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695Y1 -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695Y1
KR200181695Y1 KR2019990029767U KR19990029767U KR200181695Y1 KR 200181695 Y1 KR200181695 Y1 KR 200181695Y1 KR 2019990029767 U KR2019990029767 U KR 2019990029767U KR 19990029767 U KR19990029767 U KR 19990029767U KR 200181695 Y1 KR200181695 Y1 KR 200181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waste
hopper
extrus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고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고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고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90029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압출탈수장치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산업폐기물과 농수산폐기물과 음식폐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투입하도록 한 호퍼와, 상기 호퍼로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분의 이탈을 위한 콘형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회전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감속모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스크류와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호퍼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소정 경사진 사선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로부터 수분을 분리시키는 원통형 압출부재과, 상기 압출부재의 하부에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분리된 상기 수분을 모아 중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집수가이드와,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스크류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의 동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니버셜조인트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와 상기 스크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스크류에게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을 투입하는 호퍼의 위치를 낮게하여 폐기물 투입작업이 용이하며 처리된 폐기물 수납이 편리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작업능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운전중 추출되는 수분이 즉시 배출되도록 하고 설치공간을 극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Apparatus for pressing out and dehydration of waste}
본 고안은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폐기물을 압출하여 그 폐기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가 대량함유된 상업폐기물이나 농수산폐기물, 음식폐기물을 폐기하기 위해서는 차량이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저장하거나 수송하여야 하는데, 이 때, 상기한 폐기물 과다한 용적으로 인해 저장과 수송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폐수가 생성되어 악취로 인한 작업장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스크류를 이용한 압출탈수장치를 첨부한 도 1 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의 일측단면을 절개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소정의 폐기물(1a)을 투입하도록 형성된 호퍼(1)와, 상광하협 형상의 스크류(3)를 내장하며 외전면에 다수개의 통공(2a)이 천공된 원통체 형상의 압출부재(2)와, 상기 스크류(3)의 일측단을 외감하는 결합으로 형성된 압력조절판(3b)과, 상기 압력조절판(3b)의 일측면에 접촉되며 소정의 압축스프링(6a)을 내장 형성한 압력 조절구(6)에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을 하는 상승부재(4)와, 상기 압출부재(2)의 일측하단에 압출된 폐기물(1a)이 배출되도록 형성한 폐기물배출구(8)와, 상기 압출부재(2)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어 폐기물(1a)을 압출하여 발생되는 폐수를 집수하는 폐수집수구(7a)를 형성한 폐수집수가이더(7)과, 상기 스크류(3)의 타측과 결합되는 구동축(5a)을 구비하여 회전력을 발생전달하는 감속모터(5)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는 각종 폐기물을 투입하는 호퍼의 위치가 상기 압출부재의 상단, 폐기물배출구의 위치가 상기 압출부재의 하당에 고정결합된 이유로 작업자가 각종 폐기물을 투입하고 배출물을 처리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이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와 상기 스크류의 결합이 일직선상에서 이루어져 그 설치공간이 협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입체적으로 사선형 스크류와 감속모터를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각종 폐기물을 투입하는 호퍼의 위치를 하향조정할 수 있도록 한 사선형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폐기물 1b : 폐수
11 : 감속모터 12 : 유니버샬조인트 13 : 구동축
14 : 체인기어 21 : 호퍼 22 : 스크류
22a : 하부축 22b : 상부축 22c : 이송부재
23 : 압출부재 24 : 보강부재 31 : 집수구
32 : 집수가이더 33 : 집수통 41 : 압축스프링
42 : 압력조절판 43 : 압력조절구 44 : 상승부재
51 : 폐기물배출구 52 : 폐기물배출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산업폐기물과 농수산폐기물과 음식폐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투입하도록 한 호퍼와, 상기 호퍼로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분의 이탈을 위한 콘형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회전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감속모터를 갖는 사선형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와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호퍼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소정 경사진 사선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로부터 수분을 분리시키는 원통형 압출부재과, 상기 압출부재의 하부에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분리된 상기 수분을 모아 중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집수가이드와,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스크류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의 동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니버셜조인트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와 상기 스크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스크류에게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사선형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의 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제1체인기어와, 상기 스크류의 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제2체인기어와, 상기 제1체인기어와 상기 제2체인기어 사이에 마련되어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있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근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압출탈수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 형상이고 외전면에 다수개의 통공(23a)이 천공된 압출부재(23)가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고정하고, 상기 압출부재(23)의 내부에는 각종 산업폐기물과 농수산폐기물과 음식폐기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콘형 스크류(22)가 동축적으로 내장되어 있다. 상기 압출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산업폐기물과 농수산폐기물과 음식폐기물이 상기 압축부재(23)의 내에 투입되도록 한 호퍼(21)가 상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21)는 깔대기모양으로 상측의 원주반경이 하측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축경되어 있다. 상기 압출부재(23)의 하방에는 상기 스크류(22)에게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감속모터(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모터(11)의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유니버셜조인트(12)가 상기 기울기와 평행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21)와 인접한 상기 압출부재(23)의 스크류(22) 종단 일측과 상기 유니버셜조인트(12)의 종단측 사이에는 상기 회전동력을 스크류(22)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속모터(11)의 저면에는 고정용 프레임(번호 미도시)이 설치되어 안정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16)는 상기 유니버셜조인트(12)의 종단측 동축에 결합되어 있는 제1체인기어(14a)와, 상기 스크류(22)의 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제2체인기어(14b)와, 상기 제1체인기어(14a)와 상기 제2체인기어(14b) 사이에는 상기 감속모터(11)의 구동축(13)에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스크류(22)에게로 전달하는 체인(15)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체인기어(14a) 및 상기 제2체인기어(14b)와 체인(15)은 상기 기어(14a,14b)의 톱니가 체인(15)와 맞물림결합되어 있으며, 회전됨에 따라서 맞물림결합이 풀였다가 다시 맞물리는 현상이 반복된다.
그리고, 경사진 상기 압출부재(23)의 외주면에 상기 스크류(22)에 의해서 압력이 가해져 압출부재(23)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주면에는 소정의 봉체 형상인 보강부재(24)가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24)를 형성한 상기 압출부재(23)의 하방에는 상기 압출부재(23)의 통공(23a)으로부터 탈리되는 폐수를 집수하는 반원통형 집수가이더(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수가이더(32)의 하방종단에는 상기 폐수를 배출시키는 집수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수구(31)에 의해 배출되는 폐수를 수용하는 집수통(33)이 집수구(31)와 소정 거리 이격된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압출부재(23)의 상부측에는 상기 스크류(22)의 일체형상인 상부축(22b)을 외감하며 압출부재(23)의 일측을 마감하는 형상의 압력조절판(41)이 결합고정되어 있다. 상기 압력조절판(41)의 일측면에는 봉형상을 갖는 한쌍의 상승부재(44)가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상승부재(44)는 지지판(44a)을 구비하여 압축스프링(42) 중앙에 내장삽입되며 상기 압축스프링(42)과 상승부재(44)의 일측이 탄성에 따라 이송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압력조절구(43)가 상기 압출부재(23)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압출탈수장치는 소정의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호퍼(21)에 작업자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산업폐기물이나 농수산폐기물을 투입하고 적정량만큼 폐기물(1a)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한 감속모터(11)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유자재로 일축과 타축의 동력전달이 가능한 유니버샬조인트(12)를 채택한 상기 감속모터(11)가 구동하고 이에 따라 동력축(13)이 회전을 개시하여 제1체인기어(14a)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제1체인기어(14a)가 회전을 개시함에 따라 소정의 체인(15)으로 연결형성된 제2체인기어(14b)가 회전된다. 상기 제2체인기어(14b)는 사선형 스크류의 하부축과 일체로 고정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크류(22)가 회전되며 상기 스크류(22)의 이송부재(22a)들 사이로 상기 폐기물(1a)이 유입됨과 동시에 상부쪽으로 이송된다. 스크류(22)의 이송부재(22a) 사이에 유입되어 상부쪽으로 이송되는 각종 폐기물(1a)은 상기 스크류(22)가 상광하협 형상이기 때문에 다수개의 통공(23a)이 형성된 압출부재(23)의 내부에서 상부쪽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압출되어 상기 압출부재(23)의 통공(23a)으로 폐수(1b)만을 배출하며 이송을 계속한다. 폐수(1b)을 배출하며 스크류(22)의 상부쪽으로 이송되는 폐기물(1a)은 압출부재(23)의 상부로 이송될수록 높은 압력을 받으므로 폐기물(1a)에서 생성되는 폐수(1b)의 배출이 촉진된다.
상기 압출부재(23)의 통공(23a)으로 배출되는 폐기물(1a)의 폐수(1b)는 반원통 형상으로 상기 압출부재(23)의 하부 보강부재(24)에 결합형성된 집수가이더(32)으로 낙하되어 자연스럽게 하방향으로 흘러 소정의 집수구(31)를 통해 집수통(33)에 집수된다. 상기와 같이 압출부재(23)의 통공(23a)에 의해 폐수(1b)만을 배출한 각종 폐기물(1a)은 상기 스크류(22)의 상부쪽으로 이송을 계속하여 상기 스크류(22)의 상단을 외감한 압력조절판(41)을 압박한다.
이 때, 상기 압출부재(23)의 내부에 내장된 스크류(22)의 상부축(22a)은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된 소정의 원통체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조절판(41)의 일측상면에는 소정의 원통체 내부에 삽설된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봉체형상의 상승부재 일측이 접촉되어있다. 상기 스크류(22)의 압력조절판(41)에 가해진 압력으로 의해 상기 압력조절구(43)의 압축스프링(42)에 삽입된 상승부재(44)가 상승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류(22)가 상부쪽으로 미세하게 상승함에 따라 스크류(22)의 이송부재(22c) 사이에 이송된 폐기물(1a)이 상기 스크류(22) 상부에 형성된 소정의 폐기물배출구(51)로 유인되어 낙하된다. 상기 폐기물배출구(51)를 통하여 낙하되는 폐기물(1c)은 소정의 폐기물배출통(52)으로 배출되어 폐기물(1a)의 압출탈수작업이 완료된다.
본 고안은 폐기물을 투입하는 호퍼의 위치를 낮게하여 폐기물 투입작업이 용이하며 처리된 폐기물 수납이 편리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작업능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운전중 추출되는 수분이 즉시 배출되도록 하고 설치공간을 극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산업폐기물과 농수산폐기물과 음식폐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투입하도록 한 호퍼와, 상기 호퍼로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분의 이탈을 위한 콘형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회전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감속모터를 갖는 사선형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와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호퍼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소정 경사진 사선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로부터 수분을 분리시키는 원통형 압출부재과;
    상기 압출부재의 하부에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분리된 상기 수분을 모아 중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집수가이드와;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스크류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의 동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니버셜조인트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와 상기 스크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스크류에게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형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의 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제1체인기어와;
    상기 스크류의 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제2체인기어와;
    상기 제1체인기어와 상기 제2체인기어 사이에 마련되어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있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형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
KR2019990029767U 1999-12-27 1999-12-27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 KR200181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67U KR200181695Y1 (ko) 1999-12-27 1999-12-27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67U KR200181695Y1 (ko) 1999-12-27 1999-12-27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695Y1 true KR200181695Y1 (ko) 2000-05-15

Family

ID=1960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767U KR200181695Y1 (ko) 1999-12-27 1999-12-27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6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423A (ko) * 2001-02-21 2002-08-27 두 빈 임 음식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기의 이송장치
KR101937659B1 (ko) * 2017-07-05 2019-01-14 이달은 비열분해성 물질과 열분해성 물질의 분리가 용이한 폐기물 열분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423A (ko) * 2001-02-21 2002-08-27 두 빈 임 음식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기의 이송장치
KR101937659B1 (ko) * 2017-07-05 2019-01-14 이달은 비열분해성 물질과 열분해성 물질의 분리가 용이한 폐기물 열분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835B1 (ko) 회전 분리기
CN110356029A (zh) 一种芝麻油的多级压榨设备
CN109499712A (zh) 一种环保型固体生活垃圾处理装置
CN110940153A (zh) 一种餐厨垃圾综合处理生产装置
KR200181695Y1 (ko) 사선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기물 압출탈수장치
CN210529364U (zh) 废纸的纸浆脱水装置
CN209865407U (zh) 一种压滤机
CN216911492U (zh) 一种固体废弃物处理用搅拌机
CN2539402Y (zh) 餐厨垃圾再生动物饲料的预处理设备
CN214144071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防堵蓄水池
CN210528748U (zh) 固液分离机
CN113003056A (zh) 一种具有垃圾压缩功能的市政环保用垃圾收集装置
CN110238159A (zh) 一种城市人行道节能清洁设备
CN217435081U (zh) 用于处理砂轮磨削灰的压饼机
CN213060617U (zh) 一种有效提高分离效率的螺旋脱水机
CN213960675U (zh) 一种水田施肥搅浆机
CN209693708U (zh) 一种刮粪驱动装置
CN110433933A (zh) 一种废水处理用垃圾粉碎辅助装置
CN211802992U (zh) 一种垃圾降解装置
CN215473274U (zh) 一种湿垃圾处理装置
CN216036631U (zh) 一种固体废物处理用摊匀装置
CN216664059U (zh) 一种水利工程用垃圾打捞装置
CN210765035U (zh) 一种移动式有机废弃物再生系统
CN219279711U (zh) 一种污水处理用脱泥机
CN216764668U (zh) 一种粪污处理再利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