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248Y1 - 슬리퍼 - Google Patents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248Y1
KR200186248Y1 KR2020000001221U KR20000001221U KR200186248Y1 KR 200186248 Y1 KR200186248 Y1 KR 200186248Y1 KR 2020000001221 U KR2020000001221 U KR 2020000001221U KR 20000001221 U KR20000001221 U KR 20000001221U KR 200186248 Y1 KR200186248 Y1 KR 200186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lippers
slipper
present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윤
Original Assignee
임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윤 filed Critical 임재윤
Priority to KR2020000001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퍼의 밑창에 결합되는 갑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발의 앞, 뒤 길이에 대한 좌, 우의 폭과 발등의 높이가 평균적인 비율을 벗어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발 길이에 맞는 슬리퍼를 신고 활동할 때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슬리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밑창과 갑피로 이루어진 슬리퍼에 있어서, 상기 갑피를 내측 갑피와 외측 갑피로 분할하고 상기 내측 갑피의 내측 선단과 외측 갑피의 외측 선단에 벨크로 테이프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발의 앞, 뒤 길이에 비해 지나치게 발의 폭이 넓거나 좁은 사람 또는 발등의 높이가 높은 사람도 슬리퍼를 신을 때 자신의 발 형태에 맞추어 신을 수 있어, 상기 슬리퍼를 신고 활동할 때 편안함을 주어 활동성을 높이고 맞지 않는 슬리퍼를 신고 활동하는 데에서 오는 불편함과 부작용을 제거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슬리퍼 {Slipper}
본 고안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람의 발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갑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퍼는 발 뒤꿈치는 꿰지 않고 발끝(주로 발등)을 꿰어 신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실내에서 간편하게 신고 활동할 수 있는 신발이다.
상기와 같은 슬리퍼는 밑창과 갑피로 이루어 지는 것으로, 밑창은 통상적인 신발의 밑창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고, 갑피는 발등을수 있도록 그 양측 선단이 밑창의 상면 양측에 결합되어 이루어 졌는데, 이러한 슬리퍼는 주로 실내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해변이나 강가 등에서 신을 수 있는 스포츠 레저용 등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리퍼는 발의 크기에 따른 다양한 제품은 있으나, 발의 폭 또는 높이에 따라 맞춰 신을 수 있도록 된 제품은 없는 실정이다.
즉, 종래 슬리퍼는 발 바닥의 앞, 뒤 길이에 따라 밑창의 길이를 다양하게 하였는데, 발의 좌, 우 폭과 발등의 높이에 대해서는 상기 길이를 토대로 유추하여 계산한 값을 표준으로 하여 제품화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율에 벗어나는 사람, 다시 말하면 발 바닥의 앞, 뒤 길이에 비해 좌, 우의 폭이 넓거나 발등의 높이가 높은 사람은 발의 앞, 뒤 길이에 맞는 슬리퍼는 폭과 높이가 맞지 않아 신을 수 없어 자신의 발 길이보다 한 치수 더 큰 슬리퍼를 신어야 하기 때문에, 걸어다닐 때 상기 슬리퍼의 밑창이 끌려 요란한 소리를 내게되는 등 불편함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퍼의 밑창에 결합되는 갑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발의 앞, 뒤 길이에 대한 좌, 우의 폭과 발등의 높이가 평균적인 비율을 벗어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발 길이에 맞는 슬리퍼를 신고 활동할 때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슬리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밑창과 갑피로 이루어진 슬리퍼에 있어서, 상기 갑피를 내측 갑피와 외측 갑피로 분할하고 상기 내측 갑피의 내측 선단과 외측 갑피의 외측 선단에 벨크로 테이프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퍼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슬리퍼 11 : 밑창 12 : 갑피
13 : 내측 갑피 14 : 외측 갑피 15 : 벨크로 테이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퍼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발 바닥의 형태와 유사하게 밑창(11)을 형성하고, 이 밑창(11)의 상측면에 갑피(12)를 형성하여 결합시키되, 상기 갑피(12)는 내측 갑피(13)와 외측 갑피(14)로 분할하여 형성하며, 이 내측 갑피(13)와 외측 갑피(14)의 일측 선단에는 벨크로 테이프(15)를 형성하고, 타측 선단은 상기 밑창(11)의 상측면 내측과 외측에 각각 결합시킨다.
상기에 있어서, 갑피(12)는 밑창(11)의 상측면에서 중간 지점보다 다소 앞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시키므로써, 슬리퍼(1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리퍼(10)를 신기 위해서는 발의 앞 부분을 밑창(11)과 갑피(12)의 공간사이로 밀어 넣는데, 슬리퍼(10)의 뒤쪽에서 상기 공간으로 발의 앞 부분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슬리퍼(10)의 앞쪽으로 전진시키면 발등이 갑피에 꿰이게 되어 활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슬리퍼(10)를 신기 위한 상태, 즉 최초의 상태에서는 내측 갑피(13)와 외측 갑피(14)의 선단에 형성한 벨크르 테이프(15)가 서로 접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와 같이 슬리퍼(10)를 신을 때 발등이 갑피(12)가 위치한 부분에 이르게 되면, 서로 접착되어 상기 내측 갑피(13)와 외측 갑피(14)를 결합시키고 있는 벨크로 테이프(15)의 접착 상태를 해제시켜 내측 갑피(13)와 외측 갑피(14)를 분리시킨다.
이후, 외측 갑피(14)의 선단을 발등위에 올려 놓은 다음 내측 갑피(13)의 선단이 외측 갑피(14) 위에 포개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내측 갑피(13)와 외측 갑피(14)가 발등을 편안히 감싸 꿸 수 있도록 그 포개지는 양을 조절한 후, 내측 갑피(13)를 지그시 누르면 외측 갑피(14)와 내측 갑피(13)의 선단에 형성한 벨크로 테이프(15)가 서로 접착하여 상기 내측 갑피(13)와 외측 갑피(14)를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슬리퍼(10)를 신는 과정이 종료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슬리퍼(10)를 신은 채 활동하다 상기 슬리퍼(10)를 벗을 때는 발을 슬리퍼(10)의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되는데, 이와 같이 발을 슬리퍼(10)의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슬리퍼(10)에 발등이 꿰어진 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며 발이 슬리퍼(10)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슬리퍼의 갑피를 내측 갑피와 외측 갑피로 분할하고, 분할된 내측 갑피와 외측 갑피의 선단에 밸크로 테이프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의 앞, 뒤 길이에 비해 지나치게 발의 폭이 넓거나 좁은 사람 또는 발등의 높이가 높은 사람도 슬리퍼를 신을 때 자신의 발 형태에 맞추어 신을 수 있어, 상기 슬리퍼를 신고 활동할 때 편안함을 주어 활동성을 높이고 맞지 않는 슬리퍼를 신고 활동하는 데에서 오는 불편함과 부작용을 제거하는 고안이다.

Claims (1)

  1. 밑창(11)과 갑피(12)로 이루어진 슬리퍼에 있어서,
    상기 갑피(12)를 내측 갑피(13)와 외측 갑피(14)로 분할하고 상기 내측 갑피(13)의 내측 선단과 외측 갑피(14)의 외측 선단에 벨크로 테이프(1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KR2020000001221U 2000-01-17 2000-01-17 슬리퍼 KR200186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221U KR200186248Y1 (ko) 2000-01-17 2000-01-17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221U KR200186248Y1 (ko) 2000-01-17 2000-01-17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248Y1 true KR200186248Y1 (ko) 2000-06-15

Family

ID=1963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221U KR200186248Y1 (ko) 2000-01-17 2000-01-17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2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420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US7051458B2 (en) High-heeled jazz dancing and character dancing shoe
US2780013A (en) Footwear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US20050120592A1 (en) Footwear combining comfort with fashion
JP7166035B1 (ja) 履物の底板構造
KR200186248Y1 (ko) 슬리퍼
TWM459743U (zh) 鞋體結構
CA2957924C (en) Shoe with flexible upper
CN213428629U (zh) 一种对称式拖鞋
CA2498564A1 (en) Interchangeable footwear comprising multiple shoe inserts
CN103564955A (zh) 一种登山鞋
KR20010070601A (ko) 구두용 누드 양말
JPH09308706A (ja) 半球体的隆起状底式履き物型トレーニング器具
KR200321705Y1 (ko) 신발의 밑창
KR200313770Y1 (ko) 신발
KR102339068B1 (ko) 골프화
CN212212885U (zh) 一种新型特种鞋
JP3240890U (ja) スリッパ
JP6667906B2 (ja) 足袋スリッパ
CN210539219U (zh) 一种防退滑耐磨鞋垫
KR200304934Y1 (ko) 지압 신발 깔창
KR200337719Y1 (ko) 갑피 전체 착탈식 슬리퍼 겸용 신발
JP3100777U (ja) 履物の底面構造、履物の接触面構造
JP3108243U (ja) 健康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