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871Y1 -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871Y1
KR200181871Y1 KR2019990026940U KR19990026940U KR200181871Y1 KR 200181871 Y1 KR200181871 Y1 KR 200181871Y1 KR 2019990026940 U KR2019990026940 U KR 2019990026940U KR 19990026940 U KR19990026940 U KR 19990026940U KR 200181871 Y1 KR200181871 Y1 KR 200181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river
prostate
cushion
a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병기
Original Assignee
지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병기 filed Critical 지병기
Priority to KR2019990026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8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장기간 의자 생활을 요하는 사무 종사자나 자동차 운전자들의 항문과 전립선 부위에 땀이 차이지 않게 하는 의자 또는 운전석의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의자 좌판이나 자동차 운전석에 통풍장치가 된 방석이나 좌판이 있기는 하였으나, 이에는 좌석자의 전립선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완하시키는 완충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의자나 운전석에 장시간 앉아서 종사하거나 운전을 하면 좌석자의 항문과 전립선 부위가 압박을 받음과 동시 땀이 차서 치질과 전립선 질환을 유발케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폐단을 방지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의자나 자동차 운전석 좌판(3)의 중심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공실(5)을 절결 형성하되 이의 주벽에는 걸림턱(6')이 있는 끼움부(6)를 형성하여 다수의 통기공(7')이 있는 쿠션성이 양호한 통기방석(7)을 끼움 안치하고 공실(5)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횡간에는 DC전원과 연결된 휀(8)을 설치하여 좌석자가 좌판(3)에 앉으면 통기방석(7)은 쿠션이 양호하여 좌석자의 항문과 전립선 부위를 압박하지 않아 편안감이 있고 휀(8)에 전원을 인가(ON)시켜 휀(8)을 가동시키면 휀(8)에서 발생된 바람이 전기한 통기방석(7)의 통기공(7')을 통해 배출되면서 좌석자의 항문과 전립선 부위를 통풍시켜 이 부위에 땀이 차거나 나쁜 공기가 고이므로해서 생기는 제반 질환유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FOR MOTOR DRIVER S SEAT AIRDRAFT SYSTEM}
본 고안은 주로 장기 좌석을 요하는 사무 종사자의 의자나 자동차 운전자들의 자석의 통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사무 종사자들의 의자나 자동차 운전석에 통풍장치가 된 방석이나 좌판이 있기는 하였으나, 이에는 좌석의 항문이나 전립선 부위의 압박을 완충하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좌석에 앉아서 오랜 시간 집무하거나 운전을 하게 되면 좌석자의 항문이나 전립선(前立腺)부위가 압박을 받음과 동시 땀이 차서 그 결과 치질이나 전립선 질환을 유발케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장기 좌석을 하는 사무 종사자의 의자나 자동차 운전석의 좌판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공실을 형성하되 이의 공실 주벽에는 걸림턱이 있는 끼움부를 형성하여 통기공이 있는 쿠션성이 양호한 통기방석을 끼움 안치할 수 있게 하고 전기한 공실의 하방에 설치된 지지횡간에는 D.C전원과 연결된 휀을 설치하여 이 휀에서 발생된 바람이 전기한 통기방석의 통기공을 통해 배출되면서 좌석자의 항분부위와 전립선 부위에 차여 있는 땀이나 고여있는 나쁜 공기를 환풍 건조시켜 이 부분에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단면도제 3 도는 본 고안의 별도실시예의 사시도제 4 도는 제3도의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지간 1'-지지횡간 2-좌대간 2'-등판간
3-좌판 4-등판 4'-끼움부 4'-트임부
5,105-공실 6-끼움부 6'-걸림턱 7,107-통기방석
7'-통기공 8-휀 9-끼움구 9'-흡기부10-통기등판 10'-통기공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의자나 자동차 운전석 지지간(1)의 상면에 형성된 좌대간(2)에는 좌판(3)이 안치 고정되고 지지간(1)의 후측에 연결된 등판간(2')에는 등판(4)이 부착된 것에 있어서 좌판(3)의 중심부에 서 후방으로 향하여 'T'형상의 공실(5)을 형성하고 이의 주벽에는 걸림턱(6')이 있는 끼움부(6)를 형성하여 이에 다수의 통기공(7')을 뚫어서 쿠션성을 양호하게 한 통기방석(7)이 끼움 안치되고 공실(5) 하부에 위치된 지지횡간(1')에는 DC전원과 연결된 휀(8)이 설치되어진 것이다.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의 별도 실시예도로서 좌판(3)의 'T'형상의 공실(105) 주벽에 형성된 걸림턱(6')에 비교적 두께가 얇은 통기방석(107)이 끼움 안치되면서 상부 공실(105')이 형성되게하고, 등판(4)의 중간부에 끼움공(4')과 터임부(4')를 형성하여 끼움공(4')에는 흡기부(9')와 휀(8)이 있는 끼움구(9)가 끼움되고, 터임부(4')에는 다수의 통기공(10')이 있는 통기 등판(10)이 끼움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로 장시간 좌석이 요구되는 사무 종사자의 의자나 자동차 운전석 좌판의 통풍장치인 바 사용자가 좌판(3)에 앉으면 좌판(3)에 형성된 'T'형상으로 된 통기방석(7) 부분은 좌석자의 전립선과 항문에 접하게 되나 이 부분에는 좌판(3)의 재질보다 연질로 되어있고, 이에는 다수의 통기공(7')이 형성되어지면서 쿠션성을 양호하게 하였기 때문에 전립선이나 항문에는 압박감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휀(8)에 DC전원을 인가(ON)시키면 휀(8)이 회동되면서 여기에서 발생된 바람은 끼움부(6)의 걸림턱(6')에 끼움 안치된 통기방석(7)의 통기공(7')을 통해 배출되면서 이 통기방석(7) 상면에 좌석한 좌석자의 항문부위와 전립선 부위를 통풍 건조시켜 주기 때문에 이 부위에 땀이 차거나 악취가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3도 별도 실시예와 같이 통기방석(107)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하여 상부 공실(105)을 형성 할 경우에는 좌석자의 엉덩이의 하중이 좌판(3)에 가해질 경우에도 통기방석(107')에는 여유 공간이 생겨 좌석자의 항문이나 전립선 부위가 전혀 압박을 받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등판(4)의 중간부에 통기등판(10)을 설치하면 휀(8)에서 발생된 바람이 통기등판(10)에 형성된 통기공(10')을 통해 발산되면서 좌석자 등 부위를 시원하게 해준다.
따라서 사무종사자나 자동차 등의 운전자가 장시간 좌석에 앉아서 종사함으로 해서 항문이나 전립선 부위가 압박을 받거나 이 부위에 나쁜 공기와 땀이 차서 각종 질환을 유발케 하는 제발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좌판(3)에 절결 형성된 끼움부(6)와 이에 끼움 안치되는 통기방석(7)의 형상을 'T'형상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끼움부와 통기방석(7)의 형상 및 이의 통기공의 형상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대처 할 수도 있는 것이고, 또한 등판(4)에 터임부(4')와 끼움부(4')를 형성하여 휀(8)이 있는 끼움구(9)와 통기공(10')이 있는 통기등판(10)을 끼우면 등판까지 시원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의자나 자동차 운전석의 좌판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공실(5)을 절결하되 이의 주벽에는 걸림턱(6')이 있는 끼움부(6)를 형성하여 다수의 통기공(7')이 있는 쿠션성이 양호한 통기방석(7)이 끼움 안치하여 좌석자의 항문과 전립선 부위의 압박을 방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실(5)의 하부에는 휀(8)을 설치하여 이 휀(8)에서 발생된 바람이 전기한 통기방석(7)의 통기공(7')을 통해 좌석의 항문과 전립선 부위를 통풍시킬 수 있게 했기 때문에 좌석자들이 장시간 좌판에 앉아서 종사함으로 해서 발생되는 치질이나 전립선 등의 제반 질환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통상의 의자 또는 운전석 좌판(3)의 중심부에서 그 후방으로 공실(5)을 형성하고 공실(5)의 주벽에는 걸림턱(6')이 있는 끼움부(6)를 형성하여 다수의 통기공(7')이 있는 쿠션성이 양호한 통기방석(7)이 끼움 안치되고 공실(5)의 하부에는 DC전원과 연결된 휀(8)을 설치하여 이 휀(8)에서 생성된 바람이 전기한 통기방석(7)의 통기공(7')을 통해 배출되면서 좌석자의 항문과 전립선 부위를 통풍시키게 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운전석의 통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공실(5)의 주벽에 형성된 걸림턱(6')에 끼움 안치되는 통기방석(107)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하여 이 통기방석(107)이 걸림턱(6')에 안치되었을 때 상부 공실(105)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운전석의 통풍 장치.
  3. 등판(4)의 중간부에 끼움공(4') 과 트임부(4')를 형성하여 끼움공(4')에는 흡기부(9')와 휀(8)이 설치된 끼움구(9)가 끼움되고, 트임부(4')에는 다수의 통기공(10')이 있는 통기등판(10)이 끼움 되어진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
KR2019990026940U 1999-12-02 1999-12-02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 KR200181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940U KR200181871Y1 (ko) 1999-12-02 1999-12-02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940U KR200181871Y1 (ko) 1999-12-02 1999-12-02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871Y1 true KR200181871Y1 (ko) 2000-05-15

Family

ID=1959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940U KR200181871Y1 (ko) 1999-12-02 1999-12-02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8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61U (ko) * 2018-06-29 2020-01-08 손오현 에어 공급 수단이 구비된 방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61U (ko) * 2018-06-29 2020-01-08 손오현 에어 공급 수단이 구비된 방석
KR200494025Y1 (ko) * 2018-06-29 2021-07-16 손오현 에어 공급 수단이 구비된 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702B1 (ko) 자동차용 통풍시트
JP3786701B2 (ja) 車両の椅子に通気する装置
US6619737B2 (en) Seat module for a vehicle seat which can be actively ventilated
US5927817A (en) Ventilated vehicle seat assembly
US6247751B1 (en) Seat, especially a vehicle seat
JP2007520288A (ja) 車両シート
WO2005096891A1 (ja) 車両用シート
KR200181871Y1 (ko)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
CN106114319A (zh) 通风座椅及其座椅靠背
KR100798740B1 (ko) 통풍용 시트
KR102199811B1 (ko) 건강의자
KR100312524B1 (ko) 자동차 운전석의 통풍 장치
KR101244869B1 (ko) 차량용 통풍시트의 송풍덕트 구조
KR20090131686A (ko) 에어볼을 이용한 통풍 매트
KR102443223B1 (ko) 의자용 좌판
JPH0423690Y2 (ko)
KR100328546B1 (ko) 방석의 통풍 장치
CN210554344U (zh) 座垫及集成支撑结构
CN2431158Y (zh) 汽车通风座垫
CN2462774Y (zh) 电动凉气垫
KR200179555Y1 (ko) 방석의 통풍장치
JP2004097748A (ja) 吸引による座席の換気と乗り物用減圧吸引機
JPH1057201A (ja) 送風機能付自動車用シートカバー
KR200269183Y1 (ko) 통기공이 형성된 방석용 심재
CN2074587U (zh) 防暑通风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