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069Y1 -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 - Google Patents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069Y1
KR200183069Y1 KR2019980001523U KR19980001523U KR200183069Y1 KR 200183069 Y1 KR200183069 Y1 KR 200183069Y1 KR 2019980001523 U KR2019980001523 U KR 2019980001523U KR 19980001523 U KR19980001523 U KR 19980001523U KR 200183069 Y1 KR200183069 Y1 KR 200183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dule
input
output modu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837U (ko
Inventor
홍정기
이돈시
Original Assignee
조정래
주식회사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래, 주식회사효성 filed Critical 조정래
Priority to KR2019980001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06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0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1Plc I-O input output
    • G05B2219/1157I-O used either as input or as 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077Modular structure, memory tables hold data about type of connected apparatus and data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듈컨넥터가 소정부위에 구비된 입출력모듈의 하측에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그 입출력모듈이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는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안착홈을 갖는 안착부를 형성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소정부위에 구성된 베이스컨넥터는 하측에서부터 접지연결부와 전원연결부 및 다수의 신호부들을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그 신호부의 상부에 전원연결부와 접지연결부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상기의 베이스컨넥터에 결합되는 모듈컨넥터에도 베이스컨넥터에 대응하도록 구성하여 모듈컨넥터의 이탈시에는 접지연결부와 전원연결부 및 신호부의 순서로 이탈되도록 하고, 모듈컨넥터의 결합시에는 입출력모듈의 걸림돌기를 안착부의 안착홈에 결합한 후에 모듈컨넥터의 접지연결부부터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PLC 시스템 전체를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입출력모듈을 교체할 수 있게 되고,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입출력모듈이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
본 고안은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의 입출력모듈(I/O Module)을 베이스플레이트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IC에 충격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모듈과 베이스플레이트의 접속 순서를 조절하여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IC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프로그램 가능 제어 장치)는 입력, 출력, 기억, 연산 제어부를 갖추어 컴퓨터와 아주 닮은 구성인 시퀀스 제어장치이다. 보통 산업용 제어 업무로 사용되는 제어장치로써, 높은 신뢰성과 간편한 제어 스프트웨어, 보수 유지의 간편성, 저렴한 가격 등의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적용분야로는 대, 중, 소규모의 공장자동화나 송유관·가스관의 감시제어, 각종 시퀀스제어 등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입출력모듈에는 입출력 신호변환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및 CPU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프로세서를 진행하기 위하여 입출력모듈의 내측에는 IC칩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IC칩이 내장된 입출력모듈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PLC 전체의 시스템을 정지시킨 후에 교체하여야 하였다. 입출력모듈에 내장된 IC들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주지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입출력모듈의 내부에는 신호선들과 전원부 및 접지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입출력모듈을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신호선들과 전원부 및 접지부가 동시에 이탈되며, 이때. 신호들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입출력모듈의 IC에 전기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입출력모듈을 교체하기 위해서 PLC 전체의 시스템을 정지시켜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 후에 입출력모듈을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탈하게 되었고, 다른 입출력모듈을 삽입시켜 교환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에서와 같이 입출력모듈을 교체하거나 이탈시키기 위하여 시스템을 정지시키게 되면 그 정지 시간에는 시스템이 운용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에 지장을 주게 되었고, 메인터넌스(Maintenance, 기기 혹은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그것에 요구되는 기능 또는 성능을 계속하여 발휘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서 수리, 수정 혹은 개량하는 것) 시에 장애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 PLC 시스템 전체를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입출력모듈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듈컨넥터가 소정부위에 구비된 입출력모듈의 하측에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그 입출력모듈이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는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안착홈을 갖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소정부위에 구성된 베이스컨넥터에는 하측에서부터 접지연결부와 전원연결부 및 다수의 신호부들을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그 신호부의 상부에 전원연결부와 접지연결부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상기의 베이스컨넥터에 결합되는 모듈컨넥터에도 베이스컨넥터에 대응하도록 구성하여 모듈컨넥터의 이탈시에는 신호부와 전원연결부 및 접지연결부의 순서로 이탈되도록 하고, 모듈컨넥터의 결합시에는 입출력모듈의 걸림돌기를 안착부의 안착홈에 결합한 후에 모듈컨넥터의 접지연결부부터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안착부
12 : 안착홈 20 : 베이스컨넥터
21 : 접지연결부 22 : 전원연결부
23 : 신호부1 30 : 입출력모듈
32 : 걸림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입출력모듈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입출력모듈에 입출력 신호변환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이중화 래치부 및 CPU 인터페이스가 IC칩으로 내측에 구성되어 있는 입출력모듈(30)의 모듈컨넥터(31)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모듈컨넥터(31)가 소정부위에 구비된 입출력모듈(30)의 하측에 걸림돌기(32)를 구비하고, 그 입출력모듈(30)이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측에는 걸림돌기(32)에 대응되는 안착부(11)를 형성하며, 그 안착부(11)에는 내측에 걸림돌기(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12)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도 2 는 본 고안의 베이스컨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의 소정부위에 구성된 베이스컨넥터(20)에는 하측에서부터 접지연결부(21)와 전원연결부(22) 및 다수의 신호부들(23)(24)(25)(26)(27)을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그 신호부(23)(24)(25)(26)(27)의 상부에 전원연결부(28)와 접지연결부(29)를 순차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신호부의 개수는 한 개 내지 두 개 이상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신호부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5개의 신호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되는 모듈컨넥터(31)에도 베이스컨넥터(20)에 대응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1 에 도시된 컨넥터핀(33)도 하측에서부터 접지연결부와 전원연결부 및 신호부를 구성하여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될 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입출력모듈(30)의 걸림돌기(32)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안착부(11)에 삽입하고, 모듈컨넥터(31)의 하측에서부터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되도록 하여 모듈컨넥터(31)의 접지연결부로부터 베이스컨넥터(20)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모듈컨넥터(31)로 전달되는 전기적인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PLC 입출력 모듈의 탈부착장치에 의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용하게 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입출력모듈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3 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출력모듈(30)을 베이스플레이트(10)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입출력모듈(30)의 하측에 구성된 걸림돌기(32)를 먼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안착부(11)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걸림돌기(32)가 안착부(11)의 내측에 구성된 안착홈(12)으로 삽입하게 되어 입출력모듈(30)의 하측이 안착부(11)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입출력모듈(30)의 하측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안착부(11)에 의하여 지지되면 입출력모듈(30)의 상측 소정부위에 구성된 모듈컨넥터(31)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시키게 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0)의 안착부(11)에 의하여 하측이 안정되게 지지된 입출력모듈(30)을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시키게 되고, 입출력모듈(30)의 모듈컨넥터(31)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베이스컨넥터(20)에 삽입되어 모듈컨넥터(31)의 오삽입이 제거된다.
이때, 모듈컨넥터(31)가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출력모듈(30)의 걸림돌기(32)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안착홈(12)에 삽입되면 입출력모듈(30)의 하측은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하측이 안정된 입출력모듈(30)은 상측 소정부위에 구비된 모듈컨넥터(31)가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된다. 이때, 입출력모듈(30)은 경사진 상태로 안착부(11)에 결합되고, 경사진 입출력모듈(30)은 모듈컨넥터(31)의 하측에서부터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경사진 입출력모듈(30)을 도 3 의 화살표 A 방향인 베이스플레이트(10)로 이동시키게 되면 모듈컨넥터(31)의 하측부터 베이스컨넥터(20)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모듈컨넥터(31)와 베이스컨넥터(20)는 하측에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의 결합에 의하여 모듈컨넥터(31)가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되면 도 3 에 도시된 접지연결부(21)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베이스컨넥터(20)에서 가장 하측에 구비된 접지연결부(21)부터 모듈컨넥터(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후에는 상기의 접지연결부(21)의 상부에 구비된 전원연결부(22)가 모듈컨넥터(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연결부(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신호부(23)(24)(25)(26)(27)들이 모듈컨넥터(31)에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신호부(23)(24)(25)(26)(27)들이 모듈컨넥터(31)에 연결된 상태에서 계속하여 모듈컨넥터(31)를 베이스컨넥터(20)에 삽입시키게 되면 베이스컨넥터(20)의 상측에 구비된 전원연결부(28)와 접지연결부(29)가 모듈컨넥터(31)에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모듈컨넥터(31)가 베이스컨넥터(2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베이스플레이트(10)와 입출력모듈(30)이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입출력모듈(30)의 IC를 교환하거나 이탈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입출력모듈(30)을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입출력모듈(30)을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출력모듈(30)을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이탈시키기 전에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아도 된다. 즉,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입출력모듈(30)을 교체하여도 되는 것이다. 입출력모듈(30)을 도 3 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하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모듈컨넥터(31)가 베이스컨넥터(20)로부터 이탈된다. 모듈컨넥터(31)는 베이스컨넥터(20) 상측의 접지연결부(29)부터 순차적으로 전원연결부(28)와 신호부(27)(26)(25)(24)(23), 전원연결부(22) 및 접지연결부(21)의 순서로 이탈된다. 이때, 베이스컨넥터(20)의 상측에 구비된 접지연결부(29)와 전원연결부(28)부터 이탈되고, 그 다음에 신호부(27)(26)(25)(24)(23)에서 모듈컨넥터(31)가 이탈된 후 전원연결부(22)와 접지연결부(21)가 이탈되기 때문에 IC칩에 전기적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연결시에는 접지에서 전원과 신호선의 순서로 연결되고, 제거시에는 신호선에서 전원과 접지의 순서로 연결이 끊어져야 되며, 상부의 접지(29)와 전원(28)은 사용자의 잘못에 의해 모듈이 상부부터 비스듬하게 꽂히는 경우 하부의 걸림돌기에(11,32)의해 완전한 결합은 방지되지만 이때도 입출력모듈내부의 IC칩을 보호하기 위해 상술한 순서로 결합 및 이탈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보조핀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이탈되는 입출력모듈(30)의 모듈컨넥터(31)에 의하여 상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이탈되기 때문에 전기적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듈컨넥터(31)가 베이스컨넥터(20)로부터 이탈되면 입출력모듈(30)이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즉, 컨넥터끼리의 결합상태에서 해제된 입출력모듈(30)은 하측의 걸림돌기(32)를 안착홈(12)에서 이탈시키게 되면 입출력모듈(30)은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된다.
입출력모듈(30)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서 이탈된 후에는 상기의 입출력모듈(30)의 IC칩을 교환한 후 다시 베이스플레이트(10)에 삽입시키게 된다. 또는 다른 IC칩이 내장된 입출력모듈(30)을 베이스플레이트(10)에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의 입출력모듈(30)을 베이스플레이트(10)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상기에서 서술한 과정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컨넥터의 배열과 안착부에 의하여 전체 시스템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입출력모듈(30)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PLC 시스템 전체를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입출력모듈을 교체할 수 있게 되고,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입출력모듈이 오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입출력모듈(30)의 모듈컨넥터(31)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되도록 하는 PLC 입출력 모듈의 탈부착장치에 있어서,
    입출력모듈(30)의 하측에 걸림돌기(32)를 구비하고, 그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측에는 걸림돌기(32)에 대응되는 안착부(11)를 형성하며, 그 안착부(11)에는 내측에 걸림돌기(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12)을 구성하고, 걸림돌기(32)를 안착홈(12)에 삽입시킨 후 입출력모듈(30)의 모듈컨넥터(31) 하측부터 베이스컨넥터(20)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PLC 입출력 모듈의 탈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컨넥터(20)는 하측에서부터 접지연결부(21)와 전원연결부(22) 및 다수의 신호부들(23)(24)(25)(26)(27)을 하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그 신호부(23)(24)(25)(26)(27)의 상부에 전원연결부(28)와 접지연결부(29)를 순차적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PLC 입출력 모듈의 탈부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모듈컨넥터(31)는 베이스컨넥터(20)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PLC 입출력 모듈의 탈부착장치.
KR2019980001523U 1998-02-10 1998-02-10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 KR200183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523U KR200183069Y1 (ko) 1998-02-10 1998-02-10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523U KR200183069Y1 (ko) 1998-02-10 1998-02-10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37U KR19990035837U (ko) 1999-09-15
KR200183069Y1 true KR200183069Y1 (ko) 2000-06-01

Family

ID=1953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523U KR200183069Y1 (ko) 1998-02-10 1998-02-10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0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37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40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ve insertion and removal of electronic sub-assemblies
EP0436891B1 (en) Electronic keying of multi-board systems
US4800462A (en) Electrical keying for replaceable modules
CA2225972C (en) Power supply system
US5513373A (en) Apparatus using three light emitting diodes (LEDs) and a transistor for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overtermination undertermination, or power termination of peripheral devices
US5832049A (en) Electric circuit for selectively processing electrical signals
KR200183069Y1 (ko) Plc 입출력모듈의 탈부착장치
US6912678B1 (en) System for identifying valid connections between electrical system components and responding to invalid connections
CN1639579B (zh) 带有基板异常检测电路的装置
JP2007187448A (ja) 電子回路基板の接続確認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6483317B1 (en) System for identifying valid connections between electrical system components and responding to invalid connections
US6801973B2 (en) Hot swap circuit module
KR19990006984A (ko) 블라인드 오토도크의 전기접속 장치 및 방법
EP0503967B1 (en) High density modular power switch drivers
JP3423891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20070108299A1 (en) Electrical device with stored data
JPS6250999B2 (ko)
CN217158694U (zh) 电路板装置和插接检测电路
CN110429577B (zh) 防错插电源、防错插负载及可插拔电源防错插系统
JP5061860B2 (ja) 実装回路及び半導体試験装置
KR100459208B1 (ko) 디지털 출력보드의 릴레이 동작상태 귀환회로
CN114628925A (zh) 电路板装置和插接检测电路
KR200226049Y1 (ko) 시스템 회로보드의 실탈장 보호 장치
JPH0325588A (ja) 電子回路モジュール
Di Cosmo et al. A Modular Optical Firing Interface for CERN’s Generic Power Converter Control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