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743Y1 - 캡보관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 Google Patents

캡보관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743Y1
KR200181743Y1 KR2019970044235U KR19970044235U KR200181743Y1 KR 200181743 Y1 KR200181743 Y1 KR 200181743Y1 KR 2019970044235 U KR2019970044235 U KR 2019970044235U KR 19970044235 U KR19970044235 U KR 19970044235U KR 200181743 Y1 KR200181743 Y1 KR 200181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p
correction
cas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513U (ko
Inventor
유광호
Original Assignee
유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호 filed Critical 유광호
Priority to KR2019970044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4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5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5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93Eraser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수정테이프에 먼지나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는 데에 사용하는 캡을 안전하게 보관 할 수 있도록 한 캡 보관 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정 테이프 기구 본체의 어느 일 측에는 캡 보관 대를 설치하여 수정테이프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캡으로 테이프가이드를 통과하는 수정용 피막테이프를 보호하도록 하고,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캡을 캡 보관대에 안전하게 보관하여 캡의 분실 염려를 없게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캡 보관 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본 고안은 지면(紙面)에 잘못 기재된 부분이 있는 경우 수정 액이 건조된 상태로 도포 되어 있는 피막테이프를 그 부분에 눌러 잘못 기재된 부분에 수정 액이 덮어 씌워지도록 하는 수정테이프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정 테이프 기구 본체의 어느 일 측에는 수정용 테이프피막을 보호하는 데에 사용하는 캡을 보관하기 위한 캡 보관 대를 설치한 수정테이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정테이프 기구는 개 구를 갖는 소정 형태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롤(roll)과 롤에 감겨져 있는 피막테이프와 개 구에 설치되어 피막테이프의 이동을 안내하고 필요한 경우 피막테이프를 지면에 눌러줄 수 있도록 해주는 테이프 가이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정테이프 기구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수수정테이프 기구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수정테이프 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 도이고, 도 2는 도 1수정테이프 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 1과 도 2에는 종래의 수정테이프 기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테이프 기구(10)는 케이스(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12)의 내부에는 한 쌍의 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2)의 일 측에는 개구(14)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14)로는 테이프가이드(16)가 돌출 되어 있다. 테이프가이드(16)는 수정 액이 도포 되어 있는 피막테이프(18)의 이동을 안내하고 필요한 경우 피막테이프(18)를 해당 지면에 눌러줄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정테이프 기구(10)에서 피막테이프(18)를 눌러주는 부분의 테이프가이드(16)는 케이스(12)의 두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정테이프 기구(10)에서는 피막테이프(18)를 눌러주는 부분의 테이프가이드(16)는 도 1 테이프가이드(16)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수정테이프 기구(10)와 도 2의 수정테이프 기구(10)는 테이프가이드(16)의 방향이 다르다는 것외에 그 구조나 기능 면에 있어서 거의 유사하다. 단지 도 1의 수정테이프 기구(10)에 비해 도 2의 수정테이프 기구(10)는 그 사용과정에 있어 다소 안정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종래의 수정테이프 기구는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부분의 피막테이프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달라붙을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개 구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케이스 내부로 침투할 우려도 있다. 그 외에 휴대를 위해서는 호주머니 등에 넣어 다녀야 하는 데, 호주머니 속의 먼지나 이물질이 피막테이프에 묻거나 케이스 내부로 침투할 우려가 높다. 즉 종래의 수정테이프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수정부분이 더렵혀질 염려가 있으며 내부로 침투한 이물질 등으로 인해 수명이 단축될 확률도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7-21322호(97.6.18 공개)에 개시된 캡을 갖는 "수정테이프 홀더"가 있으나, 이러한 수정기구는 수정작업 할 때 캡을 책상 위 등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다 보면 분실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 책상 위에 캡을 올려두고서 작업을 하는 경우 캡이 책상 아래로 떨어져 이를 다시 주워서 사용해야만 되는 경우가 있게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정용 피막 테이프를 보호하기 위한 캡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 수정테이프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도는 종래 수정테이프 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수정테이프 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 수정테이프 기구의 내부부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캡 보관 대에 캡을 꽂아둔 상태를 나타낸 제3도 수정테이프 기구의 정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8도는 캡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정테이프 기구 110 : 케이스
111 : 개 구 112 : 안내 핀
113 : 가이드 설치 대 114 : 확인 공
115 : 캡 보관 대 116, 117 : 구멍
120 : 제 1롤 122 : 톱니
130 : 제 2롤 140, 142 : 피막테이프
150 : 테이프가이드 160 : 캡
162 : 슬롯 164 : 돌기
170, 175 : 클립 172, 177 : 결합돌기
상기와 같은 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수정테이프 기구는 청구항 1의 고안과 관련된 케이스 내부에는 수정용 피막테이프가 감겨 있는 제1롤과, 상기 제1롤에서 풀린 피막테이프가 감기도록 한 제2롤이 각각 인접된 상태로서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는 상기 피막테이프를 제1롤에서 제2롤 측으로 감기게 안내함과 아울러 그 피막테이프를 수정 할 지면에 대하여 가압 하는 테이프가이드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에는 피막테이프 보호용 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된 수정테이프 도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서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수정 작업 시 상기 캡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캡 보관 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클립을 설치하여 호주머니에 꽂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클립을 필요에 따라 케이스에 착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위 캡의 개구 부근 마주보는 일측 양면에는 소정 길이의 슬롯을 형성하고, 타측 양면 내측에는 케이스와 테이프가이드 사이 틈새에 걸리는 돌기를 안쪽으로 돌출 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일 측에는 피막테이프의 사용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확인 공을 형성하며, 캡 보관 대에는 고리를 결합하여두는 것이 더욱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도 3 수정테이프 기구의 내부부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100)는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110)는 대략 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2부품을 서로 결합한 구조로 만들면 되며, 내부에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야 된다. 이 케이스(110)의 일 측에는 개 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제 1롤(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롤(120)은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수정용 피막테이프(140)가 감겨져 있다. 이 제 1롤(120)의 하단에는 톱니(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롤(120)에 이웃하여 제 2롤(1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롤(130) 역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제 1롤(120)의 톱니(122)에 물리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야 된다. 여기서 제 1롤(120)과 제 2롤(130)은 톱니(122)에 의해 서로 물려있어 그 회전비가 일정한 반면에 각 롤에 감겨져있는 피막테이프(140)의 감겨진 직경은 사용정도에 따라 변하는 데, 이로 인해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1롤(120)에 감겨져 있는 피막테이프(140)와 그 피막이 벗겨진 후 제 2롤(130)에 감기는 피막테이프(142)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 1롤(120)과 제 2롤(130)의 직경을 적절하게 조절해주어야 된다.
상기 제 2롤(130)은 사용된 피막테이프(142)가 감기는 부분이다. 이러한 케이스(110) 내부에는 피막테이프(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핀(112)이 더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이웃하여 가이드 설치 대(113)를 통해 테이프 가이드(150)가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프가이드(150)의 일 측은 개구(111)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 되어 있다. 피막테이프(140)는 제 1롤(120)에 감겨진 상태에서 안내 핀(112)과 테이프 가이드(150)를 거쳐 제 2롤(130)에 감겨져 있다. 상기 피막테이프(140)는 테이프가이드(150)를 통해 가압 되면 그 표면에 도포 되어 있던 수정 액이 떨어져나가면서 지면 상에 도포 된다. 즉, 제 2롤(130)에는 그 피막이 벗겨진 테이프(142)가 감기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일 측에는 내부 피막테이프(140)이 사용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확인 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0)를 투명한 재질로 만드는 경우 확인 공(114)은 필요치 않다.
도 3~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100)는 캡(16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캡(160)은 필요에 따라 테이프가이드(150)에 덮어 씌우기 위한 것으로, 피막테이프(140)에 먼지나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로 먼지,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캡(160)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후단 일 측에는 캡 보관 대(115)가 바깥쪽으로 돌출 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캡 보관 대(115)는 수정테이프 기구(140)를 사용하는 동안에 테이프가이드(150)에 장착되어 있는 캡(160)을 벗겨서 임시로 보관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100)는 클립(17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립(170)은 수정테이프 기구(100)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후면에 구멍(116)을 형성하고 ㄱ자 형태의 클립(170)에 결합돌기(172)를 설치하여 착 탈 가능케 결합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100)는 테이프가이드(150)를 보호하여 주는 캡(160)과 사용 중에 캡(160)을 보관해두기 위한 캡 보관 대(115)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며 먼지나 이물질이 피막테이프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외주면 일 측에 클립(170)이 설치되어 있어 휴대하기에도 편리하다.
도 6은 캡 보관 대에 캡을 꽂아둔 상태를 나타낸 도 3 수정테이프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60)은 케이스(110)의 후단에 설치된 캡 보관대(115)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110)를 손으로 잡고 수정하고자 하는 지면상에 테이프가이드(150)의 끝단으로 가압 하면서 이동시키면 피막테이프에 도포 되어 있던 수정 액이 지면상에 도포 된다. 수정테이프 기구(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캡 보관 대(115)에서 캡(160)을 이탈시켜 테이프가이드(150) 끝단에 결합하여두면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100)의 케이스(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케이스(110)의 일 측에는 구멍(1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17)은 클립(175)을 착탈 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클립(175)은 대략 1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구멍(117)에 착탈 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7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립(175)은 수정테이프 기구(100)를 호주머니 등에 꽂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캡 보관 대(115) 등에 고리(18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고리(180)를 설치해두면 못이나 기타의 부분에 걸어둘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허리띠 등에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다.
도 8은 캡의 사시 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160)은 대략 테이프가이드의 끝단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 측에는 소정 길이의 슬롯(slot, 1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롯(162)은 상면과 하면 가장자리 부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슬롯(162)은 캡(160)의 상하 면을 손으로 잡으면 캡(160)의 앞쪽 부분이 약간 벌어지도록 하므로 써 캡(16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캡(160)의 양 측면 내 측에는 돌기(16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64)는 테이프가이드(150)와 케이스(110) 사이의 틈새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는 캡(16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기구는 캡을 안정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캡 보관 대를 구비하고 있어서 수정 테이프기구의 사용시 캡의 분실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된 클립, 고리 등에 의해서는 수정 테이프기구의 휴대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케이스 내부에는 수정용 피막테이프가 감겨 있는 제1롤과, 상기 제1롤에서 풀린 피막테이프가 감기도록 한 제2롤이 각각 인접된 상태로서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는 상기 피막테이프를 제1롤에서 제2롤 측으로 감기게 안내함과 아울러 그 피막테이프를 수정 할 지면에 대하여 가압 하는 테이프가이드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에는 피막테이프 보호용 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된 수정테이프 도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서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수정 작업 시 상기 캡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캡 보관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테이프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클립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 보관 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개 구 부근 마주보는 일 측 양면에는 소정 길이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타 측 양면 내 측에는 상기 케이스와 테이프가이드 사이 틈새에 걸리는 돌기가 안쪽으로 돌출 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보관 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는 상기 피막테이프의 사용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확인공이 형성되며, 상기 캡 보관 대에는 고리가 더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 보관 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KR2019970044235U 1997-12-31 1997-12-31 캡보관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KR200181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235U KR200181743Y1 (ko) 1997-12-31 1997-12-31 캡보관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235U KR200181743Y1 (ko) 1997-12-31 1997-12-31 캡보관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513U KR19990031513U (ko) 1999-07-26
KR200181743Y1 true KR200181743Y1 (ko) 2000-05-15

Family

ID=1952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235U KR200181743Y1 (ko) 1997-12-31 1997-12-31 캡보관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225B1 (ko) * 1999-11-08 2002-01-05 최환섭 수정테이프용 홀더
KR101368367B1 (ko) * 2012-06-08 2014-03-10 주식회사 동기실업 도포구
JP7083485B2 (ja) * 2018-06-05 2022-06-13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513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62474B2 (ko)
TW318812B (ko)
KR200181743Y1 (ko) 캡보관대를 갖는 수정테이프 기구
US6065887A (en) Correction tape with a cap holder
US4913364A (en) Toilet paper case with a rotatable cover plate
US20040033353A1 (en) Adhesive tape
KR200205101Y1 (ko) 수정테이프 디스펜서
US7083348B2 (en) Combination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writing implement
US9717394B2 (en) Lint roller cover
JP4256053B2 (ja) 横引き式塗膜転写具
KR200228753Y1 (ko) 수정테이프 디스펜서
EP1021077A3 (en)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KR100674121B1 (ko) 펜타입의 수정테잎
JPH0686988U (ja) 両頭筆記具
JPS6239662Y2 (ko)
JPH0428477Y2 (ko)
JPH092725A (ja) 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詰替え用転写テープ
JPS5930402Y2 (ja) 巻尺
JPH0434943Y2 (ko)
JP2002345677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保持具
JPH0755898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610241Y2 (ja) 標 尺
JPS6026800Y2 (ja) コ−ドリ−ル付アイロン
KR200258360Y1 (ko) 보호용 뚜껑을 구비한 로울러식 먼지제거기
JP4489309B2 (ja) 修正テープやテープ糊等の塗膜転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