서 제 2체결구멍(56), 전기유입구(58), 공기유입구(59)가 형성된 플랜지(50)와;
    외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접합제(62)가 도포되어 상기 가열부(40) 및 플랜지(50)의 외주연을 감싸게 되는 플렉시블한 튜브(60)와;
    상기 플랜지(50)의 단턱(54)에 설치되어 튜브(60)의 일측을 접어주는 보강 링(70)과;
    중앙에 제 4관통공(82)을 갖으며 그 일측이 상기 플랜지(50)와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제 3체결구멍(86)이 형성되고, 플랜지(50)와 접하는 내측에 너트부(85)가 개재되도록 요홈(84)이 형성되며, 외측에 전기유입관(88), 공기유입관(89)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캡(80)과;
    상기 캡(80)의 외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어(90)와;
    일측이 상기 너트부(85)에 결합되고, 그 타측으로 굴곡부(102)를 갖는 지지대(104)에 바퀴(106)가 마련된 브라켓(1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보수장치.
KR2020000000749U 2000-01-12 2000-01-12 하수도관 보수장치 KR200187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749U KR200187255Y1 (ko) 2000-01-12 2000-01-12 하수도관 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749U KR200187255Y1 (ko) 2000-01-12 2000-01-12 하수도관 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55Y1 true KR200187255Y1 (ko) 2000-07-01

Family

ID=1963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749U KR200187255Y1 (ko) 2000-01-12 2000-01-12 하수도관 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25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415A (ko) * 2001-07-13 2001-08-22 김윤수 관로 부분보수 장비 및 공법
KR100439208B1 (ko) * 2001-09-20 2004-07-03 모악개발 주식회사 관로 비굴착에 의한 주입 성형식 지수/보강장치 및 그공법
KR100713806B1 (ko) * 2005-04-04 2007-05-04 김성진 도관 보수 장치
KR100719437B1 (ko) 2005-09-20 2007-05-17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배관 보수장치
KR100719438B1 (ko) 2005-09-20 2007-05-17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배관 보수장치 및 열선유닛
KR100719436B1 (ko) 2005-09-20 2007-05-17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배관 보수장치 및 그에 따른 보수공법
KR102361864B1 (ko) * 2021-07-29 2022-02-14 (주)신성엔지니어링 하수관로용 가지관 보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415A (ko) * 2001-07-13 2001-08-22 김윤수 관로 부분보수 장비 및 공법
KR100439208B1 (ko) * 2001-09-20 2004-07-03 모악개발 주식회사 관로 비굴착에 의한 주입 성형식 지수/보강장치 및 그공법
KR100713806B1 (ko) * 2005-04-04 2007-05-04 김성진 도관 보수 장치
KR100719437B1 (ko) 2005-09-20 2007-05-17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배관 보수장치
KR100719438B1 (ko) 2005-09-20 2007-05-17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배관 보수장치 및 열선유닛
KR100719436B1 (ko) 2005-09-20 2007-05-17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배관 보수장치 및 그에 따른 보수공법
KR102361864B1 (ko) * 2021-07-29 2022-02-14 (주)신성엔지니어링 하수관로용 가지관 보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1591A1 (en) Stent spring for pipe repair device
KR101355808B1 (ko) 단축식 관로 보수기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200187255Y1 (ko) 하수도관 보수장치
JP4462814B2 (ja) 既設管路の補修用被覆体
KR20100116352A (ko) 이중 벽체용 이중 신축 관체
JP3838577B1 (ja) パイプの空中架設構造及び空中架設方法
KR101206041B1 (ko)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102134641B1 (ko) 맨홀뚜껑 인상용 링
JP3436604B2 (ja) 既設管渠を管更生し、管渠を再構築する方法
KR100338799B1 (ko) 대구경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
JP2999393B2 (ja) 地下埋設管の更生方法
KR100803512B1 (ko) 관로 비굴착 복합 보강 공법
EP3922771A1 (en) Multilayer precast paved road
JP6458101B2 (ja) 止水プラグ装置
KR100952129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0717290B1 (ko)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JP5918029B2 (ja) 既設管の更生工法
JPH10305483A (ja) 管渠のライニング用ライナーと管渠のライニング工法
CN219646612U (zh) 一种消防设施的永临结合结构
KR102610390B1 (ko) 견인식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 공법
CA3125165C (en)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 host pipe
JPH08270840A (ja) 内面被覆コルゲート鋼管の内面被覆方法
KR200182579Y1 (ko) 대구경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
KR101926911B1 (ko) 필름의 교체가 용이한 에어하우스
JP3054425U (ja) 浸透水排水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