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674Y1 - 변기 - Google Patents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674Y1
KR200184674Y1 KR2019990029901U KR19990029901U KR200184674Y1 KR 200184674 Y1 KR200184674 Y1 KR 200184674Y1 KR 2019990029901 U KR2019990029901 U KR 2019990029901U KR 19990029901 U KR19990029901 U KR 19990029901U KR 200184674 Y1 KR200184674 Y1 KR 200184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ilet
bottom plate
hole
man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중
Original Assignee
이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중 filed Critical 이완중
Priority to KR2019990029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어촌의 재래식 화장실을 간단히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 테두리부위에 다수의 체결공(42)이 형성되고 전방에 분뇨배출공 (44), 중앙부에 분뇨낙하공(46), 후방 양측에 가스유출공(48)이 형성되어 분뇨저장부(200) 상단에 설치되는 플라스틱합성수지제의 바닥판(40); 상기 분뇨낙하공(46)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72)이 형성된 원통형의 받침통(70); 상기 받침통(70)의 상단 내측으로 설치되고, 좌·우 양쪽으로 이등분된양측 수직절단부(63)(63′)가 밀착되어 결합공(66)(66′)에 끼워지는 전·후방고정구(62)(65)에 의해 상기 바닥판(40)에 고정설치되며, 좌·우 양쪽 테두리부 상단에 일정한 중량을 갖는 무게추(55)가 구비된 원추 형상의 변받이(60); 상기 변받이 (60)와 가스유출공(48)에 설치된 가스유출관(92)이 포함되도록 바닥판(40) 상부에 설치되고 후방에 외부와 관통된 가스배출구(24)가 구비된 외측몸체(20); 상기 외측몸체(20)의 상단테두리부에 걸려 내측에 설치되도록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2)과, 상기 변받이(60) 내측으로 용변이 자연스럽게 낙하되도록 중심부 내측으로 기울어져 하단부에 형성된 변받이안내부(34)와 뚜껑(10)이 구비된 내측몸체(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기 {A stool}
본 고안은 농촌 등지에서 사용되는 재래식 화장실을 간단하게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변기몸체의 하부에 원추모양의 변받이가 바닥판에 걸쳐져 설치되는 받침통 내측 상단에 힌지 고정되어 설치되어지되, 이 변받이는 이등분되어 평상시에는 중앙 힌지축을 중심으로 자중 및 일측에 설치된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수직절단부가 상호 밀착되어 변기의 내부와 분뇨저장부 사이가 차단되고, 용변시에는 변받이에 낙하된 분뇨의 무게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변받이 하단부가 일정각도 개방되어 분뇨가 분뇨저장부로 낙하되도록 구성된 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어촌 등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재래식화장실은 여러가지 불편한점이 많았다. 즉, 재래식화장실은 사용자가 다리를 구부리고 앉아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얼마동안 앉아서 용변을 보는 경우에는 무릎이나 관절이 아파오기 때문에 유아나 노약자들이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하였으며, 분뇨저장부와 화장실 내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용변시 심한 악취를 맡아야 할 뿐만 아니라 용변 후에도 한동안 악취가 옷에 베어 있어 불결하게 느껴지며, 분뇨저장부와 화장실 내부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각종 해충이 서식하고, 해충의 왕래로 인해 가정의 위생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수세식 화장실이었으나, 이는 대단위 주거지역이나 상수도 시설이 구비되고, 분뇨처리를 위한 정화시설이 설치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일반 농·어촌 지역에는 상수도시설 및 정화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세식화장실의 설치가 곤란하며, 일부 농·어촌의 가정에서는 지하에 정화조를 묻고 수도를 설치하여 수세식화장실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이는 일정기간 사용후에는 정화조에 채워진 분뇨를 분뇨수거차에 의해 배출시켜야 하지만, 일반 농·어촌 등지에서는 바쁜 일손과 경비소요 및 분뇨수거차의 미운행에 따라 대부분 가정에서는 정화조의 분뇨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가 허다하였으며, 이로 인해 농·어촌 지역의 토양이 오염되었으며, 토양의 오염으로 인해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일부 농·어촌 등지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점점 더 많은 지역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는 곧 식수난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농어촌의 생활환경, 특히 화장실의 개량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농·어촌 등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재래식화장실을 저가의 비용으로 간편하게 개조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악취나 각종 해충 발생을 억제하여 쾌적한 화장실 문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무분별한 화장실 개조로 인해 농가 주변 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활환경의 오염 및 식수난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체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특징부인 변받이와 받침통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변받이와 받침통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변받이에 분뇨가 낙하되어 변받이 하단부가 개방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변받이 일측에 설치되는 변받이 유동레바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 : 외측몸체 30 : 내측몸체
32 : 걸림턱 40 : 바닥판
44 : 분뇨배출공 46 : 분뇨낙하공
48 : 가스유출공 50 : 변받이작동레바
55 : 무게추 60 : 변받이
62 : 전방고정구 65 : 후방고정구
70 : 받침통 100 : 변기
200 : 분뇨저장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변기는 테두리부위에 다수의 체결공과 체결홈이 형성되고 전방에 분뇨배출구, 중앙부에 분뇨낙하구, 후방 양측에 가스유출구가 형성되어 분뇨저장부 상단에 설치되는 플라스틱합성수지제의 바닥판; 상기 분뇨낙하구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단 외주연에 받침턱이 형성된 원통형의 받침통; 상기 받침통의 상단 내측으로 끼움 설치되고, 좌·우 양쪽으로 이등분되어 양측 수직절단부가 밀착되어 결합공에 끼워지는 전·후방고정구에 의해 상기 바닥판에 고정설치되며, 좌·우 양쪽 테두리부 상단에 일정한 중량을 갖는 무게추가 구비된 원추 형상의 변받이; 상기 변받이와 가스유출구에 설치된 가스유출관이 포함되도록 바닥판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후방에 외부와 관통된 가스배출구가 구비된 외측몸체; 상기 외측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지되 외측몸체의 상단테두리부에 걸려 고정 설치되며 하단부가 중심부 내측으로 기울어진 변받이안내부가 형성되며 상면 착석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이 구비된 내측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측단면도이고, 도 2는 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기(100)의 구성은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고 테두리부위에 다수의 체결공(42)과 분뇨배출공(44), 분뇨낙하공(46) 및 후방 양측에 가스유출공(48)이 형성되어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제의 바닥판(40); 상기 분뇨낙하공(46)에 끼워져 분뇨저장부(20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72)이 형성된 원통형의 받침통(70); 상기 받침통(70)의 상단 내측으로 끼움설치되는 원추 형상의 변받이(60); 상기 변받이(60)와 가스유출공(48) 상부로 설치되어 바닥판(40)에 받침부(22)가 고정되는 외측몸체(20); 상기 외측몸체(20)의 내측에서 외측몸체(20)의 상단테두리부에 걸림턱(32)이 걸려 고정 설치되며 상면 착석부(15)를 덮을 수 있는 뚜껑(10)이 구비된 내측몸체(30)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지하의 분뇨저장부(200) 또는 정화조가 묻어 있는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판(40)은 테두리 내측으로 다수의 체결공(42)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42)에 고정수단(도시안됨)이 결합되어 바닥판(40)이 분뇨저장부(200) 상면에 설치 고정된다. 바닥판(40)이 설치 고정된 후에는 바닥판(4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분뇨낙하공(46)에 원통형의 받침통(70)이 끼움 설치되는데, 이 받침통(70)은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7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판(40)의 상면에 걸쳐져 설치되며, 이 받침통(70)의 내측으로 원추모양으로 형성된 변받이(60)가 상부에 안치된다.
상기 변받이(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으로 이등분되고상단부의 직경이 상기 받침통(7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양쪽으로 이등분된 변받이(60)는 양쪽의 수직절단부(63)(63′)가 상호 밀착되도록 하여 받침통(70)의 상단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변받이(60)의 외주연 상단부가 받침통(70)의 테두리에 걸리게 됨으로써 하나의 원추형상을 이루며, 받침통(70) 상부에서 원추형상이 유지되는 양쪽의 변받이(60)는 수직절단부(63)(63′)의 전후 상단에 각각 구비된 결합공(66)(66′)이 상호 겹쳐지도록 한 후에 겹쳐진 결합공(66)(66′)과 받침통(70)의 관통공(74)이 일치되도록 한 후에 변받이(60)의 전·후방고정구(62)(65)를 끼움 설치하여 바닥판(40)에 형성된 체결홈(41)에서 고정수단(68)에 의해 고정시키므로서 변받이(60)와 받침통(70)이 바닥판(40)에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
좌·우로 분할 형성된 상기 변받이(60)는 테두리 중앙 상단부에 일정무게를 갖는 무게추(55)가 각각 구비되고, 이 무게추(55)의 하단에는 레바결합구(54)가 형성되며, 상기 무게추(55)의 중량은 받침통(60) 상단에 안치되는 양측 변받이(60) 의 수직절단부(63)(63′)를 상호 긴밀히 밀착시킬 수 있는 정도의 중량을 가지면 된다.
이와 같이 바닥판(40)과 받침통(70) 및 변받이(60)를 각각 설치한 다음에 분뇨낙하공(46) 후방에 구비된 가스유출공(48)에 일정 높이를 갖는 가스유출관(92)을 설치하고, 그 다음에 변기(100)의 몸체를 이루는 외측몸체(20)를 바닥판 (40)에 형성된 체결홈(41)에 하단부를 고정시키는데, 이때 외측몸체(20)의 받침부(22)가 상기 변받이(60)와 가스유출관(92)을 포함하도록 하여 설치하며, 외측몸체(20)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외측몸체(20)의 내측으로 내측몸체(30)를 설치한다.
상기 내측몸체(30)는 외측몸체(20)의 상단 테두리부위에 걸쳐져 설치될 수 있도록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몸체(20)의 상단에 간단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외측몸체(20)와 내측몸체(30)는 통상의 좌변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측몸체(20)와 내측몸체(30)가 결합된 상단부에 착석부(15)가 구비되며, 이 착석부(15) 상면에는 개폐가능한 뚜껑(10)이 설치되는 구성은 통상의 좌변기 구조와 유사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변기(100)는 몸체가 외측몸체(20)와 내측몸체(30)로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상호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특징적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측몸체(20)는 후방 상단부에는 외부로 통하는 가스배출구(24)가 형성되며, 이 가스배출구(24)에는 가스배출관(94)이 설치되어 가스유출관(92)을 통해 분뇨저장부(200)에서 방출된 가스가 외측몸체(20)의 후방 내측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스유출공(48)에 설치되는 가스유출관(92)의 높이는 내측몸체(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변받이안내부(34)의 저면보다 다소 높게 설치되어 분뇨저장부(80)에서 방출되는 가스가 내측몸체(30)의 하부를 통해 변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몸체(20)의 전방 하단에는 관통공(23)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23)을 통과하여 외측몸체(20) 내측으로 변받이유동레바(50)가 설치되는데, 이 변받이유동레바(50)는 중앙부 저면에 끼움공(52)이 형성된 받침턱(53)이 구비되어 바닥판(40)의 체결홈(41)에 끼움 고정되는 지지브라켓트(57)의 고정봉(59)에 끼움 고정된다. 바닥판(40)에 끼움 고정되는 상기 지지브라켓트(57)는 바닥판(40)의 상면에 균형을 유지하면서 견고히 지지되도록 수평브라켓트(58)가 설치되고, 이 수평브라켓트(58)의 상단 일측에 직각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봉(59)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 6에 변받이유동레바(50) 및 지지브라켓트(57)의 분리사시도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봉(59)에 끼움공(52)이 끼워지고 받침턱(53) 저면이 수평브라켓트 (58)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기 변받이유동레바(50)는 그 후단부가 일측 변받이(60)의 무게추(55) 저면에 구비된 레바결합구(54)에 끼움 결합되어 변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변받이유동레바(50)의 누름부(51)를 발로 밟을 경우에 상기 지지브라켓트 (57)의 고정봉(59)을 중심으로 변받이유동레바(50)의 후단부가 상승되어 일측 변받이(60)가 상향 이동되므로서 변받이(60) 하단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변기(100)는 종래의 재래식 화장실을 간단히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부식 및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변기(100)는 종래 사용중인 재래식화장실 바닥에 플라스틱제로 이루어진 바닥판(40)을 설치하고, 바닥판(40)에 형성된 관통공 및 체결홈 (41)에 받침통(70)과 변받이(60), 가스유출관(92), 외측몸체(20), 내측몸체(30)를 각각 조립하면 변기(100)의 설치가 간단히 이루어지며, 상기 변받이(60)는 전·후방고정구(62)에 의해 바닥판(4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양측 상방에 무게추(55)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통(70)의 상단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양측 변받이(60)의 수직절단부(63)(63′)가 상호 긴밀히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변기(100)는 사용자가 변기(100)의 착석부(15)에 앉아서 용변을 보는 경우에, 사용자의 분뇨(80)가 변받이(60)에 낙하되면 수직절단부(63)(63′)가 상호 긴밀히 밀착되어 있던 분할된 변받이(60)의 일측 하단부가 낙하된 분뇨(80)의 자중에 의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으로 개방되면서 변받이(60)에 낙하된 분뇨(80)가 분뇨저장부(200)로 낙하된다.
분뇨(80)가 낙하되기 위해 개방되었던 변받이(60)는 분뇨(80)가 분뇨저장부 (200)로 낙하된 후에 변받이(60)의 테두리 상단에 구비된 무게추(55)의 중량에 의해 다시 처음상태로 양측 변받이(60)의 수직절단부(63)(63′)가 서로 밀착되어 분뇨저장부(200)와 변기(100)의 내측이 차단되어 분뇨저장부(200)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변기(100) 내부로 방출되지 않아 사용할 때나 사용후에 심한 악취를 맡아야 하는 불편이 없게 된다.
또한, 사용시 변받이(60)에 분뇨(80)가 달라붙어 자연낙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변기(100)의 전방 일측 하단에 돌출되어설치된 변받이유동레바(50)의 누름부(51)를 발로 수회 누르게 되면, 변받이유동레바(50)가 지렛대 작용으로 일측 변받이(60)를 승강시키므로서 변받이(60)의 하단부가 반복적으로 개폐되면서 타측 변받이(60)와의 상호 충격에 의해 변받이(60)에 달라붙어 있던 분뇨가 쉽게 떨어져 분뇨저장부(80)로 낙하되도록 한 것이다.
분뇨저장부(80)에 어느정도 분뇨가 찬 경우에는 바닥판(40)의 전방에 설치된 분뇨배출공(44)의 덮개(45)를 개방하여 분뇨를 처리한 후에 덮개(45)를 다시 씌워 사용하면 되는 것이며, 분뇨 배출은 종래와 같이 농작물의 거름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분뇨수거차에 의해 배출 시키면 되므로 주변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환경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변시 내측몸체(30)의 하단부가 중심부 내측으로 기울어진 변받이안내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변받이안내부(34)의 직경은 하방에 설치된 변받이(60)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부에서 낙하되는 분뇨가 반드시 변받이(60)의 내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변기(100)의 내측 중간에 분뇨가 걸리거나 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변기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기는 그 재질이 플라스틱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년간 사용하여도 변기가 부식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재래식화장실에 간단한 개조를 통해 그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비가 저렴하고, 좌변기 타입으로 이루어져 유아나 노약자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분뇨저장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해충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한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가 있으며, 화장실을 청결히 유지할 수 있어 가정 위생환경에 도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수세식 화장실의 설치로 인한 주변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테두리부위에 다수의 체결공과 체결홈이 형성되고 전방에 분뇨배출공, 중앙부에 분뇨낙하공, 후방 양측에 가스유출공이 형성되어 분뇨저장부 상단에 설치되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제의 바닥판; 상기 분뇨낙하공에 끼워져 상기 바닥판 상면에 걸쳐져 설치 고정되도록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원통형의 받침통; 상기 받침통의 상단 내측으로 끼움 설치되고, 좌·우 양쪽으로 이등분된 양측 수직절단부가 서로 밀착되어 결합공에 끼워지는 전·후방고정구에 의해 상기 바닥판에 고정설치되며, 좌·우 양쪽 테두리부 상단에 일정한 중량을 갖는 무게추가 구비된 원추 형상의 변받이; 상기 변받이와 가스유출공에 설치된 가스유출관이 받침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바닥판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후방에 외부와 관통된 가스배출구가 구비된 외측몸체; 상기 외측몸체의 상단테두리부에 걸려 내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상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변받이 내측으로 용변이 자연스럽게 낙하되도록중심부 내측으로 기울어진 변받이안내부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면 착석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이 구비된 내측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몸체와 내측몸체 사이의 일측에는 중간부에서 직각으로 돌출된 고정봉이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바닥판의 상면과 밀착되어 수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브라켓트가 구비된 막대형상의 지지브라켓트와; 상기 지지브라켓트에 직각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봉에 끼워지는 끼움공이 구비된 받침턱이 저면에 형성되고 후단부가 상기 무게추 하단에 구비된 레바결합구에 끼움 고정되며, 전방에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외측몸체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변기 내측으로 설치되는 변받이 유동레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몸체의 변받이안내부는 그 하단부 직경이 변받이 상단부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KR2019990029901U 1999-12-28 1999-12-28 변기 KR200184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901U KR200184674Y1 (ko) 1999-12-28 1999-12-28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901U KR200184674Y1 (ko) 1999-12-28 1999-12-28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674Y1 true KR200184674Y1 (ko) 2000-06-01

Family

ID=1960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901U KR200184674Y1 (ko) 1999-12-28 1999-12-28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6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566B1 (en) Water conserving urination system
US10779670B1 (en) Reusable urinal mat with replaceable absorbent pad
US6590146B1 (en) Collection device for depositing refuse for disposal
US7228572B1 (en) Drained urine receptacle
KR200184674Y1 (ko) 변기
US20050166307A1 (en) Clip-on training urinal
CN201085580Y (zh) 无水免冲小便池
CN211312726U (zh) 一种下水口自动开关防臭装置
CN106170597B (zh) 低耗水或不耗水的厕所便器、厕所便器组件、厕所以及相关方法
CN216962264U (zh) 免水冲自封堵粪尿分集蹲便器
KR200486589Y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CN218484437U (zh) 一种新式马桶防臭盖
KR200163453Y1 (ko) 개량형좌변기
CN210658583U (zh) 一种清洁型防臭不锈钢便池
CN210055838U (zh) 一种防冻防臭型坐便器
CN110195456B (zh) 一种冲水式烟头存放装置
CN201128941Y (zh) 免水冲泄便自动阀门
KR200362970Y1 (ko) 오물수거통
KR20170003138U (ko) 좌변기 커버
CN2573567Y (zh) 一种新型卫生间防臭器
CN107736831B (zh) 一种儿童如厕训练坐便器
US20180368631A1 (en) Spill Resistant Portable Carrying Toilet
JPH0611312Y2 (ja) フロアハッチ
JP2002095608A (ja) ペットボトル利用の尿瓶
JP3083594U (ja) 猫用室内おま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