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500Y1 - 전자기장 차폐회로 - Google Patents

전자기장 차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500Y1
KR200183500Y1 KR2020000000639U KR20000000639U KR200183500Y1 KR 200183500 Y1 KR200183500 Y1 KR 200183500Y1 KR 2020000000639 U KR2020000000639 U KR 2020000000639U KR 20000000639 U KR20000000639 U KR 20000000639U KR 200183500 Y1 KR200183500 Y1 KR 200183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home appliance
relay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호
Original Assignee
이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호 filed Critical 이만호
Priority to KR2020000000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5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7/00Screening
    • G12B17/02Screening from electric or magnetic fields, e.g.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30Electromagnetic relays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on by a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3Rectifying Diode
    • H01L2924/12035Zener di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3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input amplifying stage being one or more operational amplifiers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장 차폐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이나 벽등지에 설치된 콘센트(6)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줌과 동시에 교류전원의 공급상태를 표시해 주는 전원공급 표시 및 정류부(1)와; 출력단에 연결된 각종 가전기기가 작동상태인지를 검출하여 전원제어용 릴레이 구동부(3)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부하 검출부(2)와; 상기 부하 검출부(2)에서 검출한 결과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스위치가 켜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릴레이(4)를 구동시켜 주고,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소정시간의 전원차단 지연시간을 가진 후 릴레이(4)의 구동을 차단시켜 주는 전원제어용 릴레이 구동부(3)와; 상기 부하 검출부(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콘센트(6)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압을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시켜 주거나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되고 있는 교류전원을 차단시켜 주는 전원제어용 릴레이(4)와; 상기 부하 검출부(2)의 출력단에 연결된 해당 가전기기로 흐르는 교류 전류량을 검출하는 교류전류 검출부(5)로 구성하여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가전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하단으로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완전 차단시키고,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즉시 교류전원을 공급시켜 각종 가전기기의 미 사용시에도 발생되는 전자기장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장 차폐회로 {Electrmagnetic Field Shieding Circuit}
본 고안은 전자지장 차폐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실내의 가전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하단으로 인가되는 교류를 완전 차단시키고, 소모전력이 작은 가전기기(일상생활에서 교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전력소모 기기)라 할지라도 전원 스위치가 켜질 경우에는 즉시 상황을 검출하여 교류 전원이 자동 인가되도록 하여 전자기장(즉,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교류전압에는 인체 등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는 전자기파가 발생하고 있음이 이미 알려져 있다.
즉, 100V/220V 60HZ의 교류전압은 실내의 분전반을 통해 벽이나 천장의 배선 관을 따라 각 방으로 분기되는데, 이때 교류전압은 그 특성상 비록 종단이 개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전자기파가 퍼져 나오게 되며, 이와같은 전자기파의 강도는 자기장 검출기로 직접 측정/확인할 수 있고, 특히 전원 종단에 부하가 걸릴 경우 수십 배에서 수천배의 전자기파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병원이나 요양원과 같은 특수한 실내에서는 필수적인 전원을 제외하고는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것이 특수의료기기의 노이즈 차단 측면에서도 현명한 일이다.
한편, 상기한 전자기파는 그 주파수와 강도에 의존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주고 있음이 임상병리학적으로 이미 알려진 바 있고 가능한 적은 양이 인체에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종래의 전원공급라인상에는 이와같은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회로인 전자기파 차단회로(EFSC : Electrmagnetic Field Shieding Circuit)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가전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하단으로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완전 차단시키고, 어떠한 가전기기의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즉시 이를 검출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교류전원이 자동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각종 가전기기의 미 사용시 전자기장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자기장 차폐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줌과 동시에 교류전원의 공급상태를 표시해 주는 전원공급 표시 및 정류부와; 출력단에 연결된 각종 가전기기가 작동상태인지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부와; 상기 부하 검출부에서 검출한 결과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스위치가 켜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릴레이를 구동시켜 콘센트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압이 해당기기로 인가되도록 하고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소정시간의 전원차단 지연시간을 가진 후 릴레이의 구동을 차단시켜 주는 전원제어용 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부하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해당 가전기기로 교류전압을 인가시키거나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되고 있는 교류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제어용 릴레이와; 해당 가전기기로 흐르는 교류전류량을 검출하는 교류전류 검출부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가전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완전 차단시킬 수 있고, 또 언제라도 소정의 가전기기의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즉시 해당 가전기기로 교류전원을 자동 인가시킬 수 있어 각종 가전기기의 미 사용시 교류전압이 인가되므로 인한 전자기장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회로도.
도 2의 (a)(b)는 본 고안 중 교류전류 검출부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원공급 표시 및 정류부 2 : 부하 검출부
3 : 전원제어용 릴레이 구동부 4 : 전원제어용 릴레이
5 : 교류전류 검출부 6 : 콘센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분압 저항(R1,R2)과 수개의 콘덴서(C1,C2,C9), 다이오드(D1,D4,D5), 제너다이오드(D2,D3) 및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천정이나 벽등지에 설치된 콘센트(6)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줌과 동시에 교류전원의 공급상태를 표시해 주는 전원공급 표시 및 정류부(1)와;
수개의 저항(R3-R6,R8-R17), 가변저항(VR1,VR2), 콘덴서(C3-C5), 발광다이오드(LED2), 다이오드(D8-D14) 및 오피 앰프(Op Amp1-Op Amp4)로 구성되어 출력단에 연결된 각종 가전기기가 작동상태인지를 검출하여 전원제어용 릴레이 구동부(3)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부하 검출부(2)와;
저항(R7)과 콘덴서(C6-C8) 및 트랜지스터(Q1,Q2)로 구성되어 상기 부하 검출부(2)에서 검출한 결과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스위치가 켜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릴레이(4)를 구동시켜 주고,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소정시간의 전원차단 지연시간을 가진 후 릴레이(4)의 구동을 차단시켜 주는 전원제어용 릴레이 구동부(3)와;
상기 부하 검출부(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콘센트(6)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압을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시켜 주거나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되고 있는 교류전원을 차단시켜 주는 전원제어용 릴레이(4)와;
홀센서(H S)와 저항(R18) 및 다이오드(D6,D7)로 구성되어 상기 부하 검출부(2)의 출력단에 연결된 해당 가전기기로 흐르는 교류 전류량을 검출하는 교류전류 검출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의 (a)(b)는 본 고안 중 교류전류 검출부의 다른 실시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첫째는 부하 단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1/2W 1㏁ 저항 1개와 전원용 다이오드를 1세트로 하여 2세트를 역방향으로 병렬 연결하는 방법인데, 출력은 다이오드와 저항이 접속된 부위에서 얻되, 전체 회로도에서 다이오드(D6,D7)를 제거하고 +S 단자를 콘덴서(C4)에 연결하고 -S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와 연결한 것이다.
둘째는 부하 단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1/2W 1㏁ 저항 1개와 저주파용 고임피던스 초크(choke)를 1세트로 하여 분압된 교류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출력은 회로도와 같이 사용된 트랜스의 출력 단자로부터 얻되, +S단자를 홀 센서를 제거한 위치인 10㏀의 저항(R18) 우측에 연결하고, -S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와 연결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 표시 및 정류부(1)는 벽이나 천정부등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6)에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꼽았을 때 콘센트(6)에서 인가되는 교류 전압은 저항(R1,R2)과 콘덴서(C9)로 구성되는 RC 방전회로에 의해 분압되고, 다이오드(D1)와 녹색의 발광다이오드(LED1)에 의해 역시 분압된다.
따라서, 녹색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실제로 초당 60회로 점멸하기만 시각적으로는 항상 켜져 있는 것으로 보이고,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의 하단에는 제너전압이 10V인 제너다이오드(D2,D3)를 역방향으로 직렬 연결시켜 항복전압으로 분압된 사인파를 다음 단인 다이오드(D4)와 콘덴서(C2) 및 다이오드(D5)와 콘덴서(C1)에 공급시켜 준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4)와 콘덴서(C2)는 다이오드 순방향 전압을 제외한 대략 -10V의 전압원이 되며, 다이오드(D5)와 콘덴서(C1)는 다이오드 순방향 전압을 제외한 대략 +10V의 전압원이 된다.
이 전압은 741 호환 차동 증폭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데, 약간의 리플은 있으나 각 기능부품들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또한, 부하 검출부(2)는 부하 단자(Output2)에 연결된 가전기기가 꺼져 있다면(즉, open 상태) 콘덴서(C1)의 충전 전압에 의한 전류가 부하단자 쪽으로 흐르지 않게 되기 때문에 노드(Node_1)는 +10V가 된다.
이때, 오피 앰프(Op Amp3)는 비교기로서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reference voltage) 즉, Vref={R9/(R9+R10)} X V로써 상기 두 저항값이 각각 1㏁이라할 때 상기 기준전압 Vref={1㏁/(1㏁+1㏁)} X 10V = 5V 보다 큰 노드(Node_1)의 전압이 비반전입력단자(+)단자에 걸리게 되므로 그의 출력단자에는 양의 Vsat(포화 전압 : Saturation Voltage = +10V)가 걸리게 된다.
이때, 전원제어용 릴레이(4)는 비 구동상태에 있으므로 홀 소자 (H S)를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오피 앰프(Op Amp1)의 반전입력단자(-)에는 0V의 전압이 걸리게 되어 반전 증폭 및 양의 반파 정류기인 상기 오피 앰프(Op Ampl)의 출력 단자에는 0V가 출력된다.
한편, 오피 앰프(Op Amp2)는 반전 증폭 및 적분기로서, 반전입력단자(-)에 걸리는 입력전압은 상기 오피 앰프(Op Amp1)의 출력 전압과 콘덴서(C2)의 충전 전압(-10V)이 되므로, 그의 출력단자에는 양의 Vsat(포화 전압 : Saturation Voltage = +10V)가 걸린다.
또한, 오피 앰프(Op Amp4)는 슈미트 트리거 (Schmitt Trigger)로서,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인 VTh= ±Vsat X {R14/(R14+R15)} = 10 X {1㏁/(1㏁+1㏁)} = ±5V에 가까운 전압이 비반전입력단자(+)에 걸린다.
이때, 상기 오피 앰프(Op Amp2)의 출력단자와 오피 앰프(Op Amp3)의 출력단자가 각각 양의 10V이므로 콘덴서(C3)가 충전이 되고 오피 앰프(Op Amp4)의 반전입력단자(-)의 전압이 양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보다 크게 되어 그의 출력단자에서는 -Vsat가 출력된다.
또, 상기 오피 앰프(Op Amp4)의 출력단자와 오피 앰프(Op Amp3)의 비반전입력단자(+)는 다이오드(D12)에 의해 거의 오픈상태가 되므로 각 단자들의 전압은 그대로 유지되는데, 이 상태는 부하가 걸림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변화를 이용하여, 전원인가 동작을 하게된다.
한편, 상기 부하 검출부(2)의 부하검출 감도는 다이오드(D8)와 43.2kΩ의 저항(R5)에 대해 직렬 연결된 1/4W 25kΩ의 가변저항(VR1)의 조정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부하가 연결되는 순간(부하는 보통 100Ω이상 10kΩ이하의 임피던스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콘덴서(C1)에 충전된 10V의 전압은 상기 가변저항(VR1), 저항(R5), 다이오드(D8,D9)및 39kΩ을 나타내는 저항(R6)에 의해 분압되며, 가변 저항(VR1)을 대략 16.8kΩ으로 조정하는 경우 노드(Node_1)의 전압은 대략 VNODE1= {10-(2 X 0.6)} X (39kΩ+1kΩ)/(16.8kΩ+43.2kΩ+39kΩ+1kΩ) = 3.52V가 된다.
이때, 부하 저항은 대략 1kΩ으로 가정하였고, 다이오드(D8,D9)의 순방향 전압을 각각 0.6V로 가정하였다.
상기 노드(Node_1) 전압이 비교기인 오피 앰프(Op Amp3)의 비반전입력단자(+)로 인가되면, 10V에서 3.52V 수준으로 급격하게 감압되므로, 그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5V보다 낮아셔 상기 오피 앰프(Op Amp3)의 출력이 반전되어 전원제어용 릴레이(4)를 구동되므로(상기 릴레이에 관한 상세한 메커니즘은 후술하겠음) 부하에 교류 전원이 인가된다.
이와같이 콘센트(6)를 통해 인가된 교류 전원은 39kΩ의 저항(R6)에 의해 분압되고 다이오드(D9 : 이 다이오드는 역방향 전원이 인가될 때, 적색 발광다이오드(LED2)를 보호한다.)에 의해 반파 정류되어 적색 발광다이오드(LED2)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광다이오드(LED2)는 실제로 초당 60회 점멸하지만, 항상 켜진 것으로 보인다. 즉, 교류 전원이 인가될 때만 상기한 적색 발광다이오드(LED2)가 발광한다.
따라서, 25kΩ의 가변저항(VR1)을 최소로 하면 노드(Node_1)의 전압은 4.23V로 되고, 최대 저항인 25kΩ으로 하면 노드(Node_1)의 전압은 약 3.25V가 되며, 만일 부하 저항을 1kΩ 이상으로 하면 릴레이(4)가 동작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5kΩ 가변저항(VR1)을 최소로 놓은 상태에서 100kΩ 이상의 부하를 연결하면, 노드(Node_1)의 전압이 5V이상이 되어 오피 앰프(Op Amp3)의 출력이 반전되지 않으므로 릴레이(4)의 구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100kΩ 이상의 부하를 연결하였을 경우 가변저항(VR1)의 저항값은 점차 증가시켜 릴레이(4)의 구동이 일어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본 시스템은 25kΩ 가변저항(VR1)을 최소로 하였을 때 부하 저항의 한계는 100kΩ, 25kΩ 가변저항을 최대로 하였을 때 부하 저항의 한계는 156kΩ으로 설계하였으며, 부하 저항의 한계를 증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러나, 25kΩ 가변저항을 늘리거나 43.2kΩ 저항(R5) 및 39kΩ의 저항(R6) 값을 조정하면 되는데, 실제로 부하 저항이 100kΩ이상인 부하는 거의 없는 편이며 100kΩ일 때 부하 전류는 1.1mA에서 2.2mA에 불과하다.
그리고, 전원제어용 릴레이 구동부(3)는 부하 검출부(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기기가 켜지게 되면(Closed Loop 형성) 출력단자측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노드(Node_1)의 전압이 저항과 다이오드에 의해 감압되어 4V 정도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오피 앰프(Op Amp3)의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이 4V가 되어 그의 출력단자에 음의 Vsat(-10V)가 걸리게 되어 콘덴서(C3)가 방전되어 버림에 따라, 오피 앰프(Op Amp4)의 반전입력단자(-)에 걸린 전압이 음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보다 낮게 되어 그의 출력단자에서는 순간적으로 -Vsat에서 +Vsat로 변한다.
따라서, 다이오드(D12)가 도통되어서 상기 오피 앰프(Op Amp3)의 비반전입력단자(+) 전압이 +Vsat와 거의 같게 되어 그의 출력단자에서는 +Vsat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피 앰프(Op Amp4)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6)와 저항(R7)로 구성되는 미분기를 거쳐 푸시풀회로(Push Pull: 형태 및 동작원리에 의해 편의상 이렇게 명칭하기로 함)를 갖는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Q2)가 '온'되므로 전원제어용 릴레이(4)에 순간적으로 양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릴레이의 접점 스위치가 '온'된다.
따라서, 홀 소자(H S)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오피 앰프(Op Amp1)의 반전입력단자(-)에 미소 전압(다이오드 순방향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같은 미소 전압은 반전 증폭 및 양의 반파 정류기인 오피 앰프(Op Amp1)을 통과하여 오피 앰프(Op Amp2)의 입력 소오스원이 되는데, 상기 오피 앰프(Op Amp2)의 출력단자에 영향을 주는 저항비가 콘덴서(C2)에 의한 입력 저항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 오피 앰프(Op Amp2)의 출력단자에는 -Vsat(-10V)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콘덴서(C3)는 충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오피 앰프(Op Amp4)의 반전입력단자(-)의 전압이 음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VTh보다 낮게 되어 그의 출력단자는 +Vsat가 유지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릴레이(4)가 구동되지 않으면 즉, 오피 앰프(Op Amp2)의 출력단자에 +Vsat가 유지되면 콘덴서(C3)가 다시 충전을 하게 되고, 오피 앰프(Op Amp4)의 반전입력단자(-) 전압이 양의 문덕 전압 VTh보다 크게 되어 그의 출력단자는 +Vsat에서 -Vsat로 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오피 앰프(Op Amp3)의 비반전입력단자(+)에 +4V가 걸리게 되어 그의 출력단자가 -Vsat가 되므로, 콘덴서(C3)는 다시 방전을 하게 되어 상기 오피 앰프(Op Amp4)의 출력단자는 -Vsat에서 +Vsat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릴레이(4)가 구동되기 전까지(즉, 오피 앰프(Op Amp2)의 출력단자가 -Vsat가 되기 전까지)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하 검출부(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콘센트(6)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압을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시켜 주거나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되고 있는 교류전원을 차단시켜 주는 전원제어용 릴레이(4)는 상기 부하 검출부(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기기가 켜져 있다가 꺼지게 되면, 홀 소자(H S)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없어지기 때문에 오피 앰프(Op Amp2)의 출력단자 전압이 +Vsat가 되고, 오피 앰프(Op Amp3)의 출력단자 전압은 +Vsat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콘덴서(C3)가 충전을 시작한다.
이렇게 상기 콘덴서(C3)가 충전되므로 인해 오피 앰프(Op Amp4)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양의 문턱 전압 VTh보다 커지는 순간이 되면 그의 출력전압이 +Vsat에서 -Vsat로 변하게 되고, 이 전압이 미분기를 거쳐 다시 푸시풀회로인 트랜지스터(Q1,Q2)로 흘러 들어가서 릴레이에 순간적으로 음의 전압을 인가되어 상기 릴레이(4)의 구동이 차단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릴레이(4)의 구동이 차단되지 않으면, 노드(Node_1)에 유기되는 전압이 +9V/-2V(60Hz)의 펄스전압이 되므로 상기 오피 앰프(Op Amp4)의 출력단자 전압이 -Vsat에서 +Vsat로 변했다가 다시 +Vsat에서 -Vsat로 변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이와같은 반복 과정은 릴레이(4)의 구동이 차단되는 순간(즉, 접점스위치가 열리는 순간)에 끝나게 된다.
한편, 전원 차단 지연시간은 저항(R4)과 직렬로 연결된 470kΩ의 가변저항(VR2)RHK 12uF의 콘덴서(C3)에 의해 결정된다.
즉, 부하의 연결이 끊어졌을 때, 릴레이(4)의 구동이 즉시 차단되는 것이 아니고, 콘덴서(C3)가 충분히 충전되어 오피 앰프(Op Amp4)를 동작시켜야만 릴레이(4)의 구동이 차단되며, 상기 콘덴서(C3)의 충전시간은 기본적으로 약 0.396초 이상 걸리며, 470kΩ 가변저항(VR2)을 적절히 조절하면 약 5.64초 이상 지연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부하 검출부(2)의 출력단에 연결된 해당 가전기기로 흐르는 교류 전류량을 검출하는 교류전류 검출부(5)는 홀 센서(H S)와 저항(R18) 및 다이오드(D6,D7)로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실시예로 하나, 도 2의 (a)(b)와 같이 변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교류 전류가 흐를 때 그 양을 검출하는 홀 센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대치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도 2의 (a)(b)와 같이 대략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부하 단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1/2W 1㏁ 저항 1개와 전원용 다이오드를 1세트로 하여 2세트를 역방향으로 병렬 연결하는 방법인데, 그 출력은 다이오드와 저항이 접속된 부위에서 얻되, 전체 회로도에서 다이오드(D6,D7)을 제거하고 +S 단자를 콘덴서(C4)에 연결하며, -S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와 연결한다.
이러한 방법은 홀 센서를 사용할 때와 아주 유사한 상황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사용된 다이오드는 전체 회로도의 다오오드(D6,D7)의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S, -S단자에 다이오드 순방향 전압 수준의 교류 전압을 유기시켜 주므로, 콘덴서(C4)와 그 후단의 오피 앰프(Op Amp1)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임피던스가 크므로, 노드(Node_1)의 전압 양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부하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두번째는, 부하 단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1/2W 1㏁ 저항 1개와 저주파용 고 임피던스 초크(choke)를 1세트로 하여 분압된 교류를 유도하는 방법인데, 그 출력은 회로도와 같이 사용된 트랜스의 출력 단자로부터 얻되, +S단자를 홀 센서를 제거한 위치인 10㏀ 저항(R18) 우측에 연결하고, -S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와 열결한다.
이 방법 역시 홀 센서를 사용할 때와 아주 유사한 상황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사용된 트랜스는 전체 회로도의 홀 센서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S, -S단자에 약 1V(220V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의 교류 전압을 유기시켜 주므로, 콘덴서(C4)와 그 후단의 오피 앰프(Op Amp1)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2㏁의 저항에 의해 큰 임피던스를 유지하므로 노드(Node_1)의 전압 양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부하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가전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하단으로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완전 차단시키고, 어떠한 가전기기의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즉시 이를 검출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교류전원이 자동으로 인가되도록 하므로써 각종 가전기기의 미 사용시에도 발생되는 전자기장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천정이나 벽등지에 설치된 콘센트(6)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줌과 동시에 교류전원의 공급상태를 표시해 주는 전원공급 표시 및 정류부(1)와;
    출력단에 연결된 각종 가전기기가 작동상태인지를 검출하여 전원제어용 릴레이 구동부(3)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부하 검출부(2)와;
    상기 부하 검출부(2)에서 검출한 결과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스위치가 켜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릴레이(4)를 구동시켜 주고,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소정시간의 전원차단 지연시간을 가진 후 릴레이(4)의 구동을 차단시켜 주는 전원제어용 릴레이 구동부(3)와;
    상기 부하 검출부(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콘센트(6)를 통해 인입되는 교류전압을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시켜 주거나 해당 가전기기로 인가되고 있는 교류전원을 차단시켜 주는 전원제어용 릴레이(4)와;
    상기 부하 검출부(2)의 출력단에 연결된 해당 가전기기로 흐르는 교류 전류량을 검출하는 교류전류 검출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차폐회로.
KR2020000000639U 2000-01-11 2000-01-11 전자기장 차폐회로 KR200183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639U KR200183500Y1 (ko) 2000-01-11 2000-01-11 전자기장 차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639U KR200183500Y1 (ko) 2000-01-11 2000-01-11 전자기장 차폐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500Y1 true KR200183500Y1 (ko) 2000-05-15

Family

ID=1963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639U KR200183500Y1 (ko) 2000-01-11 2000-01-11 전자기장 차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5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201B1 (ko) 부하를 식별하는 ac 전력 공급원의 제어 및 방법
JP5584919B2 (ja) 調光器トリガ回路、調光システムおよび調光可能デバイス
CN109327939B (zh) 用于发光二极管的驱动电路和照明装置
TWI492497B (zh) 可調光型電源供應器
US200700576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mming service loads
AU2015263835B2 (en) A zero-crossing detection circuit for a dimmer circuit
JP2008541403A (ja) 調光スイッチ用の状態表示回路
TW201119511A (en) Light-emitting diode (LED) current balance circuit
CN102118903A (zh) 发光二极管灯具的驱动电路
TW401720B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remote lamp loads
KR20100014700A (ko) 디머 회로용 유도 부하 센서
TW201401704A (zh) 用於控制電負載之方法、裝置與系統
CN111856341B (zh) 具有接线检测和校正的电气接线装置
US8179058B1 (en) Determine a setting of a TRIAC dimmer through induced relaxation oscillation
US8614552B2 (en) Detection of the position of an ELV dimm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isolated electrical load
JP2004505593A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及び方法
US8836236B1 (en) LED offset voltage dimmer
KR200183500Y1 (ko) 전자기장 차폐회로
EP3920669B1 (en) Lighting controls
US201802172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switching circuitry failure
KR100332234B1 (ko)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CN109982475B (zh) 信号检测装置及使用其的发光装置
KR970007295B1 (ko)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TW201620337A (zh) 具備多級驅動階段和雙驅動模式之發光二極體照明裝置
RU21216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кации режимов тока 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ибор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