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299Y1 -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6299Y1 KR200186299Y1 KR2020000002646U KR20000002646U KR200186299Y1 KR 200186299 Y1 KR200186299 Y1 KR 200186299Y1 KR 2020000002646 U KR2020000002646 U KR 2020000002646U KR 20000002646 U KR20000002646 U KR 20000002646U KR 200186299 Y1 KR200186299 Y1 KR 20018629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ushed
- metal plate
- lighting device
- light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촉사고 등으로 자동차의 외측 금속판 일부가 찌그러진 경우, 이 찌그러진 부위를 원상태로 복구할 때 종래의 형광등에 의한 조명장치를 변경하여 판별봉이 구비된 할로겐램프나 광케이블과 적외선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통해 불빛을 조사함으로써, 금속판의 찌그러진 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하기 보다 용이하도록 하면서 작업자의 눈에 주는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접촉 사고 등으로 찌그러진 자동차의 금속판 부위를 원상복구하기 위해 작업 할 때 찌그러진 금속판 부위에 불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찌그러진 금속판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발광원(2)으로 다수개의 헬로겐램프가 조명케이스(1)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원(2)에서 소정거리를 둔 조사면에 일차로 불투명막(3)이 감싸지며, 상기 발광원(2)에서 조사되는 불빛에 의해 찌그러진 부위에 그림자가 투영되는 판별봉(4)이 상기 불투명막(3)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사고 등으로 자동차의 외측 금속판 일부가 찌그러진 경우, 이 찌그러진 부위를 원상태로 복구할 때 종래의 형광등에 의한 조명장치를 변경하여 판별봉이 구비된 할로겐램프나 광케이블과 적외선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통해 불빛을 조사함으로써, 금속판의 찌그러진 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하기 보다 용이하도록 하면서 작업자의 눈에 주는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접촉 사고 등으로 인해 자동차 외면이 찌그러진 경우에 자동차 수리공장 등에서 찌그러진 부위를 판금과 같은 작업을 통해 원상태로 펴는 작업을 하게 되는 바, 이때 종래 일반적인 판금 작업은 자동차의 외면을 이루는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의 내측에 부착된 부품들을 제거한 후 내측에서 외측으로 두드려서 펴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을 이용한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를 원상태로 복구시키는 경우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를 원상태로 펴기 위해 찌그러진 부위의 내측에 부착된 부품들을 제거한 후에 작업을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되고, 금속판을 두드려 펴는 과정에서도 금속판의 외면에 도장된 페인트의 일부가 충격에 의하여 벗겨질 수 있어, 이런 경우 재 도장을 해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며, 또한 금속판도 완전하게 원상태로 복구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간단한 구조의 도구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내부를 전혀 분해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거의 완벽하게 원상태로 복구시킬 수 있고, 금속판을 원상태로 복구시키는 과정에서 도장면이 전혀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특허 공고(특허 공고번호 제96-639호;1996. 1. 10)되었다.
즉, 상기 특허 공고된 방법은, 원상태로 복구시키고자 하는 금속판의 일측에 금속판과 수평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광등(100)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위치시키고, 상기 형광등(100)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맞은 편에 작업자가 위치하여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분의 내부에 끝이 뾰족하고 끝 부분이 휘어진 작업공구의 끝을 위치시키며, 형광등(100) 그림자의 명암의 차이를 이용하여 작업공구의 끝을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분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킨 다음, 찌그러진 부분이 완전히 원상태로 복구될 때까지 지렛대 식으로 작업공구의 손잡이를 신속하게 탄성을 주어 가볍게 반복해서 누름으로써 찌그러진 금속판을 원상태로 복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형광등(100)의 불빛을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에 조사한 다음, 형광등의 불빛 반사각 또는 형광등(100)에 불빛에 의해 나타나는 반사부위의 밝기의 차이 및 그림자의 형태(음영차이)를 통해 찌그러진 부위의 중심부를 찾아 작업공구로 작업을 실시하게 됨에 따라 작업 시에 작업장 주변의 밝기 등에 의해 형광등(100) 불빛이 많은 영향을 받게 되고, 형광등(100) 불빛 자체의 특성이 사방으로 퍼져 육안으로 찌그러진 범위를 정확하고 세밀하게 찾아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형광등(100) 불빛을 자동차의 찌그러진 금속판 부위에 직접 조사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형광등(100) 불빛의 직접적인 반사등으로 인해 작업자의 눈에 쉽게 피로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를 원상태로 복구할 때 사용되는 종래의 형광등에 의한 조명장치를 변경하여 일차로 불투명막으로 감싼 상태에서 판별봉이 구비된 할로겐램프나 광케이블과 적외선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통해 불빛을 조사함으로써,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의 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하기 보다 용이하도록 하면서 작업자의 눈에 주는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접촉 사고 등으로 찌그러진 자동차의 금속판 부위를 원상복구하기 위해 작업 할 때 찌그러진 금속판 부위에 불빛을 조사하여 밝히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발광원으로 다수개의 헬로겐램프가 조명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원에서 소정거리를 둔 조사면에 일차로 불투명막이 감싸지며, 상기 발광원에서 조사되는 불빛에 의해 찌그러진 부위에 그림자가 투영되는 판별봉이 상기 불투명막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발광원을 적외선램프로 할 경우, 조명장치의 일측면에 적외선램프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불투명막을 제거하고, 상기 판별봉 대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적외선램프에 연결하며, 상기 각 광케이블의 중심선을 따라 가는 틈을 형성하여 이 틈으로 불빛이 조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써, 적외선램프와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서로 다른 판별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도.
도 5는 종래 기술로써, 형광등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명케이스 2 : 발광원
2a : 적외선램프 3 : 불투명막
4 : 판별봉 5 : 집게부
6 : 작동스위치 7 : 조절노브
8 : 지지대 9 : 받침대
14 : 광케이블 15 : 틈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써, 적외선램프와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용 조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모양의 조명케이스(1) 내에 발광원(2)이 설치되고, 발광원(2)의 전면에는 조사면을 형성하는 불투명막(3)이 설치되며, 이 불투명막(3) 전면에 착탈 가능한 판별봉(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케이스(1) 뒷면에는 조명장치를 온/오프 하는 작동스위치 (6) 및 발광원(2)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노브(7)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의 발광원(2)으로는 할로겐램프, 적외선램프 중에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한 것은 할로겐램프와 같이 조도가 높으면서 집중 조명이 용이한 발광원(2)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조명장치에는 발광원(2)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노브(7)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 여건에 따라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명장치의 불투명막(3)에 설치되는 판별봉(4)은 상기 불투명막(3)에 가로질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조명케이스의 조사면 양측면에 전방부가 개방되면서 탄성을 갖는 둥근 고리모양의 집게부(5)가 설치되고, 이 집게부(5)에 상기 판별봉(4)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판별봉(4)은 둥근 막대 모양의 긴 봉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 형상에 따라 다양한 폭과 모양으로 형성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판별봉(4)이 조명장치의 불투명막(3)에 가로질러 부착되게 되면, 상기 발광원(2)에서 발생된 불빛이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에 조사될 때, 판별봉(4)의 그림자가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에 투사되는 바, 이때 찌그러진 부위의 형태에 따라 투사되는 그림자의 형태가 일직선으로 형태로 나타나지 않고 굴곡된 상태로 나타내거나 아니면 판별봉(4) 그림자 폭이 일정하지 않고 찌그러진 부위에서 변형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복구 작업 시에 판별봉(4)의 그림자 폭이 변형되지 않은 일직선 형태로 나타날 때까지 도시되지 않은 작업공구로 찌그러진 부위를 가압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되면 찌그러진 금속판 부위가 원상태로 복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용 조명장치는 높낮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지지대(8)를 통해 연결된 삼각대 형상의 받침대(9) 상에 설치되어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의 높이를 감안하여 원하는 높이 및 방향에서 조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케이스(1) 저면 쪽에 상하방향으로 힌지 구동되어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상하각도조절부(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9)와 지지대(8)의 중간 부위에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각도조절부(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지지대(8)의 길이를 조절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9)는 삼각대 형상이 아닌 바닥면이 평평한 플라스틱 자석과 같은 것으로 받침대(9)를 만들어 작업장의 작업 여건이나 자동차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에 따라 차체에 플라스틱자석으로 된 받침대(9)를 붙여서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발광원(2)으로 적외선램프 (2a)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발광원(2)을 적외선램프(2a)로 할 경우, 상기 조명케이스(1) 내의 일측면에 적외선램프(2a)가 설치되고, 이 적외선램프(2a)가 별도의 커버(13)로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한 불투명막(3)이 제거되며, 상기한 판별봉(4) 대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14)이 적외선램프(2a)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 광케이블(14)의 중심선을 따라 가는 틈(15)을 형성하여 이 틈(15)으로 적외선램프(2a)의 불빛이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이 광케이블(14)에 틈(15)을 두는 이유는 적외선램프(2a)에서 조사되는 불빛은 광케이블(14)을 따라 직진하는 바, 이때 광케이블(14)에 가는 틈(15)을 형성하게 되면, 이 가는 틈(15)으로 직진하던 적외선램프(2a)의 불빛이 새어나와 전면에 위치한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로 조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장치의 작동에 대해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금속판 일부가 접촉 사고에 의해 찌그러졌을 경우,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에 대한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당한 크기의 판별봉(4)이 설치된 조명장치를 선택하고, 적절한 각도로 조명장치를 조절하여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에 불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한 후에 작동스위치(6)를 켜서 발광원(2)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발광원(2)의 불빛이 상기 불투명막(3) 앞에 부착된 판별봉(4)을 통해 찌그러진 부위에 조사되어 찌그러진 부위에 판별봉(4)의 그림자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판별봉(4)의 그림자는 찌그러진 부위의 형상에 따라 일직선으로 나타나지 않고 변형되게 나타남으로써, 이 변형된 그림자를 통해 찌그러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별봉(4)의 그림자가 변형되어 나타난 찌그러진 부위를 육안으로 살핀 상태에서 작업자는 끝이 뾰족하면서 끝 부분이 휘어져 있는 작업공구(도시 안됨)를 잡고 찌그러져 있는 금속판의 중심부를 찾아서 힘을 강하게 주면서 신속하게 누르기를 반복하게 되면 금속판이 원상태로 펴지게 된다.
물론 이때 찌그러진 금속판이 펴지면서 찌그러진 부위에 투사된 판별봉(4)의 그림자가 차츰 균일한 폭을 갖는 일직선으로 돌아오는 상태로 금속판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에 의하면, 집중조명이 가능한 할로겐램프와 판별봉을 통해 불빛을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에 조사하기 때문에 보다 찌그러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고, 할로겐램프의 불빛을 불투명막으로 한번 걸러서 조사하기 때문에 불빛이 작업자의 눈에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접촉 사고 등으로 찌그러진 자동차의 금속판 부위를 원상복구하기 위해 작업 할 때 찌그러진 금속판 부위에 불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찌그러진 금속판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상기 조명장치의 발광원으로 다수개의 헬로겐램프가 조명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원에서 소정거리를 둔 조사면에 일차로 불투명막이 감싸지며, 상기 발광원에서 조사되는 불빛에 의해 찌그러진 부위에 그림자가 투영되는 판별봉이 상기 불투명막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발광원을 적외선램프로 할 경우, 상기 조명장치의 일측면에 적외선램프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불투명막이 제거되고, 상기 판별봉 대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이 적외선램프에 연결되며, 상기 각 광케이블의 중심선을 따라 가는 틈이 형성되어 이 틈으로 적외선 불빛이 조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2646U KR200186299Y1 (ko) | 2000-01-31 | 2000-01-31 |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2646U KR200186299Y1 (ko) | 2000-01-31 | 2000-01-31 |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6299Y1 true KR200186299Y1 (ko) | 2000-06-15 |
Family
ID=1964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2646U KR200186299Y1 (ko) | 2000-01-31 | 2000-01-31 |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6299Y1 (ko) |
-
2000
- 2000-01-31 KR KR2020000002646U patent/KR20018629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36726A (en) | Flaw highlighting light panel and booth for automobile body repair | |
MX9705701A (es) | Metodo y aparato para seguir e inspeccionar un borde o margen. | |
EP1336898A3 (en) |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and device fabrica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890016327A (ko) | 자동차에 대한 자기 조명 그릴 | |
ATE211829T1 (de) | Vorrichtung zur linienförmigen beleuchtung von blattgut, wie z.b. banknoten oder wertpapiere | |
US5479804A (en) | Tools for paintless dent repair | |
KR200186299Y1 (ko) |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원상복구 작업용 조명장치 | |
US20040050267A1 (en) | Screen printing device | |
KR960000639B1 (ko) | 자동차의 찌그러진 금속판을 원상태로 복구하는 방법 | |
KR200286140Y1 (ko) |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식별용 형광등 | |
JP6779344B2 (ja) | 不良箇所検出器具及び不良箇所検出方法 | |
CN212944176U (zh) | 一种用于紫外色选机的相机对准工装 | |
EP1522896A3 (en) |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exposure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0973303B1 (ko) | 자동차 외표면 검사용 램프 | |
KR200457345Y1 (ko) | 자동차 차체면 요철부 판독장치 | |
JP6774446B2 (ja) | 線状光照射器具 | |
JPH10188624A (ja) | 自動車ボデー等のヘこみ修復用の光の照射方法とその照射装置 | |
KR0168515B1 (ko) | 자동차의 찌그러진 금속판을 원상태로 복구하는 작업공구 및 이를 이용한 복구 방법 | |
KR100510904B1 (ko) |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식별장치 | |
US11678758B2 (en) | Resilient floor mat for automobile repair | |
JP2001071030A (ja) | 金属表面部の修復方法 | |
KR200227642Y1 (ko) | 차체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 |
US5489954A (en) | Lens projecting device | |
GB2037415A (en) | Spotlight | |
GB2135925A (en) | A welding pist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403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