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413Y1 -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 Google Patents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413Y1
KR200181413Y1 KR2019990022896U KR19990022896U KR200181413Y1 KR 200181413 Y1 KR200181413 Y1 KR 200181413Y1 KR 2019990022896 U KR2019990022896 U KR 2019990022896U KR 19990022896 U KR19990022896 U KR 19990022896U KR 200181413 Y1 KR200181413 Y1 KR 200181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hot water
distribution device
supply control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상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상신
Priority to KR2019990022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24D3/1075Built up from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용 온수분배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수 및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제작 및 시공상에 다대한 편리와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난방용 온수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 쌍의 수직 브래킷(1)(1')과, 상기 수직 브래킷(1)(1')사이의 일측에 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복수의 급수구부(3)들을 가진 급수모관(2)과, 상기 수직 브래킷(1)(1')사이의 타측에 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복수의 환수구부(5)들을 가진 환수모관(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모관(2)의 급수구부(3)들에 각각 급수제어밸브(6)가 연결설치되어 구성되는 난방용 온수분배 장치로서, 상기 급수제어밸브(6)의 몸체가 상기 급수모관(2)의 급수구부(3)에 일체로 연결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제어밸브(6)의 몸체 단부에는 이 급수제어밸브(6)의 몸체에 대하여 삽탈가능한 호스연결니플(7)과, 그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 세레이션부(9a) 및 육각너트부(9b)를 이중으로 형성한 유니언너트(9)를 결합설치하여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수분배장치의 급수모관(2)과 급수구부(3) 및 급수제어밸브(6)의 몸체, 그리고 환수모관(4)과 환수구부(5)들은 각각 폴리부틸렌수지와 같이 가볍고 내열성,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낮은 열전도를 나타내는 합성수지 재료를 써서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난방용 온수분배장치{HEADER UNIT FOR CONTROLLING HOT WATER DISTRIBUTION FOR USE IN ROOM HEATING SYSTEM BY HOT WATER CIRCULATION}
본 고안은 온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행하는 난방시스템에 설치사용되는 온수분배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수의 위험성과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제작,시공상에 다대한 편리와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난방용 온수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로 온수를 생성하고 그 온수를 예컨대 가옥내의 방이나 거실 등의 바닥에 매설된 파이프를 통해 순환시켜 난방을 행하도록 하는 온수순환 난방시스템에 있어서는 보일러에서 생성된 온수를 난방이 필요한 구역으로 공급 순환시키거나 난방이 필요치 않은 구역에 대한 온수의 공급 순환을 차단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수분배장치가 설치사용된다.
이러한 온수분배장치는 전형적으로 보일러에서 생성된 온수를 각 난방구역으로 분배 공급하기 위한 급수모관과, 각 난방구역을 순환하면서 온도가 떨어진 온수를 환수하여 다시 보일러로 보내기 위한 환수모관과, 상기 급수모관 및 환수모관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모관에는 각 난방구역에 대한 온수의 공급 또는 공급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급수제어밸브들을 결합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통인데, 종래의 온수분배장치는 상기 급수제어밸브가 급수모관과는 별개의 몸체로 분리제작된 후 급수모관의 급수구부에 나사결합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분배장치의 전체적인 제작공수가 많아져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상기 급수모관 및 급수제어밸브들간의 결합부위들에서 누수가 빈발하고, 이러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발라 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접착제도포작업시 여간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도포불량이 발생하여 여전히 누수를 야기하게 되는 일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종래의 온수분배장치는 그 급수모관, 환수모관, 급수제어밸브 몸체등 온수가 통과하게 되는 주요구성요소들을 내식성, 내열성, 가공성등의 문제로 주로 황동재와 같은 금속재의 재료를 써서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인 바, 이같은 금속재의 재료는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기 때문에 온수분배장치 및 관련 난방시스템의 열손실을 크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온수분배장치는 그 급수제어밸브의 단부에 온수순환 호스를 연결시키기 위한 호스연결니플이 급수제어밸브 몸체에 대해 나사결합식의 구조로 결합설치되는 것이 보통인 바, 이러한 구조는 작업상황에 따라 온수순환 호스의 단부에 호스연결니플을 먼저 끼워 결합시킨 후 이를 다시 밸브 몸체에 체결시켜 주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는 니플의 회전조작이 어렵게 되기 때문에 온수분배장치의 시공이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효과있게 해소하여 누수의 위험성 및 열손실이 적고 제작 및 시공이 보다 편리한 더욱 개선된 난방용 온수분배장치를 제공할 목적에서 연구고안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분배장치의 정면도,
도2,도3은 본 고안의 요부발췌확대 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브래킷 2 : 급수모관
3 : 급수구부 4 : 환수관
5 : 환수구부 6 : 급수제어밸브
7 : 호스연결니플 8 : 호스
9 : 유니언너트 9a : 세레이션부
9b : 육각너트부 10 : 압압링
11 : 플랜지부 12 : 조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 쌍의 수직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사이의 일측에 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복수의 급수구부들을 가진 급수모관과, 상기 브래킷사이의 타측에 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복수의 환수구부들을 가진 환수모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모관의 급수구부들에 각각 급수제어밸브가 연결설치되어 구성되는 난방용 온수분배장치로서, 상기 급수모관 및 급수제어밸브의 몸체가 우수한 내열, 내식성 및 낮은 열전도도의 합성수지 재료로부터 일체로 연결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제어밸브 몸체의 단부에 호스연결니플이 단순 삽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설치되어 있으며, 그 외측에는 세레이션부와 육각너트부를 이중으로 형성한 외주면 구조를 가진 유니언너트를 결합설치하여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분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한 온수분배장치의 정면도, 도2,도3은 상기 도1에 도시된 온수분배장치의 요부를 발췌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난방용 온수분배장치는 한 쌍의 수직 브래킷(1)(1')과, 상기 브래킷(1)(1')사이의 일측에 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복수의 급수구부(3)들을 통해 각 난방구역으로 보일러로부터의 온수를 분배 공급하기 위한 급수모관(2)과, 상기 브래킷(1)(1')사이의 타측에 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복수의 환수구부(5)들을 통해 각 난방구역을 순환하여 온 온수를 환수하여 다시 보일러로 보내기 위한 환수모관(4)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모관(2)의 급수구부(3)들에는 각 난방구역에 대한 온수의 공급 또는 공급차단을 선택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급수제어밸브(6)들이 각각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장치는 상기 급수모관(2)과 급수구부(3)들 및 급수제어밸브(6)들의 몸체, 그리고 환수모관(4)과 환수구부(5)들이 각각 PB(폴리부틸렌)수지와 같은 내열성, 내식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면서 낮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종래에 상기 급수제어밸브(6)들을 각각 별개의 몸체로 제작한 후 이들을 급수모관(2)의 급수구부(3)들에 각각 나사결합시켜 체결설치함으로써 야기되었던 누수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급수모관(2)에 급수제어밸브(6)들을 결합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생략되고 또 상기 급수제어밸브(6)들의 결합설치시 누수방지를 위해 접착제를 결합부위에 도포해줄 필요도 없으므로 온수분배기 전체의 제작공수가 크게 줄어 들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불량발생도 크게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급수모관(2)과 급수제어밸브(6)의 몸체, 환수모관(4)등 온수가 통과하게 되는 주요구성요소들을 열전도도가 낮은 수지 재료를 써서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온수분배장치 및 관련 난방시스템의 열손실을 크게 줄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각 급수제어밸브(6)의 몸체 단부에 온수순환 호스의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호스연결니플(7)이 급수제어밸브(6) 몸체에 대해 단순 삽탈식으로 결합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온수분배장치 및 관련 난방시스템의 시공작업시 상황에 따라 상기 호스연결니플(7)을 급수제어밸브(6)의 몸체로부터 빼내어 이를 온수순환 호스(8)의 단부에 먼저 끼워 결합시킨 후 이를 다시 급수제어밸브(6)의 몸체에 결합시켜 주는 식의 작업이 필요할 경우 상기 호스연결니플(7)을 급수제어밸브(6)와의 결합을 위해 회전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목적하는 작업을 매우 간편히 이루어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호스(8)를 끼운 호스연결니플(7)을 급수제어밸브(6)의 몸체 단부에 도2의 예와 같이 삽입 조립한 후 유니언너트(9)를 조이면 압압링(10)이 밸브쪽으로 전진하면서 이 압압링(10)과 호스연결니플(7) 선단의 플랜지부(11)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조임링(12)이 상기 압압링(10) 및 플랜지부(11)의 경사면들의 작용에 의해 안쪽으로 조여 들면서 호스(8)를 호스연결니플(7)에 대해 단단히 조여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서, 본 고안은 상기 각 급수제어밸브(6) 몸체의 호스연결니플(7)이 결합설치된 외측에 상기 호스연결니플(7)에 끼워진 온수순환 호스(8)의 단부를 호스연결니플(7)에 대해 단단히 조여 고정시켜 주기 위해 결합설치되는 유니언너트(9)가 세레이션부(9a) 및 육각너트부(9b)를 이중으로 형성구비한 외주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러한 온수분배장치 및 관련 난방시스템의 시공시 상기 유니언너트(9)의 회전조작을 세레이션부(9a)를 통해 작업자의 손으로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육각너트부(9b)에 공구를 작용시켜 행할 수도 있으므로 작업상의 편리가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에서는 상기 유니언너트(9)의 세레이션부(9a)가 안쪽에 형성되어 있고 육각너트부(9b)는 그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 형성구비될 수도 있고, 또 상기 세레이션부(9a)는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은 세레이션 구조로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손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요철구조이면 된다.
또, 상기와 같은 유니언너트(9) 및 호스연결니플(7)의 설치구조는 도3의 예와 같이 급수제어밸브(6)의 연결설치가 필요없는 환수모관(4)의 환수구부(5)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이러한 난방용 온수분배장치의 누수현상 및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시공상에 다대한 편리와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 신규유용한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3)

  1. 한 쌍의 수직 브래킷(1)(1')과, 상기 브래킷(1)(1')사이에 연결설치되고 각각 복수의 급수구부(3)들 및 환수구부(5)들을 가진 급수모관(2) 및 환수모관(4)과, 상기 급수모관(2)에 연결설치되는 복수의 급수제어밸브(6)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모관(2)과 급수구부(3)들 및 급수제어밸브(6)들의 몸체, 그리고 상기 환수모관(4) 및 환수구부(5)들이 각각 낮은 열전도도의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급수제어밸브(6) 몸체와 환수구부(5)의 단부에 호스연결니플(7)이 삽탈가능한 구조로 결합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급수제어밸브(6) 몸체와 환수구부(5)의 호스연결니플(7)이 결합설치되어 있는 외측에 세레이션부(9a) 및 육각너트부(9b)를 이중으로 형성한 외주면 구조를 가진 유니언너트(9)가 결합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KR2019990022896U 1999-10-22 1999-10-22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KR200181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96U KR200181413Y1 (ko) 1999-10-22 1999-10-22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96U KR200181413Y1 (ko) 1999-10-22 1999-10-22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413Y1 true KR200181413Y1 (ko) 2000-05-15

Family

ID=1959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896U KR200181413Y1 (ko) 1999-10-22 1999-10-22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4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9511A (ko) 워터 매니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0779516B1 (ko)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US6082781A (en) Pipe connecting device
RU262693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й арматуры к встроенному в стену трубопроводу
KR200181413Y1 (ko) 난방용 온수분배장치
CN210128408U (zh) 一种暖气件连接结构和暖气组件
US5595212A (en) Wall mount inlet stop system
KR200461358Y1 (ko) 온수분배기의 결합구조
RU2324865C2 (ru) Способ герметичного крепл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переходника,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переходник для нагреват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прибор и система, состоящая из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переходника и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прибора
JPS5878025A (ja) 給湯装置
KR20100013005U (ko) 히트파이프의 통수관 체결구조
KR100754762B1 (ko) 온수 분배기
GB2314392A (en) Joint providing movement of pipe in a hollow structure
KR200300600Y1 (ko) 관 접속용 분배관
US12007147B2 (en) Flexible connectors for water heater
KR960010296Y1 (ko) 가정보일러 설치용 후렌지 일체형 엘보관
US20230059762A1 (en) Flexible connectors for water heater
JPS5914546Y2 (ja) 通水管凍結防止装置における連結管
JP2001159495A (ja) 配管用ヘッダー
JP2601678B2 (ja) 配管端末部の固定装置
KR200170975Y1 (ko) 온수 분배기의 몸체 및 분기관 체결구조
KR20150020879A (ko) 열변형 흡수 회전조인트
AU6999194A (en) Connection fitting for connecting radiators to their heat source in the heating circuit of a building heating installation
KR200299320Y1 (ko) 난방용 온수분배기
JPH0483991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