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694Y1 - 경광등 - Google Patents

경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694Y1
KR200185694Y1 KR2019970031784U KR19970031784U KR200185694Y1 KR 200185694 Y1 KR200185694 Y1 KR 200185694Y1 KR 2019970031784 U KR2019970031784 U KR 2019970031784U KR 19970031784 U KR19970031784 U KR 19970031784U KR 200185694 Y1 KR200185694 Y1 KR 200185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olar cell
output
present
ce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529U (ko
Inventor
박병호
Original Assignee
박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호 filed Critical 박병호
Priority to KR2019970031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6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5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공사장이나 각종의 시설, 차량 등에 설치하여 주위의 시선을 끌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경광등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고 브러쉬 등 마모요소의 사용을 배제하여 원하는 장소에 어디든지 설치하여 사용가능하게 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주간에는 태양전지부에 의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고 야간에는 축전지의 전력이 발광소자에 공급되도록 하며, 발광소자를 기판 둘레에 균등간격으로 고정 배치하여 순차 점등시킴으로써 모우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램프가 회전되는 경광등의 시각 효과를 얻음은 물론 태양전지부에 의하여 전원문제가 해결되어 별도의 전원 급선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각종 공사장이나 건물, 시설, 차량의 위치를 주위의 사람들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경광등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경광등
본 고안은 공사장이나 각종 시설 또는 설비나 차량 등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광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도 작동 가능한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경광등은 모우터에 의하여 반사경이 구비된 램프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전방향(全方向)에서 사람들의 시선을 끌 수 있도록 하여 안전 통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경광등의 구조를 살펴보면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판체 위에 반사경을 구비한 램프를 고정하고 램프에는 브러쉬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브러쉬가 마모되어 접촉이 불량하게 되므로 고장률이 높게 되고, 모우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소비전력이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무겁게 되고 부피가 커지게 되는 것이어서 취급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근래에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5-7110호(고안의 명칭 : 점멸등)에 의하여 주간에는 태양전지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축전지에 저장하고, 야간에는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으로 발광소자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한 형태의 경광등이 제안된바 있으며, 이에 의하여 별도의 전력공급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었던 것이나, 이는 하나의 발광소자에 의한 빛이 산란판을 통하여 산란되도록 하는 형태의 것이므로 경광등과 같이 발광소자의 회전에 의하여 눈길을 모으는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므로 경광등으로는 사용될 수 없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전력소모가 적으면서도 램프가 회전되는 것과 같은 눈길을 집중시키는 시각효과를 제공하는 경광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광등의 내부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광등의 전체적인 전기적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광등의 구체적인 전기적 구성의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체 2 : 발광부
3 : 태양전지부 4 : 감지부
5 : 제어신호발생부 6 : 발광다이오드
7 : 링카운터부 8 : 구동부
9 : 트랜지스터 10 : 기판
11 : 다이오드 12 : 축전지
13 : 낸드게이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경광등은 태양전지와 다수의 발광소자를 내장시키고 이들을 순차로 일정시간동안 교번으로 점등시켜 주기 위한 감지부를 구비하되, 이에 제어 신호 발생부와, 링카운터부를 결합하여서 된 경광등을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야간이 되면 전방향에서 램프가 회전하는 것과 같은 시각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시선 집중효과를 얻어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고장률이 적어 그 수명이 장구하게 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본 고안에 의한 경광등의 내부구조를 예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투명성 함체(1)와, 그 내부에 설치된 전원이 공급되는 발광부(2), 상방에 설치된 태양전지부(3)와, 태양전지부(3) 하방에 태양전지부(3)에 의하여 충전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발광부(2)과, 발광부(2)에 태양전지부(3)에 의하여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감지부(4)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에 순차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발생부(5)와 링카운터부(7) 및 이에 접속되고 기판(10)에 수평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6)로 구성된 발광부(2)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2도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전기적 연결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본 고안은 주간에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태양전지부(3)와 태양전지부(3)의 출력을 충전시키기 위한 축전지(12)와, 태양전지부(3)의 출력 유무에 따라 반전되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감지부(4)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감지부(4)의 신호 출력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되며, 발광 다이오드(6)의 점소등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부(5)와, 감지부(4) 및 제어신호발생부(5)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6)의 작동개시 및 점소등 제어출력을 발생시키는 링카운터부(7)와, 링카운터부(7)의 출력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부(8)와, 수평상으로 된 기판(10)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발광 다이오드(6)로 구성된 발광부(2)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공지된 바와 같이 주간에 일광에 의하여 태양전지부(3)가 전력을 생산하고 이에 의하여 축전지(12)를 충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감지부(4)는 태양전지부(3)의 출력이 하이레벨이므로 제어신호발생부(5)와 링카운터부(7)를 작동불능상태로 하고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6)는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가 지면 태양전지부(3)의 출력이 소실되고 이때 감지부(4)는 그 출력을 반전시켜 제어신호발생부(5)와 링카운터부(7)의 작동을 활성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링카운터부(7)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고 축전지(12)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력으로 구동부(8)가 발광부(2)의 발광 다이오드(6)에 전력을 공급하게 됨에 따라 기판(10) 둘레에 배치고정된 발광 다이오드(6)를 순차로 한순간에 하나씩 교대로 점등시켜 마치 발광 다이오드(6)가 회전하는 것과 같은 시각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3도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개의 셀을 조합하여 구성된 태양전지부(3)와, 태양전지부(3)의 출력이 다이오드(11)를 거쳐서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한 축전지(12)와, 태양전지부(3)의 출력에 따라 입력된 신호레벨이 반전되어 출력되도록 한 낸드게이트(13)로 구성된 감지부(4)와, 감지부(4)의 출력으로 작동전원이 공급되며, 저항과 콘덴서로 설정되는 시정수에 의하여 발진 주파수가 결정되도록 한 제어신호발생부(5)와, 감지부(4)의 출력에 의하여 작동전원이 공급되며 제어신호발생부(5)의 출력펄스에 따라 다수의 출력단자로 출력을 순차 발생시키는 링카운터부(7)와, 입력단자가 링카운터부(7)의 다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다수의 출력단자가 발광 다이오드(6)에 연결되며, 축전지(12)의 출력을 공급받도록 된 다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9)로 구성된 구동부(8)와, 기판(10)의 둘레에 일정 간격을 배열된 발광 다이오드(6)가 구동부(8)의 다수 출력단자와 연결되도록 하여서된 발광부(2)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주간의 일광에 의하여 태양전지부(3)가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며, 이러한 전력은 다이오드(11)를 거쳐서 축전지(12)를 충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때 일시적으로 태양전지부(3)로의 일광이 차단된다하더라도 다이오드(11)에 의하여 역류되려는 전류가 차단되어 태양전지부(3)의 셀로 흐르는 일이 없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태양전지부(3)의 하이레벨 상태인 출력이 감지부(4)의 낸드게이트(13)에 인가되는 것이므로 낸드게이트(13)의 출력에서는 로우레벨의 출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감지부(4)의 낸드게이트(13)에 의하여 작동전원이 공급되는 제어신호발생부(5)와, 링카운터부(7)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로 되는 것이며, 그러므로 링카운터부(7)에 연결된 구동부(8) 역시 작동 중지상태로 되어 발광부(2)의 발광 다이오드(6)에는 일체의 전력 공급이 없게 되어 소등되고 전혀 작동하지 않는 대기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간에는 축전지(12)의 충전만이 진행되는 상태로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일몰이 되면 태양전지부(3)는 전력의 생산을 중지하게 되고, 더 이상 축전지(12)에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감지부(4)에 인가되는 입력이 로우레벨이 되므로 그 출력이 하이레벨이 되면서 제어신호발생부(5)와 링카운터부(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어신호발생부(5)는 작동을 개시하여 저항과 콘덴서에 의하여 설정된 값의 펄스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는 전원의 공급으로 작동 활성 상태에 있는 링카운터부(7)에 공급되어 링카운터부(7)는 제어신호발생부(5)의 출력주파수에 상응하는 속도로 다수의 출력 단자에 출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에 연결된 구동부(8)에 클럭 펄스가 입력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9)가 소정의 간격으로 턴온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8)에 공급되는 축전지(12)의 전류가 구동부(8)에 연결된 발광부(2)의 기판(10) 둘레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6)들에 한 순간에 하나씩 순차로 점등시켜 줌으로써 모든 방향에 있는 사람들이 발광 다이오드(6)가 회전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어 경광등으로서의 시각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본 고안은 모우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방향에서 경광등의 램프가 회전되는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전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모우터를 사용하는 경광등에 비하여 중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브러쉬 등 마모 요소가 전혀 없으므로 수명이 장구하게 되어 유지, 보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지된 태양전지부(3)와 태양전지부(3)의 출력을 충전시키기 위한 공지된 축전지(12)와, 태양전지부(3)의 출력 유무에 따라 반전되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감지부(4)와, 감지부(4)의 신호 출력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되도록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6)의 점소등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발생부(5)와, 감지부(4) 및 제어신호발생부(5)에 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6)의 작동개시 및 점소등 제어출력을 발생시키는 링카운터부(7)와, 링카운터부(7)의 출력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부(8)와, 수평상으로 된 기판(10)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발광 다이오드(6)로 구성된 발광부(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
KR2019970031784U 1997-11-12 1997-11-12 경광등 KR200185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784U KR200185694Y1 (ko) 1997-11-12 1997-11-12 경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784U KR200185694Y1 (ko) 1997-11-12 1997-11-12 경광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529U KR19990018529U (ko) 1999-06-05
KR200185694Y1 true KR200185694Y1 (ko) 2000-07-01

Family

ID=1951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784U KR200185694Y1 (ko) 1997-11-12 1997-11-12 경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6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22B1 (ko) 2008-05-20 2010-02-05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엘이디 경광등
KR200470551Y1 (ko) * 2012-03-12 2013-12-23 진영기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회전불빛 경광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69Y1 (ko) * 1999-03-25 2001-07-03 지상열 태양전지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22B1 (ko) 2008-05-20 2010-02-05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엘이디 경광등
KR200470551Y1 (ko) * 2012-03-12 2013-12-23 진영기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회전불빛 경광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529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46595A1 (en) Solar powered sign annunciator
US20070091594A1 (en) Solar Powered Portable Light Apparatus
JPH0711853U (ja) ソーラー・ウォーニング・ライト
JP3138252U (ja) 太陽追尾パネルを有する装置
JP2013229298A (ja) 照明装置
KR100299947B1 (ko) 태양전지장치및이것을사용한간헐동작장치
US20170089533A1 (en) Self-powered street light
KR200185694Y1 (ko) 경광등
KR200429302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바
JP2014160630A (ja) 照明装置
KR200386062Y1 (ko) 태양전지 발전식 led 조명장치
JP2002270381A (ja) 街路灯
KR20060061502A (ko) 도로 표시등
CN109140353B (zh) 一种弱光光伏一体化照明路灯
KR20160124653A (ko) 리튬 배터리를 구비한 가로등 및 상기 리튬 배터리를 구비한 가로등을 제어하는 방법
JPH06348211A (ja) ソーラ自光式交通標識
JP2006288039A (ja) 屋外照明装置
KR200149016Y1 (ko) 자체 전원 가로등
JPH06342602A (ja) 小型安全ライト
JP2006236584A (ja) 太陽電池式照明装置
CN2185371Y (zh) 太阳能警示灯
KR102046533B1 (ko) 차량의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JPH11194719A (ja) 太陽電池式可変型情報盤
CN217135210U (zh) 一种水面光伏发电系统
KR100717899B1 (ko) 풍력 발전용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