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473Y1 - 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473Y1
KR200180473Y1 KR2019990028286U KR19990028286U KR200180473Y1 KR 200180473 Y1 KR200180473 Y1 KR 200180473Y1 KR 2019990028286 U KR2019990028286 U KR 2019990028286U KR 19990028286 U KR19990028286 U KR 19990028286U KR 200180473 Y1 KR200180473 Y1 KR 200180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urinal
drive motor
urin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익환
Original Assignee
오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익환 filed Critical 오익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변시 내보이기 싫어하는 본인의 남근을 양측의 소변자들로 하여금 엿볼 수 없도록 차단 은폐토록 하여 프라이버시 침해를 당하지 않도록 한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소변기는 공지의 소변기 양측에 전방으로 인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를 축으로 소변시에는 인출되어 커버할 수 있도록 하고 소변을 마친후에는 삽입되어 원래의 상태로 되는 차단플레이트와, 상기차단플레이트를 소변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정.역회전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력을 차단플레이트의 축봉에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소변기{URINE HOLDING DEVICE}
본 고안은 남자용 공중화장실의 벽체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소변자가 기립한 상태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변시 들어내 보이기 싫어하는 본인의 남근을 양측의 소변자들로 하여금 볼 수 없도록 차단하여 프라이버시 침해를 당하지 않도록 한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에는 벽체측에 일렬로 기립한 상태에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소변기를 설치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소변기는 단순히 소변이 외부로 뛰는 것을 방지하면서 세척수가 한곳으로 모아져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움푹 들어간 상태로 형성한 후 공중화장실의 벽체에 다수의 사람이 소변을 볼 수 있도록 일렬로 소변기를 설치하여 사용토록 하였는바, 이와 같은 소변기는 단순히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소변을 볼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다수의 사람이 소변을 볼 때 각자의 남근을 가릴 수 있는 은폐장지가 없어, 각자의 소변자 등이 보여 주기를 부끄러워하는 남근을 양측의 소변자들이 서로 쳐다본 후 서로가 남근의 크기나 생김새를 가지고 수근대기 때문에 소변자의 플라이벗 침해 또는 놀려대는 등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주된 목적으론 소변기의 양측에 차단플레이트를 본체 커버의 내측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설치하여 소변시 들어내 보이기 싫어하는 본인의 남근을 양측의 소변자들로 하여금 볼 수 없도록 차단하여 플라이벗 침해를 당하지 않도록 한 소변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론 소변자가 소변기에 접근하면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구동모터에 전달하여 구동모터의 정회전 구동력에 의해 차단 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작동하여 인출 커버하고 소변자가 이탈하면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차단플레이트를 삽입시킬 수 잇도록 한 소변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소변기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4a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차단플레이트가 삽입되어진 상태도.
도4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차단플레이트가 인출되어진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2' : 케이스편
3 : 인출입구 4 : 차단플레이트
5 : 축봉 6, 10 : 풀리
7 : 구동모터 8 : PCB기판
9 : 회전축 11 :벨트
12 : 감지센서 13 : 고정가이드롤러
14 : 텐션가이드롤러 15, 15' : 감지부
16 : 리미트스위치 17 : 코일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의 소변기는 공지의 소변기 양측에 전방에 인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를 축으로 소변시에는 인출되어 커버할 수 있도록 하고 소변을 마친후에는 삽입될 수 있는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소변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정.역회전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력을 차단플레이트의 축봉에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 구동모터는 차단플레이트의 인출 및 삽입 거리에 따른 회전수를 세팅한 PCB기판과 연결되고 이 PCB기판은 소변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작동을 할 수 있는 감지센서와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차단을 완벽하게 하기 위하여는 차단플레이트의 상측이 돌출된 상태로 연장한 후 상측을 호형으로 내향 절곡하여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소변기의 정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 예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요부확대 정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소변기는 통상의 소변기(S) 양측에 부착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케이스편(2)(2')을 서로 밀착 조립하여 케이스(1)를 형성하되 전방에는 인출입구(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하부를 축으로 회전자제 되면서 인출입될 수 있도록 차단플레이트(4)를 풀리(6)가 고정된 축봉(5)을 축으로 고정 설치하고, 일정거리 떨어진 일지점에는 전원을 콘트롤할 수 있는 콘트롤 PCB기판(8)과 접속연결되며 회전축(9)에 풀리(10)가 고정된 구동모터(7)를 장착한 후, 상기 구동모터(7)의 동력을 차단플레이트(4)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 수단을 구동모터(7)의 회전축(9)에 고정된 풀리(10)와 차단플레이트(4)의 축봉(5)에 고정된 풀리(6)간을 벨트(11)를 걸어 연결 설치한다.
상기 PCB기판(8)은 소변자의 감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감지센서(12)와 접속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2)는 별도의 감지센서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기존의 소변기에 설치된 물내림 감지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플레이트(4)의 양측에는 차단플레이트(4)의 인출입시 좌우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고정가이드롤러(13)와 텐션가이드롤러(14)를 설치하고, 차단플레이트(4)의 전,후측에는 인출 및 삽입의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7)를 정지하여 차단플레이트(4)의 이송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차단플레이트(4)의 전후단 일측에 감지부(15)(15')를 부착하고, 케이스(1)의 전방 내측에는 감지부(15)(15')가 일치되는 감지여부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모터(7)를 정지시킬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16)를 부착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플레이트(4)의 인출 및 삽입의 이송거리는 PCB기판(8)상에 세팅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동모터(7)의 회전수 조절에 의해 인출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삽입시에는 케이스(1)의 후방 내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조절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텐션가이드로울러(14)는 차단플레이트(4)의 두께 변화에 의해 텐션력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후방에 코일스프링(17)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나, 텐션력을 가질 수 있는 판스프링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소변기는 소변을 위하여 사용자가 소변기 앞에 접근하면 감지센서(12)가 소변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는 PCB기판(8)에서 콘트롤하여 구동모터(7)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구동모터(7)의 회전은 차단플레이트(4) 하부에 회전됨 없이 축설된 축봉(5)의 풀리(6)와, 구동모터(7)의 회전축(9)에 고정된 풀리(10)를 연결한 벨트(11)에 의해 구동모터(7)의 회전력이 차단플레이트(4)를 회전시켜 도4b에서와 같이 차단플레이트(4)가 한 쌍의 케이스편(2)(2')을 부착 고정하여서 된 케이스(1)의 인출입구(3)를 통하여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소변자의 도5에서와 같이 허리부분을 가려 양측의 소변자들로 하여금 본인의 남근을 은폐토록하여 부끄러움 없이 소변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플레이트(4)의 회동 인출시 케이스(1)내측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16)의 위치에 차단플레이트(4)의 끝단에 부착된 감지부(15)가 일치되면 이 신호를 전원을 콘트롤하는 PCB기판(8)으로 전달하여 구동모터(7)를 정지시켜 차단플레이트(4)를 케이스(1)의 인출입구(3)로 부터 도2의 점선부분과 같이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도5에서와 같이 소변자의 허리부위를 커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단플레이트(4)의 인출입시 차단플레이트(4)는 케이스(1) 내부에서 양측을 지지하고 있는 고정가이드롤러(13)와 코일스프링(17)이 설치된 텐션가이드롤러(14) 사이에서 가이드 되면서 차단플레이트(4)가 요동됨 없이 원화롭고 부드럽게 인출되는 것이다.
이때 차단플레이트(4)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을 때에는 텐션가이드롤러(14)의 후방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7)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변되면서 과부하 없이 차단플레이트(4)가 간편용이하게 인출되어 소변기(S)의 양측을 커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소변자가 소변을 마치고 소변기(S)로부터 이탈하면 감지센서(12)의 감지 신호에 의해 감지된 이탈신호를 PCB기판(8)에 전달하여 구동모터(7)를 역회전시키면 구동모터(7)의 회전축(9)에 축설된 풀리(10)와, 차단플레이트(4)의 축봉(5)에 축설된 풀리(6)간에 연결된 벨트(11)가 역회전하여 도4a에서와 같이 차단플레이트(4)를 케이스(1)의 인출입구(3)를 통하여 내부로 삽입시켜 원상복귀토록 하되, 차단플레이트(4)의 선단에 부착된 감지부(15')가 케이스(1) 내측 선단에 부착고정된 리미트스위치(16)와 도2에서와 같이 일치되게 접촉되는 순간 감지신호의 전원을 콘트롤하는 PCB기판(8)으로 전달하여 구동모터(7)를 정지시켜 차단플레이트(4)를 케이스(1)의 후방 내측단과 충돌됨 없이 삽입 완료되어 보행자들의 보행시 간섭됨이 전혀 없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플레이트(4)의 이동거리 조절은 감지부(15)(15')와 리미트스위치(16)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지만, 구동모터(7)의 세팅된 회전수에 의해 조절하여도 무방하다.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 단면도로서 소변기(S)의 양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의 내부에 삽입 축설된 차단플레이트(4)의 인출입을 구동 할 수 있는 동력 전달수단을 차단플레이트(4)의 하부 축봉(5)에 기어(18)를 축설고정하고, 구동모터(7)의 회전축(9)에 기어(18')를 축설고정하여 상기 기어(18)(18')를 상호 치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전자와 동일하게 소변자를 감지하여 구동하는 것이고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모터(7)가 구동하면 구동모터(7)의 회전축(9)에 축설고정된 기어(18')의 동력전달을 차단플레이트(4)의 축봉(5)에 축설고정된 기어(18)를 회전시켜 이 동력전달에 의해 차단플레이트(4)의 인출입을 하게 되어 양측의 소변자들로 하여금 본인의 남근을 전자와 동일하게 은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소변자가 소변기(S)로부터 이탈하면 감지센서(12)의 신호에 의해 상기 역순으로 구동모터(7)를 회동시켜 차단플레이트(4)를 케이스(1) 내부로 삽입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플레이트(4)의 이동거리 조절은 감지부(15)(15')와 리미트스위치(16)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지만, 구동모터(7)의 세팅된 회전수에 의해 조절하여도 무방하다.
도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소변기(S)의 양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의 내부에 삽입축설된 차단플레이트(4)의 인출입을 구동할 수 있는 동력전달 수단을 차단플레이트(4)의 하부 축봉(5)에 구동모터(7)의 회전축(9)을 직고정 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자와 동일하게 소변자를 감지하여 구동하는 것이고, 구동모터(7)가 구동하면 구동모터(7)의 회전축(9)과 고정된 차단플레이트(4)의 축봉(5)을 회전시켜 이 회동력에 의해 차단플레이트(4)을 전자와 동일하게 인출되어 소변자의 남근을 은폐할 수 있는 것이고 소변완료 후 소변자가 이탈하면 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7)가 상기 역순으로 구동하여 차단플레이트(4)를 삽입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플레이트(4)의 이동거리 조절은 감지부(15)(15')와 리미트스위치(16)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지만, 구동모터(7)의 세팅된 회전수에 의해 조절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변기는 양측의 케이스에 내장된 차단플레이트를 소변자가 소변기에 접근하면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구동모터에 전달하여 구동모터의 정회전 구동력에 의해 차단플레이트를 작동하여 인출 커버토록하고 소변자가 이탈하면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차단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소변시 타인에게 내보이기 싫어하는 본인의 남근을 양측의 소변자들로 하여금 볼 수 없도록 차단하여 플라이벗 침해를 당하지 않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공지의 소변기(S) 양측에 전방으로 인출입구(3)가 형성된 케이스(1)와,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의 축봉(5)을 축으로 소변시에는 인출되어 커버할 수 있도록 하고 소변을 마친후에는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플레이트(4)와, 상기 차단플레이트(4)를 소변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정.역회전시켜 일정거리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7)와, 상기 구동모터(7)의 회동력을 차단플레이트(4)의 축봉(5)에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7)는 감지센서(12)와 접속연결되어 감지신호의 여부를 콘트롤하는 PCB기판(8)과 접속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7)의 회전축(9)에 풀리(10)를 고정하고, 차단플레이트(4)의 축봉(5)에 풀리(6)를 고정하여 벨트(11)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7)의 회전축(9)에 기어(18)를 고정하고, 차단플레이트(4)의 축봉(5)에 기어(18')를 고정하여 상기 기어(18)(18')가 상호 치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구동모터(7)의 회전축(9)을 차단플레이트(4)의 축봉(5)에 직접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차단플레이트(4)의 상부 양측에 고정가이드롤러(13)와, 텐션가이드롤러(14)를 설치하여 인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플레이트(4)의 전후단 일측에 감지부(15)(15')를 부착하고, 케이스(1)의 전방 내측에 리미트스위치(16)를 부착고정하여 차단플레이트(4)의 이동거리를 콘트롤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을 하는 소변기.
KR2019990028286U 1999-12-15 1999-12-15 소변기 KR20018047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938A KR20000012627A (ko) 1999-12-15 1999-12-15 소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938A Division KR20000012627A (ko) 1999-12-15 1999-12-15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473Y1 true KR200180473Y1 (ko) 2000-05-01

Family

ID=196260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286U KR200180473Y1 (ko) 1999-12-15 1999-12-15 소변기
KR1019990057938A KR20000012627A (ko) 1999-12-15 1999-12-15 소변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938A KR20000012627A (ko) 1999-12-15 1999-12-15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04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853B1 (ko) * 2002-03-27 2005-03-08 박경철 남성용 소변기 및 남성용 소변기 보조장치
KR200446249Y1 (ko) * 2008-01-29 2009-10-12 황도익 시야 차단 날개를 갖는 소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688B1 (ko) * 2012-07-05 2014-09-01 이상규 커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853B1 (ko) * 2002-03-27 2005-03-08 박경철 남성용 소변기 및 남성용 소변기 보조장치
KR200446249Y1 (ko) * 2008-01-29 2009-10-12 황도익 시야 차단 날개를 갖는 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27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116B2 (en) Automatic towel dispenser
KR100832977B1 (ko) 롤 페이퍼 공급 장치
JP3355554B2 (ja) 濡れタオル自動供給装置
CA2760805C (en) Sheet product dispenser
CA2422047C (en) Animal waste disposal system
US5279258A (en)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US5592900A (en)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EP2994579B1 (en) Concealed wall-mounted folding urinal
KR200180473Y1 (ko) 소변기
KR950002384B1 (ko) 시이트 페이퍼 자동공급 변좌
EP1915080B1 (en) Hygienic paper dispenser
KR100473853B1 (ko) 남성용 소변기 및 남성용 소변기 보조장치
JP3172816B2 (ja) 筒状小便器
JPH0566450B2 (ko)
JP2008057213A5 (ko)
KR200459113Y1 (ko) 화장실용 위생장치
CN217723353U (zh) 一种自动定长取纸的智能纸巾机
JP3633328B2 (ja) 便座・便ふた自動閉装置
CN210238674U (zh) 一种大便池感应冲水器
KR200250492Y1 (ko) 좌변기 위생시트 자동공급장치
KR100695294B1 (ko) 좌변기용 위생커버 및 이의 공급장치
JP2003120124A (ja) 電動式引き戸
KR200257911Y1 (ko) 변기커버지 무인판매기
WO2010085017A1 (ko) 소변기
KR20120100163A (ko) 남성용 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