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568Y1 -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 Google Patents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568Y1
KR200186568Y1 KR2019970026959U KR19970026959U KR200186568Y1 KR 200186568 Y1 KR200186568 Y1 KR 200186568Y1 KR 2019970026959 U KR2019970026959 U KR 2019970026959U KR 19970026959 U KR19970026959 U KR 19970026959U KR 200186568 Y1 KR200186568 Y1 KR 200186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 room
filtration filter
jig
lower plat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836U (ko
Inventor
김재산
Original Assignee
김재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산 filed Critical 김재산
Priority to KR2019970026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568Y1/ko
Publication of KR970060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01D2279/51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in clean rooms, e.g. production facilities for electronic devices,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청정실(크린룸; clean roo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청정실에 사용되는 여과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사용하는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의 상부에 떨어져서 쌓이게 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해 줌으로써 청정실내부의 작업공간내로 오염물질이 떨어지지 않게 하여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청정실내의 작업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개방되어 있는 중앙부와 하방과 외측으로 절곡시킨 외곽절곡부(202′)로 이루어져 있는 하부플레이트(210′),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한편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220′),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되 배출구(231′ 및 231″)를 향해 경사가 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투명패널(230′ 및 230″),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의 외곽과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의 외곽 사이에 설치되어 있되 팽창과 수축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240′),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에 고정되어 상기 투명패널(230′)의 하면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간(250′), 상기 투명패널(230′ 및 230″)의 함몰부에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온·오프밸브(261′)를 구비하고 있는 배출관(260′), 및 상기 배출관(26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청정실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2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를 제공해준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에 따른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는 청정실(크린룸; clean room)에 사용되는 여과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지그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본 고안은 청정실(크린룸; clean roo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청정실에 사용되는 여과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사용하는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청정실은, 과거 제약 및 유전공학분야에서 적용되기 시작한 생물학적 청정실(BCR; Biochemical Clean Room)에서 출발하여 전기·전자분야를 비롯한 정밀 기계공업·로봇산업 및 우주항공산업을 포함하는 전산업분야에 적용되는 산업용 청정실(ICR; Industrial Clean Room)로 그 적용범위를 확대해오고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청정실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조번호 100은 청정실 전체를 지시한다. 상기 청정실(100)의 중앙부에는 작업공간(10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작업공간(101)의 하부에는 다공성 바닥재(102)가 깔려 있다. 상기 다공성 바닥재(102)의 하방측부에는 순환공조장치(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순환공조장치(103)에는 상기 청정실(100)의 천정부(104)에 이어진 풍도(10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청정실(100)의 천정부(104)와 작업공간(101) 사이에는 필터고정프레임(106)이 횡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고정프레임(106)에는 다수의 여과 필터(10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청정실(10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순환공조장치(103)가 작동되면 상기 작업공간(101)으로부터 상기 다공성 바닥재(102)를 통해서 상기 순환공조장치(103)로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순환공조장치(103)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풍도(105)를 통해서 상기 천정부(104)로 보내진다. 상기 천정부(104)로 보내진 공기는 상기한 다수의 여과 필터(107)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상기 작업공간(101)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공간(101)으로 공급된 공기는 다시 상기 순환공조장치(103)의 작용에 의해 전술한 작용을 반복하는 일련의 순환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반도체를 비롯하여 자기테이프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istal Display) 등의 정밀전기·전자부품을 제조하는 생산현장에서는 상기 여과 필터(107)로서 다수(보통 1만여개)의 고효율필터를 사용하는 바 이 고효율필터는 잦은 불량을 일으키므로 수시로 교체해주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상기 여과 필터(107)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상기 여과 필터(107)가 설치된 영역이 개방되게 되므로, 상기 영역을 통해서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101)내로 침투하는 한편 상기 여과 필터(107)의 측방에 먼지의 침투를 예방하기 위해 도포한 실리콘제가 새어나와 상기 작업공간(101)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피하기 위해서 상기 여과 필터(107)를 교체하는 동안에는 작업을 중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인해 생산성에 심대한 타격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건출원의 출원인은 1995. 12. 29.자로 출원된 특허출원 제 95-65553호에서 청정실의 공기여과용 필터 교체방법 및 그 장치(이하에서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라 한다)를 제안한 바 있다.
제2(a)도 및 제2(b)도를 참조하여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제용 지그(200)는, 중앙부에 위치한 격자형태의 보강대(211)와, 상기 보강대(211)의 외곽에 하방과 외측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절곡부(212)로 이루어진 하부플레이트(210); 상기 하부플레이트(211)의 상부에 고정되되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220); 상기 하부플레이트(210)과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평판 형태의 투명패널(230); 및 상기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의 외곽과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의 외곽 사이에 설치되되 팽창과 수축이 자유로운 튜브(240)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2(b)도를 참조하여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여과 필터(107)를 교체하기 전에 상기 필터고정프레임(106)의 하부에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튜브(240)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튜브(240)가 상기 필터고정프레임(106)의 내측에 오도록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를 위치시킨다.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가 정위치에 오면 상기 튜브(240)를 팽창시켜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가 상기 필터고정프레임(106)의 하부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가 설치되면 파손된 여과 필터를 새로운 여과 필터로 교체해준다.
그러나, 종래의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에 의하는 경우에도,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의 상부에 오염물질이 떨어져서 쌓이게 되며, 결국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청정실(100)의 작업공간(101)내로 오염물질이 떨어져서 상기 작업공간(101)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의 상부에 떨어져서 쌓이게 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해 줌으로써 청정실내부의 작업공간내로 오염물질이 떨어지지 않게 하여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청정실내의 작업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청정실의 개략도.
제2(a)도는 종래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의 사시도.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된 지그의 설치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지그의 조립상태 일부절개사시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지그의 설치상태단면도.
제6(a)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하부플레이트 220′ : 상부플레이트
230′ 및 230″ : 투명패널 231′ 및 231″ : 배출구
240′ : 탄성체 250′ : 지지간
260′ : 배출관 261′ : 온·오프밸브
270′ : 가요성 호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개방되어 있는 중앙부와 하방과 외측으로 절곡시킨 외곽절곡부로 이루어져 있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한편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되 배출구를 향해 경사가 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투명패널,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외곽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외곽 사이에 설치되어 있되 팽창과 수축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투명패널의 하면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간, 상기 투명패널의 함몰부에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온·오프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청정실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3도 내지 제6(b)도를 참조하여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참조번호 210′은 하부플레이트를 지시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10′)는, 개방되어 있는 중앙부와 하방과 외측으로 절곡시킨 외곽절곡부(2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의 상부에는 상부플레이트(22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20′) 역시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는 배출구(231′ 및 231″)를 향해 경사가 진 형태의 투명패널(230′ 및 2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투명패널(230′)은 아크릴판과 같이 투명성이 있는 여러가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그 형태도 배출구(231′ 및 231″)를 향해 경사가 진 형태의 것이면 충분하지만 첨부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역사각뿔형태와 V자 종단면을 가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제작상이나 기능상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의 외곽과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의 외곽 사이에는 팽창과 수축이 자유로운 탄성체(2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240′)는 팽창과 수축이 자유로운 것이면 충분하나 고무튜브와 같이 팽창과 수축이 자유로운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패널(23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지지간(250′)이 횡단하여 설치되어 있되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에 상기 지지간(250′)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투명패널(230′ 및 230″)의 함몰부에는 하방으로 배출관(2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260′)에는 온·오프밸브(26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260′)의 하단부에는 상기 청정실(10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270′)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보다 더 완벽한 청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요성 호스(270′)의 내부에 여과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 및 제3도 내지 제6(b)도를 참조하여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여과 필터(107)를 교체하기 전에 상기 필터고정프레임(106)의 하부에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240′)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240′)가 상기 필터고정프레임(106)의 내측에 오도록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를 위치시킨다.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가 정위치에 오면 상기 탄성체(240′)를 팽창시켜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가 상기 필터고정프레임(106)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200′)를 설치한 후에는 파손된 여과 필터를 새로운 여과 필터로 교체해준다. 이때, 상기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투명패널(230′ 및 230″)의 상면에 떨어지는 오염물질은 함몰부에 모이게 되며 상기 온·오프밸브(261′)를 개방해주는 경우 상기 오염물질은 상기 배출관(260′)을 통과해서 상기 가요성 호스(270′)를 따라서 상기 청정실(100)의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청정실(100)의 하부로 내려간 오염물질은 상기 다공성 바닥재(102)를 지나 상기 순환공조장치(103)를 통과해서 상기 풍도(105)를 거쳐 상기 천정부(104)로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정부(104)로 보내진 오염물질은 기존 여과 필터(107)와 교체된 여과 필터(107)들에 의해서 여과되어 제거됨으로써 상기 작업공간(101)에는 여과된 청정한 공기만이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요성 호스(270′)의 내부에 여과 필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투명패널(230′ 및 230″)의 상면에 떨어지는 오염물질은 상기 배출관(260′)을 통과해서 상기 가요성 호스(270′)를 따라서 상기 청정실(100)의 하부로 내려가는 과정에서 여과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에 따르면,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의 상부에 떨어져서 쌓이게 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해 줌으로써 청정실내부의 작업공간내로 오염물질이 떨어지지 않게 하여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청정실내의 작업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상기 가요성 호스(270′)의 내부에 여과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투명패널(230′ 및 230″)의 상면에 떨어지는 오염물질이 작업공간내에 침투할 수 있는 여지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Claims (3)

  1. 개방되어 있는 중앙부와 하방과 외측으로 절곡시킨 외곽절곡부(202′)로 이루어져 있는 하부플레이트(2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22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설치되며 배출구(231′ 및 231″)를 향해 경사가 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투명패널(230′ 및 230″)과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의 외곽과 상기 상부플레이트(220)의 외곽 사이에 설치되어 팽창과 수축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240′)를 갖는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210′)에 고정되어 상기 투명패널(230′)의 하면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간(250′)과 상기 투명패널(230′ 및 230″)의 함몰부에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온·오프밸브(261′)를 구비하고 있는 배출관(260′) 및 상기 배출관(26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청정실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2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패널(230′)이 역사각뿔형태의 것인 것을 특정으로 하는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패널(230″)이 V자 종단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KR2019970026959U 1997-09-29 1997-09-29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KR200186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959U KR200186568Y1 (ko) 1997-09-29 1997-09-29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959U KR200186568Y1 (ko) 1997-09-29 1997-09-29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836U KR970060836U (ko) 1997-12-10
KR200186568Y1 true KR200186568Y1 (ko) 2000-07-01

Family

ID=1951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959U KR200186568Y1 (ko) 1997-09-29 1997-09-29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5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689B1 (ko) 2015-10-27 2017-02-10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튜브 교체용 지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689B1 (ko) 2015-10-27 2017-02-10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튜브 교체용 지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836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137B1 (en) Non-cylindrical filter elements
EP3132734B1 (en) Dust suction apparatus
WO2005082487A1 (en) Disposable filter for a fluid handling device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WO2015178449A1 (ja) 吸気フィルタ装置、吸気フィルタ装置のフィルタ交換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
JP3774784B2 (ja) クリーンルームのフィルタ交換用補助装置
KR200186568Y1 (ko) 청정실의 여과 필터 교체용 지그
KR101082309B1 (ko) 운전중에도 필터의 클리닝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집진기
KR102494929B1 (ko) 중앙공조장치용 리필형 필터와 이를 구비한 중앙공조장치
CN218608550U (zh) 一种洁净室净化用回风管道结构
KR200194074Y1 (ko)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US3593502A (en) Mounting for fluid filters
SU1725981A1 (ru) Волокнистый складчатый фильтр
KR101209130B1 (ko) 반도체 청정실 실링 그리드 구조
KR100815456B1 (ko) 양방향에 탈진부가 구비된 집진장치
KR200407392Y1 (ko) 이중필터 구조 집진기
JP2007263441A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用フィルタの塵埃除去装置、
CN114159893A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车间空气过滤器及其清洁方法
CN109173472B (zh) 封堵件、除尘器滤袋自动封堵系统及除尘器
CN211411245U (zh) 管道过滤器
JPWO2013038757A1 (ja) 集塵機
KR100225130B1 (ko) 청정실의 공기여과용 필터 교체방법 및 그 장치
CN208139448U (zh) 一种应用于工厂的环保设备
CN217340534U (zh) 一种除尘器
KR19990004395U (ko) 장비 부착용 공기 청정장치
KR200337362Y1 (ko) 스트레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