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954Y1 -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954Y1
KR200182954Y1 KR2019990027890U KR19990027890U KR200182954Y1 KR 200182954 Y1 KR200182954 Y1 KR 200182954Y1 KR 2019990027890 U KR2019990027890 U KR 2019990027890U KR 19990027890 U KR19990027890 U KR 19990027890U KR 200182954 Y1 KR200182954 Y1 KR 200182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decorative member
member support
support ca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봉
Original Assignee
성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봉 filed Critical 성기봉
Priority to KR2019990027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9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부재받침캡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삽입되는 핀의 스템둘레에 고정노치를 형성하여 상기 핀을 장식부재받침캡의 구멍에 삽입시켜 핀의헤드를 타격함으로서 그 타격력이 장식부재받침캡의 구멍 주위에 전달되어 이 구멍주위에 소성변형이 일어남으로서 구멍의 내경이 줄어들면서 스템에 형성된 고정노치에 밀착되어 핀이 장식부재받침캡에 단단히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조립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귀고리를 구성하는 장식부재받침캡에 핀을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핀의 헤드와 이어지는 스템부위에 고정노치를 형성하고,이 핀을 장식부재받침캡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장식부재받침캡의 구멍 주위를 소성변형시켜 구멍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에 의하여 구멍 주위가 고정노치에 밀착되어 장식부재받침캡에 핀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EARRING PIN MOUNTING STRUCTURE}
본 고안은 귀고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고리를 구성하는 핀을 장식부재받침캡에 빠지지 않고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고리(귀걸이)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는 바, 하나는 귓불에 구멍이 뚫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와, 다른 하나는 귓불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만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로 대별되는 바,본 고안은 후자의 경우와 같이 귓불에 뚫린 구멍을 통해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에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귓불에 뚫린 구멍을 통해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의 예를 도시한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귀고리(50)는 장식부재(52)(예를 들어, 금속장신구, 큐빅,사파이어, 루비, 진주 등 각종 보석(인조보석포함)류)와;
상기 장식부재(52)의 외형형상 및 크기에 따라 외관이 형성되어 장식부재(52)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장식부재받침캡(54)과;
상기 장식부재받침캡(54)과 연결 고정되어 귓불의 뚫린 구멍에 끼움되는 핀(56)과;
상기 핀(56)에 끼워져 핀(56)이 귓불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클러치(58)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장식부재받침캡(54)은 반원형상을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식부재(52)의 외형형상 및 크기에 따라 또는 자체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귀고리(5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장식부재받침캡(54)에 핀(56)을 연결하여 일체화시킨 다음 장식부재받침캡(54)에 장식부재(52)를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으로 부착시키고 클러치(58)를 핀(56)에 끼움하여 완성된다.
상기 귀고리(50)를 귓불에 부착시에는 먼저 클러치(58)를 핀(56)에서 빼낸다음 핀(56)을 귓불의 뚫린 구멍에 끼움하고 클러치(58)를 다시 핀(56)에 끼움하면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장식부재받침캡에 핀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핀(56)은 헤드(56a)와 귓불 구멍에 끼움하여 클러치(58)가 고정되는 스템(stem)(56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헤드(56a)를 장식부재받침캡(54)의 저면에 위치시켜 납땜용접 또는 스폿용접으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부호 56c는 핀(56)의 스템(56b)에 형성된 스톱노치로서, 스템(56b)에 끼움된 클러치(58)가 탄성적으로 걸려 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은 한다. 이와 같은 스톱노치(56c)는 클러치(58)의 형태(예로 신축성이 있는 클러치)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핀(56)은 통상 전조가공(轉造加工)을 하여 헤드(56a) 및 스톱노치(56c)가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용접수단으로 핀(56)을 장식부재받침캡(54)에 고정하는 종래의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첫째, 핀(56)의 스템(56b) 직경이 약 0.7mm 내외이고, 헤드(56a)의 직경이 약 1.5mm 내외로써 매우 작은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작은 핀(56)을 장식부재받침캡(54)에 용접작업을 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이는 액세서리 조립업체에서 제품생산비중 소재비보다 인건비(조립생산가공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보다 많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크게 상승시키게 되고, 아울러 용접에 따른 조립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둘째, 핀(56)을 장식부재받침캡(54)에 용접시 핀(56)이 작기 때문에 장식부재받침캡(54)의 하부 중앙의 위치에 정확하게 용접이 어려워 반듯하지 못하고, 삐뚤어지게 용접되는 문제와 함께 그에 따른 용접불량율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 또다른 핀과 장식부재받침캡의 고정구조를 예시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받침캡(54)의 중앙에 구멍(54a)을 천공하는 바,이때 구멍(54a) 천공시 생기는 버(burr)를 통해 핀(56)의 스템(56b)을 억지끼움하여 헤드(56a)가 구멍(54a)에 걸림되어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멍(54a)의 주위에 형성되는 버(burr)를 통해 핀(56)을 장식부재받침캡(54)에 고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조립이 매우 간단히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구멍(54a)의 주위에 생긴 버(burr)에만 의존하여 핀(56)의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귀고리(50)의 사용에 따라 최초의 고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아 핀(56)이 장식부재받침캡(54)에서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더욱이 구멍(54a)의 가공시 그 주위에 버(burr)가 잘 생기지 않을 경우에는 핀(56)의 고정력 자체가 상실되어 조립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종래 또다른 핀과 장식부재받침캡의 고정구조를 예시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도 3의 종래 기술을 개량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받침캡(54)에 구멍(54a)을 형성하여 핀(56)을 구멍(54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펀치 등을 이용하여 스템(56b)에 자국을 냄으로써 생겨난 융기부(56d)에 의하여 핀(56)이 장식부재받침캡(54)에서 빠지지 않게 한 것이다. 도면부호 56e는 헤드(56a)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장식부재(52)가 장식부재받침캡(54)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게하는 안내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다른 종래 기술에 비하여 핀(56)이 장식부재받침캡(54)에서 확실하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작은 직경을 갖는 스템(56b)에 융기부(56d)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 조립비용을 크게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장식부재받침캡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삽입되는 핀의 스템둘레에 고정노치(fixed notch)를 형성하여 상기 핀을 장식부재받침캡의 구멍에 삽입시켜 핀의 헤드를 타격함으로서 그 타격력이 장식부재받침캡의 구멍 주위에 전달되어이 구멍 주위에 소성변형이 일어남으로서 구멍의 내경이 줄어들면서 스템에 형성된고정노치에 밀착되어 핀이 장식부재받침캡에 단단히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조립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귀고리의 핀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귀고리를 구성하는 장식부재받침캡에 핀을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핀의 헤드와 이어지는 스템부위에 고정노치를 형성하고, 이 핀을 장식부재받침캡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장식부재받침캡의 구멍 주위를 소성변형시켜 구멍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에 의하여 구멍 주위가 고정노치에 밀착되어 장식부재받침캡에 핀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의 스템에 형성되는 고정노치는 장식부재받침캡의 두께에 따라 2개가 연이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받침캡의 재질은 핀의 헤드를 타격시 핀에 의해 소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핀의 재질에 비하여 연성이 좋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종래 귀고리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핀과 장식부재받침캡의 고정구조를 예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또다른 핀과 장식부재받침캡의 고정구조를 예시한 정면도.
도 4는 종래 또다른 핀과 장식부재받침캡의 고정구조를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핀의 정면도.
도 6a, 도 6b는 본 고안의 핀과 장식부재받침캡의 고정구조를 예시한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 예를 나타낸 핀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귀고리 52 : 장식부재
54 : 장식부재받침캡 54a : 구멍
56 : 핀 56a : 헤드
56b : 스템(stem) 56f : 고정노치(fixed notch)
58 : 클러치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핀의 정면도이고, 도 6a, 도 6b는 본 고안의 핀과 장식부재받침캡의 고정구조를 예시한 작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 예를 나타낸 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핀(56)은 헤드(56a)의 저면과 이어지는스템(56b) 부위에 고정노치(56f)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노치(56f)는 헤드(56a)의 전조가공시 원주방향으로 함께 가공되고,이때 클러치(58)를 탄성적으로 걸림하는 스톱노치(56c)도 함께 가공되며, 이 스톱노치(56c)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러치(58)의 형태(예로 신축성이 있는 클러치)에 따라 가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장식부재받침캡(54)은 종래와 같이 중앙 하부에 구멍(54a)이 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핀(56)을 도 6a와 같이 장식부재받침캡(54)과 분리된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핀(56)의 스템(56b)을 장식부재받침캡(54)의 구멍(54a)에 삽입시킴으로서 핀(56)의 헤드(56a)에 의해 구멍(54a)에 걸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통상의 수동프레스 등의 전용기계를 이용하여 장식부재받침캡(54)을 받침한 상태에서 핀(56)의 헤드(56a)에 타격을 가하게 되면 그 타격력이 헤드(56a)를 통해 구멍(54a)의 주위에 전달됨으로써 구멍(54a)의 주위가 소성변형이 일어나 구멍(54a)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도 6b와 같이 구멍(54a)이 스템(56b)에 형성된 고정노치(56f)에 밀착되어 장식부재받침캡(54)에 핀(56)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핀(56)의 스템(56b)에 형성되는 고정노치(58f)는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장식부재받침캡(54)의 두께에 따라 2개가 연이어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식부재받침캡(54)에 핀(56)을 보다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식부재받침캡(54)의 재질은 핀(56)의 헤드(56a)를 타격시 핀(56)에 의해 소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핀(56)의 재질에 비하여 연성이 좋은 금속재로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핀(54)의 재질이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철재금속이면, 장식부재받침캡(54)은 황동재나 알루미늄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장식부재받침캡(54)이 반원형상을 하고 있으나,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장식부재받침캡(54)의 단면이 사각, 원판 등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장식부재(52)의 외형형상 및 크기에 따라 또는 자체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핀의 스템에 고정노치를 형성하여 이고정노치에 장식부재받침캡의 구멍이 소성변형에 의해 밀착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이증대되어 이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핀을 장식부재받침캡에 고정하는 것이 매우 간단히 이루어져 조립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액세서리 조립업체에서 제품생산비중 소재비보다 인건비(조립생산가공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을 감안할 때 제조원가가 크게 낮아지게 됨으로서 경쟁우위를 점할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귀고리를 구성하는 장식부재받침캡에 핀을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핀의 헤드와 이어지는 스템부위에 고정노치를 형성하고. 이 핀을 장식부재받침캡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장식부재받침캡의 구멍 주위를 소성변형시켜 구멍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에 의하여 구멍 주위가 고정노치에 밀착되어 장식부재받침캡에 핀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스템에 형성되는 고정노치는 장식부재받침캡의두께에 따라 2개가 연이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받침캡의 재질은 핀의 헤드를 타격시 핀에 의해 소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핀의 재질에 비하여 연성이 좋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KR2019990027890U 1999-12-10 1999-12-10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KR200182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890U KR200182954Y1 (ko) 1999-12-10 1999-12-10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890U KR200182954Y1 (ko) 1999-12-10 1999-12-10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954Y1 true KR200182954Y1 (ko) 2000-05-15

Family

ID=1960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890U KR200182954Y1 (ko) 1999-12-10 1999-12-10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9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211B1 (ko) 2007-03-09 2008-03-06 이조원 귀고리 핀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211B1 (ko) 2007-03-09 2008-03-06 이조원 귀고리 핀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8883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5974831A (en) Jewel holding device
KR200182954Y1 (ko) 귀고리의 핀 고정구조
US20020152590A1 (en) Magnetic buckle structure
US20050044890A1 (en) Gemstone mount assemblies, jewelry piec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5655300A (en) Method of making stampato jewelry
KR100645101B1 (ko) 꼭지 단추
US2772472A (en) Attachment of pin stem finding to an ornament
JP4401811B2 (ja) 装飾ボタン
US5257513A (en) Ball earring process and construction
JP7378862B1 (ja) ピアスポスト、ピアスおよびピアスポストの取り付け方法
US5479798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locket-halves
EP0845226B1 (en) Jewelry holding device
JP2895029B2 (ja) 鍛造・圧造用工具
US20020067665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screwed crown on a watch case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JP3018033U (ja) 真珠の連結構造体
JPH10323207A (ja) 耳飾り
KR200368816Y1 (ko) 금속제 스냅패스너용 아일렛
KR200388059Y1 (ko) 악세사리의 펜던트 고정구
JPH10323209A (ja) 金属装飾用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106627A (ja) ボルトの座金取付方法
JP3033358U (ja) ピアス式イヤリング
KR200274846Y1 (ko) 악세서리용 귀걸이
JPH09182608A (ja) ピアスイヤ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