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414Y1 - 위생 손가락커버 - Google Patents

위생 손가락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414Y1
KR200180414Y1 KR2019990025957U KR19990025957U KR200180414Y1 KR 200180414 Y1 KR200180414 Y1 KR 200180414Y1 KR 2019990025957 U KR2019990025957 U KR 2019990025957U KR 19990025957 U KR19990025957 U KR 19990025957U KR 200180414 Y1 KR200180414 Y1 KR 200180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joint part
ointment
finger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희
권승자
Original Assignee
유용희
권승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용희, 권승자 filed Critical 유용희
Priority to KR2019990025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4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4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61F13/1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for the finger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 손가락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이나 넘어질 경우, 또는 여드름 및 무좀, 습진 등과 같은 피부질환에 바르는 연고나 크림으로 이루어진 약을 바를 때에 손가락에 커버를 씌움으로써 약을 바른 이후 손가락 표면에 약물이 묻어 있지 않도록 하여 손가락에 의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생 손가락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절곡마디부(7a)(7b)들에 의해 제1,2,3 관절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절부(1)를 제외하고 제2관절부 또는 제3관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부에 수개의 통기공(6)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구되어 인입부(5)를 갖는 튜브형상의 단일몸체(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관절부(1)의 상부 또는 하부면 어느 한 면에는 원형돌기형상, 요철형상 및 지문형상과 같은 요철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손가락커버 몸체(10)의 타측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입부(5) 둘레에는 조임밴드(8)를 구성하여 손가락에 위생 손가락커버를 끼웠을 때에 인위적인 힘에 의하지 않고는 손가락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피부질환을 치료할 경우에 사용한 손가락에 연고의 잔여분의 존재에 따라 야기되는 여러 가지 비위생적인 결과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좀 더 청결하게 상처를 치료할 수 있으며, 일일이 손을 세척하는 불편함을 해결한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위생 손가락커버{SANITATION FINGER COVER}
본 고안은 위생 손가락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이나 넘어질 경우, 또는 여드름 및 무좀, 습진 등과 같이 주로 사람의 외피에 발생되는 피부질환에 바르는 연고나 크림으로 이루어진 약을 바를 때에 손가락에 커버를 씌움으로써 약을 바른 이후 손가락 표면에 약물이 묻어 있지 않도록 하여 손가락에 의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생 손가락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을 입거나 넘어지는 경우 무좀 및 습진 또는 기타의 요인으로 인해 사람의 외피에 피부질환이 생긴 경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연고나 크림으로 이루어진 화상치료제, 살균제 및 항생제를 바른다.
이와 같이 연고나 크림으로 이루어진 약(이하 '연고'라 칭하여 설명한다)은 별도의 면봉을 사용하거나 또는 손가락에 직접 연고를 묻힌 후 상처 부위에 바르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면봉에 연고를 묻혀 상처 부위에 바를 경우에는 면봉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주로 손가락 표면에 직접 연고를 묻힌 후 바르는 것이 대부분이며, 연고를 손가락에 직접 묻힌 후 상처 부위를 치료할 경우, 손가락이 깨끗이 세척된 경우가 아니면 자칫 손가락으로부터의 2차 감염이 있을 수 있고, 특히 연고 도포 이후 손가락에 연고의 잔여분이 존재하게 되어 손가락에 묻은 약을 세척하지 아니하고 손을 이용하여 눈을 비비거나 입을 만지거나 또는 빵과 같이 손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어 먹는 경우에, 손가락에 존재하고 있는 연고의 잔여분이 몸속으로 흡입되거나 입등에 묻게되어 위생적이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고 도포 전후에 항상 손을 비누로 깨끗하게 세척해야 하지만, 일일이 손을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어 손을 세척하지 아니하고 비위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손을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기 위해서 최근에는 연고를 상처부위에 도포하기 전에 일회용 비닐장갑을 손에 낀 다음, 그 위에 연고를 묻혀 상처부위에 도포한 후, 사용한 비닐장갑을 폐기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와같이 일회용 비닐장갑을 이용할 경우에는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중 일회용 비닐장갑을 휴대하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연고를 손가락에 직접 묻혀 상처부위에 도포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가락만을 커버로 씌운 후 커버 표면에 약을 묻혀 상처부위에 도포하여 피부질환과 같은 상처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전/후 일일이 손을 세척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청결하고 위생적이며 경제적으로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위생 손가락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에 손가락이 인입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절단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관절부 2 : 제2관절부
3 : 제3관절부 5 : 인입부
6 : 통기공 7a, 7b : 절곡마디부
8 : 조임밴드 10 : 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는,
절곡마디부들에 의해 제1관절부와 제2관절부 및 제3관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절부를 제외한 나머지 관절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부에 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구되어 인입부를 갖는 튜브형상의 단일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관절부의 상부 또는 하부면 어느 한 면에는 원형돌기형상, 요철형상 및 지문형상과 같은 요철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타단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입부 둘레에 조임밴드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는, 손가락에 끼운 후, 선단부 표면에 연고를 발라 상처부위에 도포하기 때문에 손가락에 연고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손가락에 존재하고 있는 연고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처부위에 고르게 연고를 도포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가 손가락에 인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는, 절곡마디부(7a)(7b)들에 의해 제1관절부(1)와 제2관절부(2) 및 제3관절부(3)로 나뉘어지고,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쇄된 튜브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관절부(1)는 상부 또는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연고를 묻혀 상처부위에 도포할 수 있는 도포면(11)을 갖는다.
상기 몸체(10) 타측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입부(5)둘레에는 조임밴드(8)를 구성하여 손가락에 위생 손가락커버를 끼웠을 때에 인위적인 힘에 의하지 않고는 위생손가락커버가 손가락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특히 병원등에서 연고 도포량이 많거나 전신화상등과 같이 치료부위가 광범위하여 장시간 연고를 도포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관절부(2) 또는 제3관절부(3) 중 적어도 어느하나의 관절부의 둘레면에는 수개의 통기공(6)들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을 위생 손가락커버(100)로 부터의 인입 또는 인출과정을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여 땀 등에 의해서 위생 손가락커버(100)가 손가락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의 작용을 도 3 내지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드름이나 화상, 또는 넘어져서 다치거나 무좀, 습진등의 피부질환이 발생하여 상처를 치료하고자 할 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P)에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100)를 끼운다.
상기 위생 손가락커버(100) 몸체(10)의 타단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입부(5)로 부터 인입되어 끼워지는 손가락(P)은 연고를 상처에 도포하여 치료할 때에 주로 사용되는 검지손가락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검지손가락(P)을 위생 손가락커버(100)에 끼운 다음, 이 검지손가락(P)에 인입되어 끼워진 위생 손가락커버(100)의 선단부면인 제1관절(1)의 상부 또는 하부면 중 검지손가락(P)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도포면(11)에 연고를 묻힌 후, 상처에 골고루 도포하여 상처를 치료한다.
상기와 같이 연고를 상처부위에 도포하는 동안, 상기 위생 손가락커버 몸체(10)의 절곡마디부(7a)(7b)들에 의해 형성된 제1관절부(1), 제2관절부(2) 및 제3관절부(3)들이 상기 검지손가락(P)의 각 관절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연고를 도포하는 손놀림에 불편함이 없다.
상기 각 관절부(1)(2)(3)들은 예컨대 주름선 정도이어도 족하며, 위생 손가락커버(100)의 재질이 극히 얇은 비닐재이거나 얇은 고무재인 경우에는 절곡마디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검지손가락(P)에 위생 손가락커버(100)를 끼워 연고를 도포하여 상처를 치료하는 동안, 상기 제2관절부(2) 또는 제3관절부(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부 둘레면에 형성된 수개의 통기공(6)들을 통해 위생 손가락커버(100)내로 바람이 유입되기 때문에 검지손가락(P)에서 생겨나는 땀에 의해 위생 손가락커버(100)와 검지손가락(P)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느낌으로 상처를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위생 손가락커버(100)가 검지손가락(P)에 인입 또는 인출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위생 손가락커버(100)를 검지손가락(P)에 인입하여 끼운 후, 상처에 연고를 도포하여 치료하는 동안에, 상기 위생 손가락커버(100)의 타단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입부(6)의 둘레가 조임밴드(8)로 구성되어, 위생 손가락커버(100)는 인위적임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검지손가락(P)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예컨대 병원등에서 연고의 도포량이 많거나 장시간 연고를 상처에 도포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판 형상의 비닐재, 고무재 또는 종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약회사에서 만든 연고의 포장상자 내에 수개 첨부되어 소비자가 필요시마다 하나씩 사용할 수 있으며, 낱개 포장하여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생 손가락커버(100)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된 제1관절부(1)에 연고가 묻혀지는 도포면(11)의 형상을 지문 형상이나, 원형돌기형상 또는 요철형상과 같이 돌기부를 형성하여 연고를 상처에 도포시에, 연고와 위생 손가락커버간의 슬립(slip)을 방지할 수 있어 연고를 상처에 고르게 바를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한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 도포면의 표면 형상은 구애받지 않으며, 상기 제1관절부(1)를 제외한 나머지 관절부에 형성된 통기공(6)들은 제2관절부(2)나 제3관절부(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부 둘레면에 형성하여도 되고, 제2관절부(2) 및 제3관절부(3)의 둘레면에 동일하게 형성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에 의하면, 화상이나 넘어지게 되어 상처가 나거나 무좀, 습진 또는 여드름등과 같은 피부질환을 치료할 경우에 연고를 상처에 도포함에 있어서, 사용한 손가락에 연고의 잔여분의 존재함에 따라 야기되는 여러 가지 비위생적인 결과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에 의하면, 상처를 치료하는데에 좀 더 청결하게 치료할 수 있으며, 상처를 치료하기 전, 후 일일이 손을 세척하지 않아도 된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손가락커버에 의하면, 얇은 판 형상의 비닐재, 고무재 또는 종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약회사에서 만든 연고의 포장상자 내에 수개 첨부되어 소비자가 필요시마다 하나씩 사용할 수 있으며, 낱개 포장하여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절곡마디부(7a)(7b)들에 의해 제1관절부(1)와 제2관절부(2) 및 제3관절부(3)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절부(1)를 제외한 나머지 관절부(2)(3)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절부에 수개의 통기공(6)들이 형성되며,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구되어 인입부(5)를 갖는 튜브형상의 단일몸체(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손가락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절부(1)의 상부 또는 하부면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은 요철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손가락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몸체(10)의 타단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입부(5)의 둘레에 조임밴드(8)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손가락커버.
KR2019990025957U 1999-11-24 1999-11-24 위생 손가락커버 KR200180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957U KR200180414Y1 (ko) 1999-11-24 1999-11-24 위생 손가락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957U KR200180414Y1 (ko) 1999-11-24 1999-11-24 위생 손가락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414Y1 true KR200180414Y1 (ko) 2000-05-01

Family

ID=1959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957U KR200180414Y1 (ko) 1999-11-24 1999-11-24 위생 손가락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4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010B1 (ko) * 2008-06-24 2009-06-29 정현진 위생 핑거캡
KR100987532B1 (ko) 2009-03-04 2010-10-13 정현진 위생 핑거캡
KR101169530B1 (ko) 2010-06-28 2012-07-27 김광일 보조기구
KR20210148614A (ko) * 2020-06-01 2021-12-08 이정희 손가락 장갑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010B1 (ko) * 2008-06-24 2009-06-29 정현진 위생 핑거캡
WO2009157663A2 (ko) * 2008-06-24 2009-12-30 Jeong Hyeon-Jin 위생 핑거캡
WO2009157663A3 (ko) * 2008-06-24 2010-04-15 Jeong Hyeon-Jin 위생 핑거캡
KR100987532B1 (ko) 2009-03-04 2010-10-13 정현진 위생 핑거캡
KR101169530B1 (ko) 2010-06-28 2012-07-27 김광일 보조기구
KR20210148614A (ko) * 2020-06-01 2021-12-08 이정희 손가락 장갑
KR102475302B1 (ko) * 2020-06-01 2022-12-06 이정희 접촉성 병원균 차단용 손가락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3612B2 (en) Sanitary finger cap
US7745683B2 (en) Deformable and conformable wound protec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of application
US3403682A (en) Incontinence devices
US20200206019A1 (en) Menstrual Device with Pressure Points and Elongated Removal Stem
US6019103A (en) Disposable sanitary eye protector
US20140194802A1 (en) Protective Bandage Device
US20080109928A1 (en) Disposable Finger Glove with Zig-Zag Slots
US20070088281A1 (en) Cover for protecting intravenous entry site
GB2390978A (en) Applicator and/or stimulator device
KR200180414Y1 (ko) 위생 손가락커버
JP2018089376A (ja) 生理用具
KR102152803B1 (ko) 애완동물 항문낭액 제거기구
KR200301793Y1 (ko) 일회용손가락커버
KR200390977Y1 (ko) 일회용밴드
KR20210148614A (ko) 손가락 장갑
JPH07124189A (ja) 便キャッチ
KR200263576Y1 (ko) 약품 투입 보조기구
JP2004075165A (ja) 薬剤塗布容器
US20010031939A1 (en) Arm and leg medical protection sleeve
US20210259336A1 (en) Finger Glove
KR200370684Y1 (ko) 발가락밴드
KR200265760Y1 (ko) 약품 투입 보조기구
KR101873172B1 (ko) 손가락 도포 장치
KR200213509Y1 (ko) 1회용 손가락 안전 보호캡
JPH03505043A (ja) 塗布具およびその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