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763Y1 -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763Y1
KR200181763Y1 KR2019960027399U KR19960027399U KR200181763Y1 KR 200181763 Y1 KR200181763 Y1 KR 200181763Y1 KR 2019960027399 U KR2019960027399 U KR 2019960027399U KR 19960027399 U KR19960027399 U KR 19960027399U KR 200181763 Y1 KR200181763 Y1 KR 200181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icrocomputer
water supply
control device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795U (ko
Inventor
박형남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27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3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물통에 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물받이의 배출구에 설치됨과 아울러 물받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시 저장하고 펌프의 동작에 의해 물을 제빙용기로 공급하는 수위감지실, 상기 수위감지실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자계를 걸면 전압이 발생하는 홀소자, 상기 홀소자의 상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위감지실로 물이 공급되면 상승하거나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하강하는 부구, 상기 부구의 저면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마이컴으로 물의 유무를 인가하는 자기감지수단,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물의 유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를 나타낸 내부구성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블럭도의 상세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를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부구 20 : 자성체
20 : 마이컴 30 : 모터구동수단
32 : 모터 40 : 자기감지수단
42 : 홀소자 50 : 표시수단
본 고안은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물통에 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자동제빙기는 얼음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냉동실에 설치되어 있는 제빙용기로 물탱크의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를 나타낸 내부구성도로서, 제빙용물을 급수 및 저장하는 물탱크(1)와, 밸브(2)와 급수구(3)의 돌기(4)를 통하여 나온 물을 재차 저장하는 물받이(5)와, 감지봉고정홀더(7)에 부착되어 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봉(6)과, 상기 물받이(5)의 물을 얼음으로 생성하는 제빙용기(9)로 급수하는 펌프(8)로 구성된다.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로서, 자동제빙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20)과, 감지봉(6)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마이컴(20)에 인가하여 물의 유무를 판단케 하는 전류감지수단(10)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에 의하여 펌프(8)를 구동시켜 급수를 수행하는 모터구동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는 먼저, 물이 채워진 물탱크(1)를 물받이(5) 위에 안치시키면 물받이(5) 상측의 돌기(4)에 급수구(3)의 밸브(2)가 개방되어 물탱크(1) 내부의 물이 물받이(5)로 유입된다.
이어, 소정시간 물받이(5)에 물이 유입되면 수면이 점차 상승하여 급수구(3)의 저면과 일치하게 되고 수압에 의하여 물의 유입이 일시 정지된다.
상기 물받이(5)의 물은 펌프(8)를 통하여 제빙용기(9)에 공급되면 따라서, 물받이(5)의 물이 감소하여 수면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급수구(3)의 개방된 밸브(2)를 통하여 재차 물이 유입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물받이(5)에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다.
상기 물의 유무의 판단에 있어서, 물받이(5)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어 감지봉(6)에 물이 접촉되어 있을 경우 감지봉(6) 사이에 전류가 도통됨으로 물이 있다고 판단하는 반면, 물받이(5)의 물이 모두 급수되어 감지봉(6) 사이에 물이 접촉되지 않을 경우 감지봉(6)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물이 없다고 판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류감지수단(10)의 감지봉(6)이 물과 접촉되어 있을 경우 상기 감지봉(6) 사이의 수분에 의하여 전류가 도통된다.
따라서, 전류감지수단(10)은 도통된 전류를 검출하여 마이컴(20)에 인가하고 이어 상기 마이컴(20)은 물받이(5)에 물이 있음을 판단하여 모터구동수단(30)의 모터를 동작시켜 펌프(8)의 펌핑 동작으로 물받이(5)의 물을 제방용기(9)로 급수시킨다.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물탱크(1) 내의 물이 모두 급수되어 물받이(5)에 저장된 물이 없을 경우 전류감지수단(10)의 감지봉(6)에는 물이 접촉되지 못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따라서, 이를 감지한 마이컴(20)은 물이 없음을 판단하여 모터구동수단(30)의 모터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는 상기 전류감지수단의 감지봉이 물에 직접 접촉됨으로서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 물질이 감지봉에 부착되어 전류의 도통을 방해하고 또, 감지봉고정홀더에 습기나 잔여 수분이 있을 경우 물이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기기를 오동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물통에 물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서 수분에 의한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정확한 물감지가 가능한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화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의 특징은,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 물받이 그리고 제빙용기로 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된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배출구에 설치됨과 아울러 물받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시 저장하고 펌프의 동작에 의해 물을 제빙용기로 공급하는 수위감지실, 상기 수위감지실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자계를 걸면 전압이 발생하는 홀소자, 상기 홀소자의 상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위감지실로 물이 공급되면 상승하거나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하강하는 부구, 상기 부구의 저면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마이컴으로 물의 유무를 인가하는 자기감지수단,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물의 유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블럭도의 상세회로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를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상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를 나타낸 내부구성도로서, 제빙용 물을 급수 및 저장하는 물탱크(1)와, 밸브(2)와 급수구(3)의 돌기(4)를 통하여 나온 물을 재차 저장하는 물받이(5)와, 물탱크(1)의 물을 저면에 홀소자(42)가 설치된 수위감지실(11)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급수관(14)과 부력에 의해 상기 수위감지실(11)을 따라 상하운동하는 부구(12)로 구성되며 상기 부구(12)의 저면에는 자력을 갖는 자성체(13)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5)의 물을 얼음으로 생성하는 제빙용기(9)로 급수하는 펌프(8)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로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의 구동제어에 따라 급수동작을 수행하는 모터구동수단(30)과, 급수관(14)내의 물의 부력과 홀소자(42)를 이용 물의 유무를 감지하여 마이컴(20)에 인가하는 자기감지수단(40)과, 물이 없을 경우 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0)으로 구성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블록도의 상세회로도로서, 마이컴(20)은 다수의 입출력단자들로 이루어진다.
모터구동수단(30)은 마이컴(20)의 출력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NV1)와, 이 인버터(INV1)에 의해 반전된 신호로 통전되는 릴레이(RY1)로 구성되어 상기 릴레이(RY1)의 통전에 따라 급수모터(32)에 의한 급수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급수관(14) 내의 물의 부력에 따른 부구(12)의 상하운동으로 자성체(13)가 접금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홀소자(42)를 이용 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마이컴(20)에 인가하는 자기감지수단(40)과, 물이 없을 경우 마이컴(20)의 출력신호를 반전입력하는 인버터(INV2)와 이 인버터(INV2)의 반전된 신호로 점등하는 발광소자(LED)로 이루어진 표시수단(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이 채워진 물탱크(1)를 물받이(5) 위에 안치시키면 물받이(5) 상측의 돌기(4)에 급수구(3)의 밸브(2)가 개방되어 물탱크(1)내부의 물이 물받이(5)로 유입되고 제빙이 시작되면 마이컴(20)은 동작개시신호로서의 고전위신호를 출력단자(PO1)를 통하여 모터구동수단(30)에 출력된다.
상기 모터구동수단(30)은 마이컴(20)으로부터 출력된 고전위신호를 입력받아 인버터(INV1)를 통하여 저전위신호로 반전시켜 릴레이(RY1)에 공급함으로서, 상측에 연결된 전원(VCC)에 의하여 전류가 도통됨으로서 상기 릴레이(RY1)가 동작된다.
따라서, 12V의 전원전압이 모터(32)에 공급되고 모터(32)가 구동되어 물받이(5)의 물이 펌프(8)를 통하여 제비용기(9)에 급수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32)가 구동되어 물이 급수되면 소정량의 물이 급수관(14)을 통하여 수위감지실(11)에 유입되어 저장되면 부구(12)는 부력에 의하여 수위감지실(11)을 따라 상승하는 반면, 물이 없이 급수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상기 부구(12)는 하강하여 부구(12) 저면의 자성체(13)가 홀소자(42)에 근접함으로서 자기력이 감지된다.
상기 홀소자(42)라 함은 홀효과를 응용하여 계측이나 연산을 하기 위한 소자로서, 막대모양 혹은 판자모양의 도체나 반도체에 전류를 흘리고 여기에 수직방향의 자계를 걸면 전류와 자계의 수직된 방향에 전류가 흐르고 전압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5)에 물이 있을 경우 모터(32) 회전시 수위감지실(11)로 급수가 이루어져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고 부구(12)가 상승하여 수위감지실(11) 저면의 홀소자(42)에는 자기력이 감지되지 못한다.
따라서, 홀소자(42)는 전압을 발생시키지 못하고 저전위를 마이컴(20)의 입력단자(PI1)에 입력한다.
그리고 마이컴(20)은 상기 저전위신호를 입력받아 물이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모터구동수단(30)의 모터(32) 및 자동제빙기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수행을 계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받이(5)에 물이 없을 경우 모터(32)가 회전하여도 수위감지실(11)로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부구(12)가 하강하여 상기 부구(12) 저면에 부착된 자성체(13)의 자기력을 수위감지실(11) 저면의 홀소자(42)에서 감지하게 되고 홀소자(42)는 전압을 발생시켜 고전위를 마이컴(20)의 입력단자(PI1)에 입력한다.
따라서, 마이컴(20)은 상기 고전위신호를 입력받아 물이 없는 상태로 판단하여 모터구동수단(30)의 모터(32) 및 자동제빙기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수행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출력단자(PO2)에 고전위를 출력시켜 표시수단(50)의 인버터(INV2)를 통하여 반전 입력시킴으로서 발광소자(LED)를 점등시켜 물이 없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구동수단(30)은 마이컴(20)의 출력단자(PO1)로 부터 출력되는 동작정지신호 즉, 저전위신호를 입력받아 인버터(INV1)를 통하여 릴레이(RY1)에 반전입력됨으로 고전압이 되어 릴레이(RY1)에 전류를 흐르지 못하게 하며 따라서, 전원(VCC)에 연결된 릴레이(RY1)가 오프되어 모터(32)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함으로서 모터가 정지되어 급수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물통에 물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서, 직접적으로 물에 접촉되어 물의 유무를 감지함으로 발생되는 수분에 의한 기기 오동작을 방지하여 정확한 물감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용지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

  1.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 물받이 그리고 제빙용기로 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된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배출구에 설치됨과 아울러 물받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시 저장하고 펌프의 동작에 의해 물을 제빙용기로 공급하는 수위감지실; 상기 수위감지실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자계를 걸면 전압이 발생하는 홀소자, 상기 홀소자의 상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위감지실로 물이 공급되면 상승하거나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하강하는 부구, 상기 부구의 저면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마이컴으로 물의 유무를 인가하는 자기감지수단;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물의 유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KR2019960027399U 1996-08-31 1996-08-31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KR200181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399U KR200181763Y1 (ko) 1996-08-31 1996-08-31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399U KR200181763Y1 (ko) 1996-08-31 1996-08-31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795U KR19980013795U (ko) 1998-06-05
KR200181763Y1 true KR200181763Y1 (ko) 2000-05-15

Family

ID=1946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399U KR200181763Y1 (ko) 1996-08-31 1996-08-31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6958A1 (en) * 2005-12-06 2007-06-14 Lg Electronics Inc.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745790B1 (ko) 2005-12-06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407003B1 (ko) 2013-01-22 2014-06-17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제빙기의 급배수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6958A1 (en) * 2005-12-06 2007-06-14 Lg Electronics Inc.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745790B1 (ko) 2005-12-06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407003B1 (ko) 2013-01-22 2014-06-17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제빙기의 급배수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795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7665A (ko)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US5147559A (en) Controlling cone of depression in a well by microprocessor control of modulating valve
US2488506A (en) Hydrostatic control for pumps
US5798028A (en) Production system of electrolyzed water
KR200181763Y1 (ko)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US4002552A (en) Liquid level control system
US4631375A (en) Delayed action liquid level sensing apparatus
US4329550A (en) Delayed action liquid level sensing apparatus
KR10026794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50282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floating immiscible liquids
KR19980013794U (ko)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US2763281A (en) Well pumping devices
US50209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no-load operation of a pump for a liquid supply system
JP2004298418A (ja) 抽出装置
JP3137098B2 (ja) 電気貯湯容器
JPH0611221A (ja) 自動製氷機
KR19980017666A (ko) 자동제빙기 급수제어장치
ES2007446A6 (es) Camara de presion para lavavajillas.
JP3015249B2 (ja) 飲料抽出装置
JP4063657B2 (ja) 飲料注出装置
CN220015444U (zh) 抽水机
KR100202625B1 (ko) 물통내장 냉장고 디스펜서 및 제어방법
KR100213123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CA204332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floating immiscible liquids
JP2523733B2 (ja) 洗濯機の洗剤自動投入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