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662Y1 - 접는 구조의 사다리 - Google Patents

접는 구조의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662Y1
KR200184662Y1 KR2019990029129U KR19990029129U KR200184662Y1 KR 200184662 Y1 KR200184662 Y1 KR 200184662Y1 KR 2019990029129 U KR2019990029129 U KR 2019990029129U KR 19990029129 U KR19990029129 U KR 19990029129U KR 200184662 Y1 KR200184662 Y1 KR 200184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inge
spaces
ladd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이형찬
이정례
하은용
정승인
이계철
박영호
이성준
Original Assignee
김영철
이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이형찬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2019990029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2Connections between rungs or treads an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8Accessories for temporary stabilising a ladder, e.g. temporary atta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그재그로 접을 수 있도록 적절히 분할된 위치에서 제1 경첩(21)을 개재하여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좌우 동일 쌍의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 상기 좌우측의 수직간(11)(12)이 항상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양측의 제1 수직간(11)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간(13);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수평간(13)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수직간(11)이 벌어진 상태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지지하는 제2 경첩(22); 및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이 일직선으로 펼쳐질 때 임의로 접히지 않도록 상기 제1 경첩(21) 부분마다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따라, 이동하거나 보관할 때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서 사용할 때 용도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는 구조의 사다리{FOLDABLE LADDER}
본 고안은 접는 구조의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하거나 보관할 때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서 사용할 때 용도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하는 접는 구조의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높은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산업용이나 일상 생활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차량에 탑재되는 고가 사다리 등 산업용인 경우 유압 등을 이용하여 전개하고 안테나 방식이나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구성을 지니는데 인력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접어지는 크기는 그다지 중요한 사항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반면 근래에 일상 생활용으로 보급되는 사다리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가벼우면서도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나 그 형태를 변형하여 부피를 축소할 수 있는 범위가 작아 보관에 따른 장소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다리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주변의 사람이나 물건을 손상시킬 우려가 크고, 어느 정도 크기가 커지면 승용차에 실어 이동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하거나 보관할 때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서 사용할 때 용도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하는 접는 구조의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의 사용상태를 주요부 상세와 함께 나타내는 정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를 1단계로 접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를 2단계로 접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사다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제1 수직간 11a : 제1 홈
11b : 제2 홈 12 : 제2 수직간
13 : 수평간 14 : 걸림쇠
15 : 걸림봉 21 : 제1 경첩
22 : 제2 경첩 23 : 슬라이더
23a : 손잡이 31 : 제3 경첩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그재그로 접을 수 있도록 적절히 분할된 위치에서 제1 경첩(21)을 개재하여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좌우 동일 쌍의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 상기 좌우측의 수직간(11)(12)이 항상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양측의 제1 수직간(11)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간(13);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수평간(13)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수직간(11)이 벌어진 상태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지지하는 제2 경첩(22); 및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이 일직선으로 펼쳐질 때 임의로 접히지 않도록 상기 제1 경첩(21) 부분마다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23)는 제1 홈(11a)을 통하여 외부의 손잡이(23a)와 연결되고, 이웃하는 수직간(11)(1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11b) 상에 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한편,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은 전체 길이의 중앙에서 접어 A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3 경첩(31)을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의 사용상태를 주요부 상세와 함께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동일 쌍의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이 지그재그로 접을 수 있도록 적절히 분할된 위치에서 제1 경첩(21)을 개재하여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의 수직간(11)(12)이 항상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양측의 제1 수직간(11) 사이에 복수의 수평간(13)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작에 있어서, 동일한 길이의 제1 수직간(11)을 준비하고 그 사이에 적절한 수의 수평간(13)을 연결하여 제1 조립체를 형성한 다음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조립체를 형성한다. 제1 수직간(11)은 ㄷ자 단면의 형강을 사용하고 수평간(13)은 그 ㄷ자의 홈안에 회전축을 개재하여 연결한다. 수평간(13)의 양단은 회동시 걸리지 않도록 라운드로 처리한다. 이때 좌우측의 제1 수직간(11)은 모아졌을 때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하면 벌어졌을 때 도시처럼 높이 차이가 발생한다. 다음에는 완성된 제1 조립체 및 제2 조립체를 제1 경첩(21)으로 연결하고 좌우측의 제1 수직간(11)을 최대로 벌이면 높이 차이가 발생하므로 그 부분에 제2 수직간(12)을 제1 경첩(21)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높이가 같아지도록 한다. 제1 수직간(11)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경첩(21)과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을 연결하는 제1 경첩(21)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설치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간(11)이 벌어진 상태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지지하는 제2 경첩(22)이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수평간(13)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수직간(11)과 수평간(13)은 견실하게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사용시 유동이 심하고 심하면 측면으로 쓰러질 우려가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조성한다. 제2 경첩(22)은 제1 수직간(11) 및 수평간(13)과 함께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이러한 유동을 방지한다. 수평간(13)도 ㄷ자 단면의 형강을 사용하여 제2 경첩(22)이 내측으로 접혔을 때 수용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이 일직선으로 펼쳐질 때 임의로 접히지 않도록 상기 제1 경첩(21) 부분마다 슬라이더(23)가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고안의 사다리는 제1 경첩(21)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지니므로 사용중에 임의로 꺾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경첩(21)이 설치되는 부분에 슬라이더(23)와 같은 수단을 병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23)는 제1 홈(11a)을 통하여 외부의 손잡이(23a)와 연결되고, 이웃하는 수직간(11)(1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11b) 상에 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먼저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제2 홈(11b)을 형성한다. 사다리를 사용하기 위해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을 펼쳤을 때 제2 홈(11b)은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슬라이더(23)를 제2 홈(11b)에 삽입한 다음 제1 수직간(11)의 측면에 일정한 길이로 절개한 제1 홈(11a)을 통하여 손잡이(23a)를 연결한다. 손잡이(23a)를 상하로 움직일 때 슬라이더(23)가 하방향에 인접하는 제1 수직간(11) 또는 제2 수직간(12)과 연결되거나 해제된다. 즉 손잡이(23a)를 최대한 위로 올렸을 때 슬라이더(23)가 하방향의 인접하는 제1 수직간(11) 또는 제2 수직간(1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고, 손잡이를 최대한 아래로 내렸을 때(또는 자중에 의해 낙하할 때) 슬라이더(23)가 하방향의 인접하는 제1 수직간(11) 또는 제2 수직간(12)에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슬라이더(23)는 가급적 굽힘강도가 충분한 금속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를 1단계로 접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를 2단계로 접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이해를 돕기 위해 본 고안의 사다리에서 제1 경첩(21)을 제거한 하나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반면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사다리 전체를 도시한다.
제2 경첩(22)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좌우의 제1 수직간(11)을 반대 방향으로 밀면 도2a에서 도 2b의 상태로 된다. 계속하여 도 2c처럼 제1 수직간(11)이 서로 맞닿으면 높이가 같아지고 제2 수직간(12)은 제1 수직간(11) 내에 수용되고 제2 경첩(22)은 수평간(13) 내에 수용된다. 다음에는 도 1의 손잡이(23a)를 이용하여 슬라이더(23)를 올린 후 제1 경첩(21) 부분을 접으면 도 3a에서 도 3b의 상태로 된다. 걸림쇠(14)는 걸림봉(15)에 걸어 사다리를 들어 이동할 때 도 3b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사다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은 전체 길이의 중앙에서 접어 A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3 경첩(31)을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은 도 1의 A-A를 절단하는 위치로서 제3 경첩(31)을 설치하여 도 4처럼 A형으로 꺾이도록 한다. 물론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든 손잡이(23a)를 내려서 슬라이더(23)가 제1 경첩(21) 부분의 접힘을 방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걸림쇠(14)는 도시처럼 제1 수직간(11) 사이에 걸리도록 한다.
사다리를 사용한 후 접을 때 걸림쇠(14)를 풀고 제3 경첩(31) 부분을 펼쳐서 도 1의 형태로 한 다음 도 2a 내지 도2c 순서로 접고 도 3a 및 도 3b 형태로 다시 접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한 제3 경첩(31) 부분에 슬라이더(23)와 손잡이(23a)를 추가하면 사다리를 A형과 H형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의 간이용 접는 사다리는 이동하거나 보관할 때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서 사용할 때 용도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그재그로 접을 수 있도록 적절히 분할된 위치에서 제1 경첩(21)을 개재하여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좌우 동일 쌍의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
    상기 좌우측의 수직간(11)(12)이 항상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양측의 제1 수직간(11)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간(13);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수평간(13)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수직간(11)이 벌어진 상태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지지하는 제2 경첩(22); 및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이 일직선으로 펼쳐질 때 임의로 접히지 않도록 상기 제1 경첩(21) 부분마다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구조의 사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3)는 제1 홈(11a)을 통하여 외부의 손잡이(23a)와 연결되고, 이웃하는 수직간(11)(1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11b) 상에 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구조의 사다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간(11) 및 제2 수직간(12)은 전체 길이의 중앙에서 접어 A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3 경첩(31)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구조의 사다리.
KR2019990029129U 1999-12-22 1999-12-22 접는 구조의 사다리 KR200184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29U KR200184662Y1 (ko) 1999-12-22 1999-12-22 접는 구조의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29U KR200184662Y1 (ko) 1999-12-22 1999-12-22 접는 구조의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662Y1 true KR200184662Y1 (ko) 2000-06-01

Family

ID=1960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129U KR200184662Y1 (ko) 1999-12-22 1999-12-22 접는 구조의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66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68A (ko) * 2002-08-30 2002-10-30 백수곤 접이식 사다리 구조물
KR101077471B1 (ko) * 2009-04-13 2011-11-03 곽동진 접이식 다용도 사다리
EP2878760A1 (en) * 2013-11-29 2015-06-03 Teräs-Kari OY Foldable ladder
CN108104707A (zh) * 2018-01-30 2018-06-01 烟台艾易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多功能钢结构梯子
CN108590500A (zh) * 2018-04-11 2018-09-28 陈龙海 一种可折叠梯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68A (ko) * 2002-08-30 2002-10-30 백수곤 접이식 사다리 구조물
KR101077471B1 (ko) * 2009-04-13 2011-11-03 곽동진 접이식 다용도 사다리
EP2878760A1 (en) * 2013-11-29 2015-06-03 Teräs-Kari OY Foldable ladder
CN108104707A (zh) * 2018-01-30 2018-06-01 烟台艾易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多功能钢结构梯子
CN108590500A (zh) * 2018-04-11 2018-09-28 陈龙海 一种可折叠梯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757A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US7712493B2 (en) Folding work bench
CN116335471A (zh) 一种可折叠帐篷
DE60303093T2 (de) Trittleiter mit bewegbarem Handlauf
RU96118241A (ru) Складной стол для дисплея
KR200184662Y1 (ko) 접는 구조의 사다리
EP1392940B1 (en) Collapsible scaffolding tower
CN107048833B (zh) 旅行床
CN110835067A (zh) 一种多功能伸缩支架
US6295669B1 (en) Folding, dismountable and telescopic structure
KR200260737Y1 (ko) 간이용 접는 사다리
CA1296688C (en) Foldable ladder
KR100874593B1 (ko) 자동 절첩식 캐빈 텐트
CN219813517U (zh) 一种折叠架
CN210989270U (zh) 一种折叠床
CN211974849U (zh) 一种可组装便携式绝缘人字梯平台
CN110454078B (zh) 一种建筑工程用梯子
CN217783387U (zh) 一种用于梯子的折叠装置及折叠梯
KR100539707B1 (ko) 고정형 절첩식 사다리
JP4155937B2 (ja) 手摺付き作業台
CN216553332U (zh) 一种轻量化电力施工围栏
CN214302791U (zh) 一种可折叠的建筑装饰用工作架
CN219948249U (zh) 一种束状折叠车架
CN219993322U (zh) 一种车顶帐篷及其车辆
CN219952898U (zh) 防积水折叠帐篷骨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