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979Y1 -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979Y1
KR200186979Y1 KR2019970043757U KR19970043757U KR200186979Y1 KR 200186979 Y1 KR200186979 Y1 KR 200186979Y1 KR 2019970043757 U KR2019970043757 U KR 2019970043757U KR 19970043757 U KR19970043757 U KR 19970043757U KR 200186979 Y1 KR200186979 Y1 KR 200186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plate
short
electrode
p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051U (ko
Inventor
원대연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70043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979Y1/ko
Priority to JP10144540A priority patent/JPH11204095A/ja
Publication of KR19990031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0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목적 : 정극 및 부극과 같은 극판을 절단하는 공정 중에 불가피하게 생성된 버어로 인한 극판간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 : 정극과 부극을 포함하는 극판과 세퍼레이터가 함께 권취되어 수납되는 캔과, 그 캔의 개구에 설치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세퍼레이터(2b)와 함께 권취되는 극판(2a, 2c)의 테두리에, 열경화성 수지로 된 비도전성 코팅층(12)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효과 : 비도전성 코팅층은 극판의 절단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된 버어를 감싸 노출을 방지하므로, 극판간의 쇼트가 방지되게 한다. 따라서, 전지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본 고안은 이차전지의 극판을 절단하는 제조공정 중에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버어(burr)에 의한 극판간의 쇼트를 방지하고, 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의 종래 공지된 구조가 도 3에 자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는 정극(2a)과 세퍼레이터(2b) 및 부극(2c)이 함께 권취된 전극부(2)가 상기 부극과 접속된 캔(4)의 내부에 수납되고, 그 캔(4)의 상부에 상기 정극과 접속된 캡 어셈블리(6)가 설치되어서, 상기 캔(4)에 전해액이 주입된 후 밀봉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극부(2)는 그 상면과 하면에 절연판(8)을 개재하여 캡 어셈블리(6) 및 캔(4)과의 접촉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차전지에 있어서, 정극 및 부극과 같은 극판(極板)은 전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베이스 플레이트에 활물질이 포함된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 및 롤 프레스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이때, 극판의 절단 공정은 슬리팅(slitting), 쉐어링(shearing), 타발 등에 의해 실행된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극판은 도 4와 같이, 양 극판(2a, 2c)의 사이에 세퍼레이터(2b)를 개재하여 롤 상으로 권취하여 전극부(2)를 구성하고, 캔(4)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극판 특히, 정극(2a)은 절단 공정 중에 그 테두리에서 불가피하게 버어(2d)가 발생되는 바, 이것은 극판 두께의 5∼50%의 크기로 생성되어, 도면에서와 같이 세퍼레이터(2b)를 관통하여 인접된 극판(2b)과 접촉 및 쇼트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전지는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버어(2d)는 이차전지의 충·방전에 의한 극판의 팽창에 기인하여 잠재적인 쇼트 가능성을 보유하게 되어, 제품의 출시후 크래임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에는 정밀한 슬리터(shitter)를 사용하여 버어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으나, 슬리터의 날이 마모될 경우 개선이 어렵게 되므로, 날의 마모 정도를 항상 검사하고 그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절단 과정에서 발생된 버어가 세퍼레이터를 관통하여 인접 극판과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활물질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이것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제조된 극판의 테두리에 열경화성 수지로 된 비도전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쇼트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단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한 비도전성 코팅층은 극판의 절단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된 버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비도전성 코팅층에 의해 극판간의 쇼트가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지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가 적용된 이차전지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을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공지된 이차전지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 공지된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a-정극 2b-세퍼레이터
2c-부극 2d-버어
12-비도전성 코팅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이차전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전지의 구조는 원통형 전지를 예로서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차전지는 정극(2a)과 세퍼레이터(2b) 및 부극(2c)이 함께 권취된 전극부(2)을 갖추어서, 그 전극부(2)가 상기 부극(2c)과 접속된 캔(4)에 삽입되고, 그 캔(4)의 상부 개구에 안전장치를 갖춘 캡 어셈블리(6)가 설치되며, 상기 캔(4)의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된 후, 상기 캔(4)과 캡 어셈블리(6)의 사이에 가스켓(10)이 개재되어 밀봉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극부(2)는 캔(4) 및 캡 어셈블리(6)와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그 상부와 하부에 절연판(8)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은 정극(2a)과 부극(2c)의 버어가 세퍼레이터(2b)를 관통하여 상호 인접된 극판에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정극(2a) 및 부극(2c)과 같은 극판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활물질이 포함된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 및 롤 프레스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이때, 각각의 극판(2a, 2c)은 절단 공정에 의해 그 테두리에 버어가 발생되는 바, 본 고안은 도 2와 같이 버어(2d)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극판(2a, 2c)의 테두리에 비도전성 코팅층(12)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비도전성 코팅층(12)은 극판의 테두리에 도포되어 점착되고 경화되는 것으로,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열경화성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규소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극판(2a, 2c)은 그 사이에 세퍼레이터(2b)를 개재하여 롤 상으로 권취되어 전극부(2)를 구성하고, 캔(4)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비도전성 코팅층(12)은 극판 즉, 정극(2a) 및 부극(2c)에 생성된 버어(2d)를 감싸 버어(2d)가 외부로 노출되고 세퍼레이터(2b)를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한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은 극판의 테두리를 비도전성 물질로 코팅함으로써, 절단 공정 중에 불가피하게 발생된 버어로 인한 쇼트를 방지하고, 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폭발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지의 충·방전시 극판의 팽창으로 인한 잠재적인 쇼트 가능성을 제거하므로, 제품의 출시후 발생될 수 있는 크래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고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정극 및 부극으로 구분된 극판과 세퍼레이터가 함께 권취되어 수납되는 캔과, 그 캔의 개구에 설치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극판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활물질 페이스트가 충전되고 이것이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것이며, 그 극판의 테두리에는 비도전성 코팅층이 형성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비도전성 코팅층은 열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KR2019970043757U 1997-12-30 1997-12-30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KR200186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57U KR200186979Y1 (ko) 1997-12-30 1997-12-30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JP10144540A JPH11204095A (ja) 1997-12-30 1998-05-26 二次電池の絶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57U KR200186979Y1 (ko) 1997-12-30 1997-12-30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051U KR19990031051U (ko) 1999-07-26
KR200186979Y1 true KR200186979Y1 (ko) 2000-07-01

Family

ID=1951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757U KR200186979Y1 (ko) 1997-12-30 1997-12-30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9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1486B2 (en) 2007-10-05 2011-05-31 Samsung Sdi Co., Ltd.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1486B2 (en) 2007-10-05 2011-05-31 Samsung Sdi Co., Ltd.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051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904B1 (ko)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6505859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601550B1 (ko) 리튬이온 이차 전지
KR100601548B1 (ko) 이차전지
KR20060105417A (ko) 스파이럴식 전극의 각형 전지
JP4611843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090096349A (ko) 밀폐형 전지
KR20060028180A (ko) 리튬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00014671A (ko)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KR20170018667A (ko) 이차전지
KR200186979Y1 (ko) 이차전지의 극판 쇼트 방지장치
KR20000009697A (ko) 원통형 전지의 열 발산장치
JPH11233149A (ja) 非水電解液電池
JPH10233198A (ja) 非水電解液電池
KR100322100B1 (ko) 밀폐전지
EP2424031B1 (en)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173953Y1 (ko) 이차전지의 전극
JPH0814818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319096B1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3077448A (ja) 非水電解液電池
KR100249340B1 (ko) 이차전지용 전극
JPH10233199A (ja) 非水電解液電池
KR20220068070A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73100B1 (ko) 리튬 이온 폴리머전지
JPH11204096A (ja) 非水電解液電池及び非水電解液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