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389Y1 - 압력솥 - Google Patents

압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389Y1
KR200182389Y1 KR2019990029429U KR19990029429U KR200182389Y1 KR 200182389 Y1 KR200182389 Y1 KR 200182389Y1 KR 2019990029429 U KR2019990029429 U KR 2019990029429U KR 19990029429 U KR19990029429 U KR 19990029429U KR 200182389 Y1 KR200182389 Y1 KR 200182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essure vessel
pressure
hea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두
Original Assignee
이봉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두 filed Critical 이봉두
Priority to KR2019990029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3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압력솥에 관한 본 고안은,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여 내부공간에 열을 제공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케이스내에 장착되어 케이스로부터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에 씌워져 압력용기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압력솥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발열수단이 내장된 케이스에 압력용기를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어,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케이스에 압력용기를 설치하고 케이스로 하여금 압력용기를 가열하도록 하여 통상의 전기압력솥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압력용기를 꺼내어 압력용기를 가스렌지나 석유곤로등의 버너에 직접 올려 조리를 할 수 도 있어 특히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옥외의 장소나 정전등의 사고로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옥외나 옥내의 구분없이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솥{Pressure cooker}
본 고안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압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식으로 사용할 수 도 있고, 또한 가스렌지나 석유곤로 연탄 등과 같은 가열수단에 직접 올려 사용할 수 도 있는 압력솥에 관한 것이다.
가마솥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밥을 지을 때에 솥 내부의 압력을 높게 조절하면 밥맛이 좋아진다. 이러한 원리를 응용한 압력솥은 이미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압력솥은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압력솥이나 가스렌지나 석유곤로 또는 연탄 등과 같은 가열수단에 솥 자체를 직접 올려 사용하도록된 비전기식 압력솥이 있는데, 근래에 가정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압력솥은 간단히 전기플러그만 끼우면 되는 전기압력솥이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전기압력솥은 통칭 마이콤(micom)에 의해 제어되어 예약된 시간과 설정된 온도에 따라 다양한 메뉴를 조리할 수 있다는 기능과 편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같은 전기압력솥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존하여 작동하므로 비상시 전기가 정전되거나 또는 전기시설이 되어 있지 않은 옥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비전기식 압력솥은 단순한 압력만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압력조건과 가열시간을 요구하는 여러 가지 상이한 메뉴를 조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으며, 아울러 조리시 솥자체가 매우 뜨거운 상태가 되므로 부주의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발열수단이 내장된 케이스에 압력용기를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케이스에 압력용기를 설치하고 케이스로 하여금 압력용기를 가열하도록 하여 전기압력솥 처럼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옥외의 장소나 정전등의 사고로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로부터 압력용기를 꺼내어 가스렌지와 같은 버너에 직접 올려 조리를 할 수 도 있어, 옥외나 옥내의 구분없이 상황에 대응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력솥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의 하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의 록크기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케이스 13:전기선
15:압력용기 17:뚜껑
19:손잡이 21:암나사
23:수나사 25:패킹
27:증기배출공 29:추
31:마이콤 33:록크기구
35:패킹지지턱 37:가이드돌기
39:지지부재 41:가스렌지
43:장착돌기 45:조작버튼
47:디스플레이패널 49:돌기
51:불 53:가이드홈
55:가이드레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여 내부공간에 열을 제공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케이스내에 장착되어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에 씌워져 압력용기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용기의 상단 테두리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뚜껑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와 수나사의 결합에 의해 압력용기의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압력용기를 케이스내부로 가압지지하는 록크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의 구성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은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여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원통형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1)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압력용기(15)와, 상기 압력용기(15)의 상부에 결합하여 압력용기(15)를 밀폐하는 뚜껑(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전기선(13)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공지의 발열수단(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열수단은 니크롬선이나 기타 전기에 의해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케이스(11)의 내벽면으로 열을 전달하여 설치된 압력용기(15)를 가열한다.
상기 케이스(11)의 외측면에는 통상의 전기압력솥에서와 같은 마이콤(31)이 설치된다. 상기 마이콤(31)은 케이스(11)가 제공하는 열의 온도와 가열시간등을 조절하는 콘트롤러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대로 케이스(11)의 가열조건을 제어한다. 상기 마이콤(3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조작버튼(도 2의 45) 및 디스플레이패널(도 2의 4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두 개의 록크(lock)기구(33)가 구비된다. 상기 록크기구(33)는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된 압력용기(15)의 상부 테두리부를 하부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압력용기(15)가 케이스(11)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록크기구(33)는 케이스(11) 테두리부의 반대편에 각각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록크기구(33)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1)내에 설치되는 압력용기(15)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여 케이스(11)의 내벽면 및 바닥면과 접한다. 상기 압력용기(15)는 내부에 쌀이나 기타 조리할 음식재료를 넣어 조리하는 솥으로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케이스(11)의 내벽면 및 바닥면과 접하여 케이스(11)의 가열수단(미도시)에 의해 열을 전달받아 가열된다.
상기 압력용기(15)의 상부 테두리부 내주면에는 암나사(21) 및 패킹지지턱(35)이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21)는 후술할 뚜껑(17)의 수나사(23)와 나사결합하여 압력용기(15)가 밀폐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킹지지턱(35)은 암나사(21)의 하측부에 형성한 일정높이의 돌기부로서 압력용기(15)의 테두리부 내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킹지지턱(35)은 압력용기(15)에 뚜껑(17)이 결합할 때에 뚜껑(17)에 구비되는 패킹(25)을 가압하여 압력용기(15)를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압력용기(15)는 케이스(11)내부에 설치가 자유로운 것처럼 분리도 자유롭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압력용기(15)를 케이스(11)내에 설치하여 통상의 전기 압력솥과 같이 사용하거나, 또는 압력용기(15)를 케이스(11)로부터 빼내어 압력용기(15)만을 하나의 압력솥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압력용기(15)의 상부에 결합하여 밀폐를 이루는 뚜껑(17)의 외주면에는 수나사(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23)는 압력용기(15)의 암나사(21)와 나사결합하여 압력용기(15)가 밀폐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뚜껑(17)의 저면에는 패킹(25)이 구비된다. 상기 패킹(25)을 장착하기 위하여 뚜껑(17)의 내주면에는 장착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돌기(43)는 뚜껑(17)과 일체로 형성되며 뚜껑(17)의 내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킹지지턱(35)과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 수나사(23)와 암나사(21)를 결합하면 장착돌기(43)는 패킹(25)을 사이에 두고 패킹지지턱(35)을 가압하게 되어 내부압력이 외부로 빠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패킹(25)은 장착돌기(43)에 끼워져 뚜껑(17) 하부에 지지되는 링(ring) 형상의 패킹부재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홈이 장착돌기(43)를 수용하여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패킹(25)은 고무나 테프론을 포함하는 공지의 일반적인 패킹부재의 재질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장착돌기(43)가 패킹지지턱(35)에 대응하며, 또한 장착돌기(43)에는 패킹(25)이 끼워져 있으므로, 압력용기(15)에 뚜껑(17)을 결합하면 패킹(25)이 장착돌기(43)와 패킹지지턱(35)사이에 개재되어 압축되므로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뚜껑(17)의 상부에는 손잡이(19)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19)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ㄷ'자의 형태를 취하는 손잡이를 적용하였다. 손잡이(19)가 상기한 형상을 취하므로 손바닥으로 손잡이(19)를 파지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뚜껑(17)에 압력용기(15)가 결합한 상태로 압력용기(15)에 무거운 내용물이 들어있다 하더라도 손잡이(19)를 쉽게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19)는 압력솥이 뜨거울 때에도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예를들어 주전자의 손잡이와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플라스틱이 감겨있다.
상기 뚜껑(17)에는 통상의 증기배출공(27)과 추(weight,29)가 더 구비된다. 상기 증기배출공(27)은 압력용기(15)내부의 비정상적인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여, 내부압력이 허용압력보다 높게 올라가는 경우 내부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안전장치이다. 또한 상기 추(29)는 압력용기(15)의 내부압력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흔들리며 증기를 배출하는 것으로, 상기 증기배출공(27)과 추(29)는 공지의 압력밥솥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의 하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기식으로 사용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고안의 압력솥을 전기식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압력용기(15)를 케이스(11)내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1)에는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기선(13)이 연결되어 있으며, 외측면에는 통상의 마이콤(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이콤(31)의 전면에는 다수의 조작버튼(45)과 디스플레이패널(4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작버튼(45)은 각종 메뉴키와 시간 조절버튼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패널(47)에는 현재 압력용기(15)내의 조리시간이나 남은 시간등이 표시된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압력용기(15)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케이스(11)의 내벽면은 압력용기(15)의 외측면과 접하므로, 케이스(11)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압력용기(15)로 전도되어 압력용기(15)를 가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1)내에 설치되는 압력용기(15)의 높이는 케이스(11)의 측벽의 높이와 같다. 따라서, 케이스(11)내에 압력용기(15)가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스(11)의 테두리부와 압력용기(15)의 테두리부는 같은 높이로서 수평을 제공한다. 이와같이 케이스(11)와 압력용기(15)의 높이를 같게 함은 압력용기(15)를 케이스(11)의 내부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그러나 압력용기(15)를 케이스(11)내에 가압 지지시키기 위해서 상기와 같이 압력용기(15)와 케이스(11)의 상부 테두리부의 높이가 같을 필요는 없다. 즉, 적용되는 지지수단의 구성 및 작동의 차이에 의해 케이스(11)와 압력용기(15)의 높이는 같지 않을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1)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록크기구(33)가 구비된다. 상기 록크기구(33)는 케이스(11)에 대해 반지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하는 지지부재(39)를 구비한다. 따라서 케이스(11)내에 압력용기(15)가 안착된 상태로, 지지부재(39)를 압력용기(15)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압력용기(15)의 상부 테두리부는 지지부재(39)에 의해 지지되며 케이스(11)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1)내에 설치된 압력용기(15)의 상부에는 뚜껑(17)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압력용기(15)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1)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17)의 외주면에는 수나사(2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암나사(21)와 수나사(23)의 결합에 의해 압력용기(15)의 밀폐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뚜껑(17)과 압력용기(15)의 사이에 개재된 패킹(25)에 의해 압력용기(15)의 밀폐가 이루어짐은 상기한 바와같다.
결국 본 고안의 압력솥을 전기식으로 사용하고자 하면, 압력용기(15)에 조리할 재료를 넣고 뚜껑(17)을 돌려 압력용기(15)를 밀폐시킨다. 이어서 손잡이(19)를 잡아 들어올려 압력용기(15)를 케이스(11)내에 설치하고 록크기구(33)를 채운다. 이 상태로 케이스(11)에 전기를 인가하고 필요한 조리조건을 마이콤(31)을 통해 입력하여 통상의 전기식 압력솥과 같이 사용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의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에 마련한 록크기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11)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록크기구(33)가 구비된다. 상기 록크기구(33)는 케이스(11)의 테두리부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7)와 상기 가이드돌기(37)에 의해 가이드되며 반지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하는 지지부재(39)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돌기(37)는 일정높이를 갖는 돌기로서, 중앙부는 절제되어 내부에 지지부재(39)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공간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37)의 마주하는 대향면에는 수평의 가이드홈(5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 되도록 상기 지지부재(39)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레일(5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53)내에서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9)의 상면에는 돌기(4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49)는 사용자가 손으로 지지부재(39)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 위치조절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록크기구(33)는 케이스(11)에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록크기구를 케이스 상부 테두리부의 반대편에 각각 설치함이 바람직스럽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을 전기에너지 대신에 가스렌지등의 불에 직접 올려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압력용기(15)가 뚜껑(17)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가스렌지(41)에 올려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종래에 사용되는 비전기식 압력솥에서의 경우와 같이, 압력용기(15)내에 조리할 재료를 넣고 뚜껑(17)을 닫아 밀폐한 상태로 불(51)에 압력용기(15)를 직접 올려 조리를 하는 것과 같다.
이는 전기시설이 없는 장소나 기타 여러 이유로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적당한 사용예이다.
도 2에서는 압력용기(15)를 케이스(11)에 장착하여 전기에너지로 압력용기를 가열하는 것인데, 도 4에서는 케이스(11)로부터 압력용기(15)를 빼내어 가스렌지의 불(51)에 직접 올려 조리를 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의 압력솥은 전기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가스렌지등의 불 위에 직접 올려 비전기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져, 실내에서는 물론 전기시설이 없는 옥외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압력솥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발열수단이 내장된 케이스에 압력용기를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어,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케이스에 압력용기를 설치하고 케이스로 하여금 압력용기를 가열하도록 하여 통상의 전기압력솥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압력용기를 꺼내어 압력용기를 가스렌지나 석유곤로등의 버너에 직접 올려 조리를 할 수 도 있어 특히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옥외의 장소나 정전등의 사고로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옥외나 옥내의 구분없이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여 내부공간에 열을 제공하는 원통형 케이스와(11);
    상기 케이스(11)내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케이스(11)내에 장착되어 케이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압력용기(15)와;
    상기 압력용기(15)에 씌워져 압력용기를 밀폐하는 뚜껑(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15)의 상단 테두리부 내주면에는 암나사(21)가 형성되며 뚜껑(17)의 외주면에는 수나사(23)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21)와 수나사(23)의 결합에 의해 압력용기의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압력용기(15)를 케이스(11)내부로 가압지지하는 록크기구(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KR2019990029429U 1999-12-23 1999-12-23 압력솥 KR200182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429U KR200182389Y1 (ko) 1999-12-23 1999-12-23 압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429U KR200182389Y1 (ko) 1999-12-23 1999-12-23 압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389Y1 true KR200182389Y1 (ko) 2000-05-15

Family

ID=1960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429U KR200182389Y1 (ko) 1999-12-23 1999-12-23 압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3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006U (ko) * 2013-06-24 2015-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장비 테스트용 압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006U (ko) * 2013-06-24 2015-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장비 테스트용 압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KR200484764Y1 (ko) * 2013-06-24 2017-10-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298B1 (ko) 증기 발생기를 갖는 레인지
KR200182389Y1 (ko) 압력솥
KR101725975B1 (ko) 발열팩을 이용하는 야외용 조리기구
JPH06221564A (ja) 調理用自動加熱装置
GB2263764A (en) A pizza oven
KR101825876B1 (ko) 무선 전기 용기를 구비한 전기레인지
KR101754358B1 (ko) 휴대용 전기 조리기기
KR200238000Y1 (ko) 전기 레인지
CN105877526A (zh) 带有便于操控的电气组件的烧煮设备
CN208610631U (zh) 一种煮饭防焦黑装置
CN212691867U (zh) 一种陶瓷外壳触摸按键式电陶炉
CN213248296U (zh) 家用电加热器具
JPH08312964A (ja) 卓上こんろ
CN217274315U (zh) 灶具
KR100985257B1 (ko) 가열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08716B1 (ko) 가스레인지 사용 시 조리물 조림 방지 방법
CN213841027U (zh) 具有多功能控制旋钮的灶具
CN201308385Y (zh) 一种多用锅
RU182518U1 (ru) Электроплитка настольная 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оддержкой установленной температуры заданное количество времени
US3487198A (en) Electric oven type egg cooker
CN2169794Y (zh) 高效节能自控灶
RU171920U1 (ru) Варочная панель
JPH0224011Y2 (ko)
KR101008039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2271858Y (zh) 多能源节能饭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