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892Y1 - 납골함 안치단 - Google Patents

납골함 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892Y1
KR200183892Y1 KR2019980001113U KR19980001113U KR200183892Y1 KR 200183892 Y1 KR200183892 Y1 KR 200183892Y1 KR 2019980001113 U KR2019980001113 U KR 2019980001113U KR 19980001113 U KR19980001113 U KR 19980001113U KR 200183892 Y1 KR200183892 Y1 KR 200183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ssuary
plaque
hoo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652U (ko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김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일 filed Critical 김경일
Priority to KR2019980001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89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6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당이나 사찰 등에 비치하는 납골 안치단에 있어서, 납골함의 문짝에 취부하여 납골함의 식별성을 제공하는 위패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위패의 결합작업을 더욱 간편히 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납골함과 위패를 더욱 미려한 장식미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본 고안은, 상하 좌우로 연설되는 후레임(2,2′)으로 납골함(2)을 구성하고 상기 납골함(2)에는 개폐가능한 문짝(4)이 결합되어 상기 문짝(4) 전면(7)에 위패(5)를 취부하는 통상의 납골 안치단(1) 구성에 있어서, 상기 문짝(4) 전면(7)에 걸이공(8)을 형성하고 위패(5) 이면에는 상기 문짝(4) 전면(7)의 걸이공(8)에 부합되는 걸이핀(6)을 돌출형성하여 위패(5)를 문짝(4) 전면(7)에 걸어서 취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납골함 안치단
본 고안은 납골당이나 사찰 등에 비치하는 납골안치단의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납골안치단의 납골함 문짝에 취부하여 납골함의 식별성을 제공하는 위패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납골 안치단은 일반 사물함의 보관실과 같은 납골함이 상하 좌우로 연설된 구조로 다수 형성되어 납골함에 고인의 유품이나 유골 등을 모시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납골함의 문짝 전면에는 위패를 결합하여 납골함의 식별성을 제공하고 고인에 관한 인적사항 등을 여러 기재사항을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납골함에 위패를 취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납골함 전면에 별도로 삽지구를 마련하고 위패를 끼워서 입설 결합하였던 것으로 이는 외관미가 저조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서 이를 대표적 예를 들어 살펴보면; 종래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6-005927호는 납골함의 문짝 전면 하단에 삽지구를 형성하고 여기에 고인의 이름과 기재사항 등을 기재한 위패를 끼움하여 입설 취부함으로서 납골함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묘비 등과 같은 분위기로 고인에 경배심을 갖도록 한 것으로, 이는 납골함의 문짝 전면 하단에 별도의 삽치구을 형성하고 여기에 위패를 꽂아서 결합하게 됨으로서 전면 하단에 형성하는 삽지구에 의하여 문짝의 외관미를 좋지 못하게 되고, 납골함을 개폐하는 문짝과 문짝에 결합되는 위패를 보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끼움식과는 달리 위패 이면에 걸이수단을 형성하고 납골함의 문짝 전면에는 걸이공을 형성하여 위패를 걸이식으로 취부토록 함으로서 위패를 결합하는 수단이 문짝상에 전혀 노출되지 않게 하고 문짝에 형성되는 취부수단이 생략되게 하여 이로 인하여 납골함의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막고 보다 다양한 문양과 미려한 디자인으로 납골 안치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치단 2 : 납골함
3,3′: 후레임 4 : 문짝
5 : 위패(位牌) 6 : 걸이핀
7 : 전면 8 : 걸이공
9 : 힌지축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하 좌우로 연설되는 후레임3,3′상에 문짝4이 결합되어 납골함2을 형성하는 통상의 납골 안치단1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납골함2의 문짝4에 취부되는 위패5의 결합구조를 간편한 걸이식으로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납골함2의 전방에 설치되는 문짝4은 일측 상하로 힌지축9이 형성되어 납골함2을 형성하는 후레임3에 힌지결합됨으로서 납골함2을 개폐하게 되고, 문짝4 전면7에는 위패5가 취부된다.
상기 문짝4의 전면7에 취부되는 위패5는 이면 상하측에 걸이핀6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문짝4 전면7에는 상기 위패5의 걸이핀6이 걸림결합되는 걸이공8이 마련되어 위패5를 걸어서 취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록커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위패5를 납골함2의 문짝4 전면7에 직접 걸어서 취부하게 됨으로서 위패5의 취부수단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관미가 깨끗하게 되고 문짝4과 위패5의 디자인을 구성하는 데에 아무런 제약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위패5의 이면에 형성된 걸이핀6을 납골함2의 문짝4 전면7에 형성된 걸이공8에 걸어주면 매우 간편하게 위패5가 취부되는 것이며, 상기 위패5와 문짝4간의 결합수단인 위패5의 걸이핀6과 문짝4 전면의 걸이공8이 위패5의 이면에 위치되어 결합후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어 납골함의 전체 외관미가 깨끗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문짝4에 별도의 삽지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문짝4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하는 데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게 되고 위패5 또한 문짝4의 삽지구에 끼움하기 위하여 그 외형상, 특히 하단부가 밋밋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단점이 없어지게 되어 위패5를 소망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납골함2의 문짝4에 취부되는 위패5의 취부구조가 매우 간편하고, 특히 이들간의 취부수단이 결합후에 외부로 전혀 노출 되지 않아 납골함2의 외관미가 매우 미려하게 되며, 또한 이들간의 결합구조에 의해 납골함2의 문짝4과 위패5를 다양한 장식미의 디자인으로 구성하는 데에 아무런 곤란성이 따르지 않게 되어 납골 안치단1을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전체 분위기를 더욱 정숙하고 숙연한 분위기로 조성할 수 있게 되어 고인에 대한 경배심을 더욱 돈독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하 좌우로 연설되는 후레임 2,2′으로 납골함2을 구성하고 상기 납골함2에는 개폐가능한 문짝4이 결합되어 상기 문짝4 전면7에 위패5를 취부하는 통상의 납골안치단1 구성에 있어서, 상기 문짝4 전면7에 걸이공8을 형성하고 위패5 이면에는 상기 문짝4 전면7의 걸이공8에 부합되는 걸이핀6을 돌출형성하여 위패5를 문짝4 전면7에 걸어서 취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안치단.
KR2019980001113U 1998-01-26 1998-01-26 납골함 안치단 KR200183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113U KR200183892Y1 (ko) 1998-01-26 1998-01-26 납골함 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113U KR200183892Y1 (ko) 1998-01-26 1998-01-26 납골함 안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652U KR19990034652U (ko) 1999-08-25
KR200183892Y1 true KR200183892Y1 (ko) 2000-06-01

Family

ID=1953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113U KR200183892Y1 (ko) 1998-01-26 1998-01-26 납골함 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8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652U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3892Y1 (ko) 납골함 안치단
KR200415061Y1 (ko)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USD495234S1 (en) Electronic lock box
KR200460473Y1 (ko) 통합 기능 도어 손잡이와 잠금 고리의 긴 옷장 체결구조
USD493350S1 (en) Hinge
CN213980285U (zh) 一种淋浴门隐藏式拉手结构
KR200346386Y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 손잡이
KR0133963Y1 (ko) 납골당의 납골단지 안치단
KR200226735Y1 (ko) 납골안치단의 조립구조
KR200321059Y1 (ko) 다용도 열쇠 보관함
USD449004S1 (en) Self opening calculator clock
KR200214801Y1 (ko) 납골함
KR200168652Y1 (ko) 지방꽂이용케이스
KR200409703Y1 (ko) 사물함용 다목적 손잡이
KR200337574Y1 (ko) 수납장
CN108131043B (zh) 仿古建筑骨灰盒箱架及其组装方法
KR200176179Y1 (ko) 사물함 경첩
KR200304696Y1 (ko) 책상형 전시용 진열장의 개폐구조
USD509130S1 (en) Door catch for holding doors open or closed
JPH064292U (ja) 枠付き扉
JP2009112602A (ja) 反転蓋付き棺
USD459383S1 (en) Self opening calculator clock
JP2000248790A (ja) 磁石構造ロック機構
CN2667109Y (zh) 入墙式保管箱
KR100801267B1 (ko) 사물함 도어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