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755Y1 -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 Google Patents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755Y1
KR200184755Y1 KR2020000001413U KR20000001413U KR200184755Y1 KR 200184755 Y1 KR200184755 Y1 KR 200184755Y1 KR 2020000001413 U KR2020000001413 U KR 2020000001413U KR 20000001413 U KR20000001413 U KR 20000001413U KR 200184755 Y1 KR200184755 Y1 KR 200184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haft
event
suppor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엑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엑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엑스넷
Priority to KR2020000001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행사장 등을 출입하는 방문객들을 자동적으로 출입을 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자유로와 행사장 등이 이동시 입구부에 세워 놓기만 하면 설치가 끝나는 편리한 장점을 갖는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 상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 수직프레임축(12) 및 지지축(8)과, 상기 지지축(8)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축(6)을 갖는 게이트 차단판(2)과, 상기 게이트 차단판(2)의 회전축(6)을, 감지부(3)의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전동부(4)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ACCESS CONTROLING SWING-GATE}
본 고안은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행사장을 출입하는 방문객들을 자동적으로 출입을 통제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이 자유로와 행사장 등이 이동시 입구부에 세워 놓기만 하면 설치가 끝나는 편리한 장점을 갖는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물을 전시하는 전시장, 행사장 세미나실 등의 출입구에는 출입하는 방문객들을 통제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행사를 위한 가건물, 건물 등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는 거의 대부분이 일반인들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행사장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는, 행사장을 찾는 방문객들의 통로 역할만이 주어져 있어 행사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을 통제하는 인력을 따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통제 인력은 행사장의 출입구를 항상 주시하고 있다가 방문하는 고객이 있으면, 출입증 등을 일일이 확인 한 후 출입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방문객을 통제하는 방법으로는 많은 방문객이 몰릴 경우에는 일일이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을 확인하지 못하고 출입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행사장을 출입하는 방문객 모두를 확인하기는 매우 곤란한 실정이다.
따라서, 행사장 등을 진입하는 방문객 등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을 재배치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행사장 등을 출입하는 방문객들을 자동적으로 출입을 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사가 이루어지는 장소 등에 구애(拘碍) 받지 않고 이동이 자유로와 새로이 건축된 행사장 등의 입구부에 세워 놓기만 하면 설치 가능한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게이트 차단판 3: 감지부
4: 전동부 6: 회전축
8: 지지축 10:전압공급부
11: 지지판 12: 수직프레임축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상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 수직프레임축 및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축을 갖는 게이트 차단판과, 상기 게이트 차단판의 회전축을, 감지부의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전동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행사장 등이 세워진 조립식 건물 등의 출입구 부분에 쉽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는 지지판(1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의 지지판(11)은 평지로 이루어진 곳이면 어느 곳이든 놓여져 위치시킬 수 있고, 지지판(11)의 상부측 부분은 이동중인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밟고 다닐 수 있도록 완만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방문객들이 밟고 다니는 지지판(11)에는 전력을 공급시켜 주는 전압공급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측에는 방문객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지지판(11)의 좌우측에는 각각의 지지축(8)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1)상에 지지축(8)의 일측편에 나란하게 형성된 것으로, 지지축(8)과는 다르게 형성된 수직프레임축(12)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1)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축(8)과 수직프레임축(12)의 일정 간격 사이로 방문객들은 행보(行步)하여 출입한다.
따라서, 지지축(8)과 수직프레임축(12)의 사이로 방문객들은 행사장 안으로 출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지지축(8)에는 행사장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출입이 허용되는 자와 그렇지 않은 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게이트 차단판(2)이 설치된다.
상기 게이트 차단판(2)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6)을, 지지축(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지지축(8)에 형성된 회전축(6)이 회전되면 게이트 차단판(2)이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개폐된다. 즉, 본 고안의 게이트 차단판(2)을 방문객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전동부(6)가 회전축(6)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게이트 차단판(2)에는 행사장에 초대된 방문객에 부여된 출입증 카드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 감지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 감지부(3)에 출입구를 통과하려는 방문객이 소지하고 있는 출입증 등을 센서 감지부(3)에 가까이 대어 인식시키면 센서 감지부(3)는 모터 등이 내장된 전동부(4)를 회전시켜 방문객 등의 출입을 막기 위해 차단되었던 게이트 차단판(2)을 방문객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열어준다. 즉, 상기의 센서 감지부(3)에서 판독된 카드의 신호를 읽기 위한 판독기(도시않음)가 지지판(11)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3)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판독기로 송신되어 처리된 후 상기의 신호에 의해 전동부(4)를 작동시킨다.
또한, 본 고안의 게이트 차단판(2)의 회전축(6)을 회전시키는 전동부(4)는 지지판(11)에 형성된 전압공급부(10)에 연결되어 있어 필요한 전력을 사용하여 게이트 차단판(2)의 회전축(6)을 회전시킨다.
또한, 행사장 등의 출입구 크기에 맞추어 게이트 차단판(2)이 형성된 지지축(8)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연이어져 다수개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출입 통제 스윙 게이트에 의해, 행사장 등을 출입하는 방문객들의 출입을 자동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사가 이루어지는 장소 등에 구애(拘碍) 받지 않고 설치가 자유로와 행사장 등이 이동시 입구부에 세워 놓기만 하면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어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인 특징이 있다.

Claims (2)

  1.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수직프레임축(12) 및 지지축(8)과,
    상기 지지축(8)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축(6)을 갖는 게이트 차단판(2)과,
    상기 게이트 차단판(2)의 회전축(6)을, 감지부(3)의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전동부(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4)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KR2020000001413U 2000-01-19 2000-01-19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KR200184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13U KR200184755Y1 (ko) 2000-01-19 2000-01-19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13U KR200184755Y1 (ko) 2000-01-19 2000-01-19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755Y1 true KR200184755Y1 (ko) 2000-06-01

Family

ID=1963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413U KR200184755Y1 (ko) 2000-01-19 2000-01-19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75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363A (zh) * 2012-01-04 2012-07-04 张建新 一种直驱摆动式闸口通道
USD777346S1 (en) * 2014-07-18 2017-01-24 Thales Communications & Security Sas Automatic access gate
KR102095167B1 (ko) 2019-11-13 2020-03-31 김원기 하천진입로 자동 차단 게이트 장치
KR102095166B1 (ko) 2019-11-13 2020-05-27 김원기 하천진입로 차단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363A (zh) * 2012-01-04 2012-07-04 张建新 一种直驱摆动式闸口通道
USD777346S1 (en) * 2014-07-18 2017-01-24 Thales Communications & Security Sas Automatic access gate
KR102095167B1 (ko) 2019-11-13 2020-03-31 김원기 하천진입로 자동 차단 게이트 장치
KR102095166B1 (ko) 2019-11-13 2020-05-27 김원기 하천진입로 차단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8613B1 (en) Rapid access portal
KR200184755Y1 (ko)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KR100695320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구조
AU2020318390A1 (en) Passage control device
JP2007224628A5 (ko)
JP2007224628A (ja) 駐車場における出入り口の管理システム
US20110100405A1 (en) Installation for defense or protection allowing the control of the entry of people
KR200346767Y1 (ko) 개폐장치를 구비한 정문
CN210888565U (zh) 一种自动型带灯箱的单元门
JP4846421B2 (ja) 自動ドア用センサ
CN108979461B (zh) 地下入口开闭装置
JP7369025B2 (ja) 検知装置
JP7386068B2 (ja) センサの取付構造
KR102287038B1 (ko) 울타리용 자동문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CN220752767U (zh) 一种用于工地的人脸识别闸道
CN207332605U (zh) 基于移动终端的门禁装置
CN211395480U (zh) 一种摆闸式闸机
CN219800205U (zh) 一种建筑工地员工入场管理闸机
CN218842947U (zh) 一种无人值守自助检票闸机
CN220150159U (zh) 一种新型门禁闸机
JP2006112060A (ja) 自動ドア
CN214939611U (zh) 一种全自动人员通行管理转闸
KR20230092575A (ko)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KR101180089B1 (ko) 자동 도어 개폐 장치
KR200352891Y1 (ko)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의 캐노피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