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513Y1 -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513Y1
KR200181513Y1 KR2019990028410U KR19990028410U KR200181513Y1 KR 200181513 Y1 KR200181513 Y1 KR 200181513Y1 KR 2019990028410 U KR2019990028410 U KR 2019990028410U KR 19990028410 U KR19990028410 U KR 19990028410U KR 200181513 Y1 KR200181513 Y1 KR 200181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pull
string
hook
tigh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균
Original Assignee
오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균 filed Critical 오영균
Priority to KR2019990028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513Y1/ko
Priority to PCT/KR1999/000780 priority patent/WO2000035308A2/en
Priority to AU16946/00A priority patent/AU16946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5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당김 끈을 한번에 당겨 조여질 수 있도록 한 신발에 있어서, 2개의 당김 끈을 몰입하여 이동되면서 당김 끈을 결속 또는 푸는 체결장치를 신발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에 결속하면 체결장치가 후크에 고정되어 당김 끈의 매듭을 짓지 않은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끈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발은 착용자의 발에 맞추어 신발 끈을 적당히 당겨 조인 후 끈의 말단을 매듭을 지어 신발을 착용하도록 한 것으로 이는 매듭을 묶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보행 중 매듭이 저절로 풀어지는 폐단이 발생하는 단점과, 신발을 벗거나 신을 경우 반드시 끈이 끼워진 상태에서 교차된 끈을 반복하여 동시에 당겨서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금속판으로 된 고정체(6)의 양단으로 체결구멍(16)을 천공한 걸림날개(8)를 직립하여 이 걸림날개(8)의 사이로 아이릿(30)을 통하여 인출되는 2줄의 당김 끈(40)이 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걸림단(14)과 체결구멍(16a)을 천공한 지지돌기(10)를 일체로 형성한 고정구(2)를 걸림날개(8)에 핀(20) 유착하여 상기 핀(20)을 축으로 하여 고정구(2)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걸림단(14)의 단부가 당김 끈(40)을 가압하여 당김 끈(40)을 결속 후 신발(50)의 상단에 고정된 후크(18)에 고정체(6)를 내삽하여 당김 끈(40)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신발 끈 결속장치.

Description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A binding device of shoe which is tightened by one pulling}
본 고안은 2개의 당김 끈을 아이릿의 2칸 간격으로 교차하면서 보조홀에 끼워 당김 끈을 한번에 당겨 조여질 수 있도록 한 신발의 당김 끈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당김 끈을 몰입하여 이동되면서 당김 끈을 결속 또는 푸는 체결장치를 신발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에 결속하면 체결장치가 후크에 고정되어 당김 끈의 매듭을 짓지 않은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끈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발에 있어서는 신발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는 신발 끈을 교차로 통과시켜 착용자의 발에 맞추어 신발 끈을 적당히 당겨 조인 후 끈의 말단을 매듭을 지어 신발을 착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신발은 매듭을 묶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보행 중 매듭이 저절로 풀어지는 폐단이 발생하는 단점과, 신발을 벗거나 신을 경우 반드시 끈이 끼워진 상태에서 교차된 끈을 반복하여 동시에 당겨서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55767호의 신발이 있으며, 이는 신발 끈을 2개의 당김 끈을 사용하여 이를 아이릿의 2칸 간격으로 형성되는 보조 홀에 교차되도록 끼워 끈을 한번에 당겨 조여질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을 신거나 벗을 경우 한번의 동작으로 끈이 조여지거나 풀어지도록 하여 신발의 착용이 보다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신발은 당김 끈을 한번의 당김 작업으로 발에 맞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은 있으나, 신발 끈의 말단 즉,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신발 끈의 매듭을 지어야 하므로 매듭을 짓기가 번거로운 단점과, 신발 끈을 2개의 당김 끈을 사용하므로 매듭 부위가 두툼하게 매듭 지어지게 되므로 미관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당김 끈의 말단에 탄성력을 갖는 탄력고리와 상기 탄력고리의 단부에 고정구슬을 연속으로 고정하여 이 고리를 신발에 형성된 걸고리에 삽입하여 고정구슬이 걸고리에 걸려지도록 한 신발 끈 체결장치가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신발 끈 체결장치는 당김 끈에 고정된 탄력고리를 당기면서 탄력고리에 연속으로 고정된 고정구슬을 후크에 고정하면 별도의 매듭을 짓지 않은 상태에서 당김 끈이 풀어지지 않게 결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신발 끈 체결장치는 당김 끈이 일정 길이로 제한된 상태에서 이 당김 끈의 말단에 고정된 탄력고리의 탄력에 의한 방법으로 당김 끈을 결속하므로 당김 끈이 신발을 압박하는 상태가 약하게 되거나 또는 너무 강하게 조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에 천공되어진 아이릿에 2칸 간격으로 교차하면서 보조 홀에 끼워진 2줄의 당김 끈을 몰입하여 이동되면서 당김 끈을 결속 또는 푸는 체결장치를 신발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에 결속하면 체결장치가 후크에 고정되어 당김 끈의 매듭을 짓지 않은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당김 끈 체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의 착용시 아이릿과 아이릿의 사이에 고정된 보조홀에 의하여 발등이 배기는 현상을 없애 착용감이 뛰어난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체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체결장치가 후크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당김 끈을 가압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6은 당김 끈의 가압을 해제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7은 보조홀에 지지편이 덧대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후크의 또 다른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고정구 4: 이탈방지돌기
6: 고정체 8: 걸림날개
10: 지지돌기 12: 결합편
14: 걸림단 18: 후크
24: 걸림턱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 1도 내지 제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2개의 당김 끈을 신발에 형성되는 아이릿의 2칸 간격으로 형성된 보조 홀에 교차되도록 끼워 끈을 한번에 당겨 조여질 수 있도록 한 공지의 신발에 있어서, 금속판으로 된 고정체(6)의 양단으로 체결구멍(16)을 천공한 걸림날개(8)를 직립하여 이 걸림날개(8)의 사이로 아이릿(30)을 통하여 인출되는 2줄의 당김 끈(40)이 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걸림단(14)과 체결구멍(16a)을 천공한 지지돌기(10)를 일체로 형성한 고정구(2)를 걸림날개(8)에 핀(20) 유착하여 상기 핀(20)을 축으로 하여 고정구(2)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걸림단(14)의 단부가 당김 끈(40)을 가압하여 당김 끈(40)을 결속 후 신발(50)의 상단에 고정된 후크(18)에 고정체(6)를 내삽하여 당김 끈(40)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당김 끈(40)을 가압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결속하는 고정구(2)의 중심부에는 이탈방지돌기(4)를 돌설하여 이를 걸림날개(8)의 사이로 인출되는 당김 끈(40)의 사이에 위치시켜 당김 끈(40)이 풀어진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는 폐단이 없도록 한다.
또한 고정체(6)를 내삽하는 후크(18)는 얇은 금속판재의 절곡을 통하여 사각함체로 구성하여 탄력을 보유토록하여 고정체(6)의 삽입이 간편하도록 하고 4면 중 적어도 서로 마주 보이는 2면의 상단에는 걸림턱(24)을 형성하여 내삽된 고정체(6)가 빠지는 현상이 없도록 하고, 다른 2면에는 신발(5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편(12)을 연장하여 설치한다.
이때 결합편(12)은 후크(50)의 상단에서 직립으로 절곡하여 신발(50)에 천공된 구멍(60)에 내삽하여 결합편(12)에 형성된 체결구멍(16b)에 리벳팅 작업을 통하여 신발(50)의 상단에 고정하여 돌출부위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7은 신발에 형성된 아이릿(30)의 2칸 간격으로 형성된 보조 홀(70)에 지지편(26)을 덧대어 당김 끈(40)의 가압으로 보조홀(70)에 의하여 발등이 배기는 현상을 없애 착용감이 뛰어나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후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후크(18)의 벽면에 걸림턱(24)을 2단으로 형성하여 내삽되는 고정체(6)를 완벽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신발에 형성된 아이릿(30)을 통하여 그 단부가 원형의 고리 형태로 노출되는 2줄의 당김 끈(40)을 고정체(6)에 형성된 걸림날개(8)의 사이로 집어넣으면서 고정구(2)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4)를 당김 끈(40)의 중아에 위치토록 하면 신발(50)의 양측으로 노출되는 당김 끈(40)의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당김 끈(40)을 고정한 후 신발을 착용하기 위하여 당김 끈(40)을 적당히 당긴 후 고정체(6)에 핀(20)유착된 고정구(2)를 회전시키면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단(14)의 단부가 당김 끈(40)을 가압하게 되므로 당김 끈(40)이 고정체(6)에 내삽된 상태로 결속되게 된다.
이때 당김 끈(40)을 잡아당겨 신발(50)을 압박하여도 보조홀(70)의 외부로 지지편(26)이 덧대어 있어 이로 인하여 발등이 배기는 현상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고정체(6)를 후크(18)에 내삽하면 후크(18)는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구성되어 있어 탄력을 보유하므로 고정체(6)의 내삽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후크(18)의 내 벽면에는 걸림턱(24)이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들어간 고정체(6)가 임의로 빠지는 폐단이 없이 완벽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체(6)를 후크(18)에 고정한 후 노출된 당김 끈(40)의 매듭을 짖게되면 당김 끈(40)의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신발을 벗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체(6)를 후크(18)에서 빼낸 후 고정구(2)를 회전시키면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김 끈(40)의 가압이 해제되므로 당김 끈(40)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어 신발을 손쉽게 벗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번의 당김 작업으로 결속되는 당김 끈을 고정체에 핀 유착된 고정구의 회전을 통하여 고정한 후 신발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에 결속하면 고정체가 후크에 고정되므로 당김 끈의 매듭을 짓지 않은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게 결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2개의 당김 끈을 신발에 형성되는 아이릿의 2칸 간격으로 형성된 보조 홀에 교차되도록 끼워 끈을 한번에 당겨 조여질 수 있도록 한 공지의 신발에 있어서, 아이릿(30)을 통하여 인출되는 2줄의 당김 끈(40)이 출입될 수 있도록 한 고정체(6)와, 상기 고정체(6)에 핀(20) 유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당김 끈(40)을 결속 또는 해지하는 고정구(2)와, 상기 고정체(6)의 고정을 위한 후크(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6)는 체결구멍(16)이 천공된 걸림날개(8)를 직립하여, 이에 체결구멍(16a)이 천공된 지지돌기(10)를 직립하여 된 고정구(2)를 핀(20) 유착하여 상기 핀(20)을 축으로 하여 고정구(2)를 회전시켜 고정구(2)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단(14)으로 당김 끈(40)을 가압하면서 결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의 중심부에는 이탈방지돌기(4)를 돌설하여 걸림날개(8)의 사이로 인출되는 당김 끈(40)의 사이에 위치시켜 당김 끈(40)이 풀어진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는 폐단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8)는 얇은 금속판재를 사각함체로 절곡하여 탄력을 보유토록 하고, 4면 중 서로 마주 보이는 2면의 상단에는 걸림턱(24)을, 다른 2면에는 신발(5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편(12)을 연장하여 신발(50)에 결합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아이릿(30)의 2칸 간격으로 형성된 보조 홀(70)에 지지편(26)을 덧대어 발등이 배기는 현상을 배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KR2019990028410U 1998-12-17 1999-12-16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KR200181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410U KR200181513Y1 (ko) 1999-12-16 1999-12-16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PCT/KR1999/000780 WO2000035308A2 (en) 1998-12-17 1999-12-17 Shoes whose shoelace is tightened by one pulling
AU16946/00A AU1694600A (en) 1998-12-17 1999-12-17 Shoes whose shoelace is tightened by one pul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410U KR200181513Y1 (ko) 1999-12-16 1999-12-16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513Y1 true KR200181513Y1 (ko) 2000-05-15

Family

ID=1960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410U KR200181513Y1 (ko) 1998-12-17 1999-12-16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5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0042A1 (en) * 2002-02-19 2003-08-28 Yun Mi Cho Shoe fastening shoelace in one-touch manner and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0042A1 (en) * 2002-02-19 2003-08-28 Yun Mi Cho Shoe fastening shoelace in one-touch manner and method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3279B2 (en)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US5979028A (en) Shoe lace clip
US7143486B2 (en) Anchoring device for fastening laces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JPS59200606A (ja) 結び目確保器
KR200171552Y1 (ko) 신끈의 결속장치
US20100071230A1 (en) Laced garment closure
US20170245595A1 (en) Shoe lacing system
US20160360835A1 (en) Adjustable shoelace fastener and method of use
JP5017367B2 (ja) 靴紐クロージャー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200181513Y1 (ko)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 끈의 결속장치
KR20020025920A (ko)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
KR200246554Y1 (ko)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JP3165710U (ja) 靴締付バンド
KR101075895B1 (ko) 신발 끈 조임구
US20100132170A1 (en) Bow retainer clips for shoes
US201501283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
KR20130002270U (ko)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KR19990002342U (ko)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CN215913472U (zh) 一种方便穿鞋带的鞋子
KR20010008137A (ko)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362427Y1 (ko) 신발용 끈 조임구조
KR20060126028A (ko) 신발끈 고정고리 와 신발끈 결속방법
KR20060024830A (ko) 단번에 결속시키는 탈부착 신발끈 장치 및 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