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620Y1 - 냉장고용 증발접시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증발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620Y1
KR200184620Y1 KR2020000000443U KR20000000443U KR200184620Y1 KR 200184620 Y1 KR200184620 Y1 KR 200184620Y1 KR 2020000000443 U KR2020000000443 U KR 2020000000443U KR 20000000443 U KR20000000443 U KR 20000000443U KR 200184620 Y1 KR200184620 Y1 KR 200184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refrigerator
plate
evaporation plate
defros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0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6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1Removal by evaporation using compressor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증발접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증발접시의 재질과 형상을 개선하여 집수된 제상수를 보다 용이하게 증발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증발접시(30)는 금속판으로 제조되며, 밑면(31) 중심부에 압축기(21)의 상부를 덮도록 수용부(31a)가 마련되고, 밑면(31) 양측 가장자리부위에 상측방향으로 소정각도(θ) 경사진 구배면(31b)이 구성되어 있어서, 압축기(21)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제상수(40)가 보다 원활하게 증발 제거되며 열에 의한 증발접시(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증발접시{Tray-drain water for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용 증발접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상수가 집수되며 압축기의 열에 의해 집수된 제상수가 증발 제거되게 하는 냉장고용 증발접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저장식품의 부패를 방지하면서 신선한 상태를 장기간 유지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닛과, 캐비닛의 앞면부에 힌지결합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캐비닛에 설치된 냉동사이클 구동요소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냉장고의 캐비닛(1) 후방에는 각종 전장품을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2)이 마련된다. 기계실(2)에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동사이클로 공급하는 압축기(3)와, 증발기(미도시)의 제상운전 시 발생되는 제상수(5)를 집수하는 증발접시(4)와, 다수의 전장품 등이 설치된다.
증발접시(4)는 압축기(3)의 상부에 설치되며, 집수된 제상수(5)를 압축기(3)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증발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종래 증발접시(4)는 제상수(5)가 집수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종의 합성수지인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 또한, 반구형상의 압축기(3) 상부와 근접하도록 증발접시(4)의 밑면 중심부는 오목하게 들어가 소정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증발접시(4)가 장착된 냉장고는 장시간 작동하게 되면 증발기에 저장실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착상 결빙현상이 발생되어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냉동사이클 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에 배치된 제상히터(미도시)를 가동하여 제상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것은 제상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수행된다. 즉, 제상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이상 압축기(3)가 가동하면, 압축기(3)와 냉기 순환팬(미도시)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제상히터를 가동하여 증발기에 착상된 결빙을 제상한다. 이 때, 발생되는 제상수(5)는 드레인호스(미도시)를 통해 증발접시(4)에 집수된다.
그리고 제상운전이 완료되면 다시 압축기(3)가 먼저 구동을 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 다시 냉기 순환팬이 작동되어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저장실로 공급된다.
한편, 압축기(3)는 구동 시 상당한 열을 발생하는데, 이러한 열은 상부에 마련된 증발접시(4)로 전달되며, 증발접시(4)에 집수된 제상수는 압축기(3)의 열에 의해 공기 중으로 증발 제거된다.
그러나 종래 증발접시(4)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상당한 두께를 갖기 때문에, 압축기(3)에서 방출된 열이 제상수(5)로 용이하게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제상수(5) 증발시간이 길어진다. 이로 인해 제상수(5)의 증발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상운전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제상수(5)가 흘러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3)에서 방출된 열이 증발접시(4)로 직접 전달되는데, 증발접시(4)내에 제상수(5)가 존재하지 않으면, 플라스틱재질의 증발접시(4)가 열에 의해 변형될 소지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상수가 집수되는 증발접시를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밑면 형상을 개선하여 제상수 증발효율을 향상시키며,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증발접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기계실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냉장고의 기계실 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증발접시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기계실 21..압축기
30..증발접시 31..밑면
31a..수용부 31b..구배면
40..제상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캐비닛의 후방에 마련되며 압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과, 압축기 상부에 설치되며 제상운전 시 발생되는 제상수를 집수하기 위한 증발접시를 갖춘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접시는,
밑면 중심부에 압축기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하게 들어간 수용부가 마련되고, 밑면 양측 가장자리부위가 수용부를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진 구배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증발접시는 금속판으로 제조되며, 구배면의 경사각은 2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상수의 증발 제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압축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한 증발접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보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냉장고의 기계실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증발접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된 냉장고에는 함체상의 캐비닛(10) 후방에 다수의 전장품이 설치되는 기계실(20)이 형성되어 있다. 기계실(20)에는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냉동사이클로 공급하는 압축기(21)와, 제상운전 시 증발기(미도시)에서 발생된 제상수(40)를 집수하기 위한 증발접시(30)와, 냉매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22) 및 전장상자(23) 등이 설치된다.
전장상자(23)는 압축기(21)를 기동하는 콘덴서(미도시)와 제상타이머(미도시) 등이 내장되어 기계실(20)의 측벽에 부착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증발접시(30)는 드레인호스(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제상수(40)를 집수하는데, 돔(Dome) 형태의 압축기(21) 상부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기계실(20)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압축기(21)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제상수(40)가 증발되어 제거되게 된다.
이러한 증발접시(30)는 상부가 개방되며 폭넓은 밑면(31)을 갖는 일종의 볼(bowl)형태로 이루어지며, 증발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두께가 얇은 금속판을 단조가공을 통해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접시(30)를 열전도율이 플라스틱보다 우수한 아연 강판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증발접시(30)의 밑면(31) 중심부에는 압축기(21) 상부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수용부(31a)가 마련되며, 밑면(31)의 양측 가장자리부위는 수용부(31a)를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각도(θ) 경사진 구배면(31b)으로 구성된다.
밑면(31b)의 가장자리부위를 구배면(31b)으로 구성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발 제거되는 제상수(40)가 압축기(21) 상부를 덮고 있는 수용부(31a)측으로 모이게 되는데, 제상수(40)를 폭넓게 분포시키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제상수(40)를 집수하기 위해 구배면(31b)의 경사각(θ)은 2 ~ 4°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증발접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전원을 공급받아 증발기(미도시) 상부에 배치된 냉기 순환팬(미도시)과 압축기(21)가 작동하면,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순환팬에 의하여 저장실로 강제 송풍되고, 저장실에서 열교환작용을 마친 공기는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냉각된다.
그리고, 제상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상히터가 작동하여 증발기의 제상운전이 수행되며,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상수(40)는 드레인호스를 통해 압축기(21) 상부에 배치된 증발접시(40)에 집수된다. 제상운전이 완료되면, 압축기(21)가 먼저 구동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냉기 순환팬이 작동되어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다시 저장실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냉동사이클의 압축기(21)가 구동되면 여기에서 상당한 열이 발생되는데, 이 열은 증발접시(30)의 밑면(31)을 통해 증발접시(30)내로 전달되며, 이것에 의해 집수된 제상수(40)가 증발 제거된다.
즉, 압축기(21)에서 방열되어 자연대류현상에 의해 올라오는 더운 공기가 증발접시(30)의 밑면(31)과 부딪치면서 열이 전도되는데, 증발접시(3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아연강판으로 제조되며 밑면(31)이 넓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상수(40)가 단시간내에 증발 제거된다.
그리고 증발접시(30)의 밑면(31) 양측이 구배면(31b)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상수(40)는 점차 증발 제거되면서 수용부(31a) 측으로 모이게 된다. 수용부(31a)는 압축기(21)의 상부를 통해 직접 열을 전달받기 때문에, 제상수(40)의 증발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제상수가 완전하게 제거된 후에도 압축기(21)에서 방출된 열은 증발접시(40)로 계속 전달되는데, 증발접시(4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연 강판으로 제조되어 있어서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증발접시는 금속판으로 제조되며, 밑면 중심부에 압축기의 상부를 덮도록 수용부가 마련되고, 밑면 양측 가장자리부위에 상측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진 구배면이 구성되어 있어서, 압축기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제상수가 보다 원활하게 증발 제거되며 열에 의한 증발접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캐비닛의 후방에 마련되며 압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압축기 상부에 설치되며 제상운전 시 발생되는 제상수를 집수하기 위한 증발접시를 갖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증발접시(30)는,
    밑면(31) 중심부에 상기 압축기(21)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하게 들어간 수용부(31a)가 마련되고,
    밑면(31) 양측 가장자리부위가 상기 수용부(31a)를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각도(θ) 경사진 구배면(31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증발접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접시(30)는 금속판으로 제조되며,
    상기 구배면(31b)의 경사각(θ)은 2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증발접시.
KR2020000000443U 2000-01-08 2000-01-08 냉장고용 증발접시 KR200184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43U KR200184620Y1 (ko) 2000-01-08 2000-01-08 냉장고용 증발접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43U KR200184620Y1 (ko) 2000-01-08 2000-01-08 냉장고용 증발접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620Y1 true KR200184620Y1 (ko) 2000-06-01

Family

ID=1963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443U KR200184620Y1 (ko) 2000-01-08 2000-01-08 냉장고용 증발접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6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017B2 (en) Refrigerator and evaporator mounting structure therefor
KR101560147B1 (ko) 냉장고
KR200184620Y1 (ko) 냉장고용 증발접시
CN215597871U (zh) 冷藏冷冻装置
KR100633149B1 (ko) 냉장고
JP4145004B2 (ja) 冷却貯蔵庫
JP2001099561A (ja) 冷蔵庫
JP5367553B2 (ja) 冷却貯蔵庫
JPH09243234A (ja) 冷却貯蔵庫における除霜排水蒸発装置
JP2002048458A (ja) 冷却貯蔵庫
KR100563348B1 (ko) 김치냉장고용 하부 저장실의 후면 냉각장치
KR19990035962U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KR100305542B1 (ko) 냉장고의증발기
KR100597302B1 (ko) 냉장고
JP5328623B2 (ja) 冷蔵庫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KR100220754B1 (ko) 냉장고용 증발기의 제상장치
CN113124605B (zh) 一种具有减霜模块的冷柜及其控制方法
KR20000006563U (ko) 냉장고의 드레인수조
KR100617185B1 (ko)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상 운전 방법
EP4273472A1 (en) Ice making assembly and refrigerator
KR20090133015A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KR200197566Y1 (ko) 냉장고
KR0124288Y1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KR200235173Y1 (ko) 냉장고의전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