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532B1 - 위생 핑거캡 - Google Patents

위생 핑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532B1
KR100987532B1 KR1020090018602A KR20090018602A KR100987532B1 KR 100987532 B1 KR100987532 B1 KR 100987532B1 KR 1020090018602 A KR1020090018602 A KR 1020090018602A KR 20090018602 A KR20090018602 A KR 20090018602A KR 100987532 B1 KR100987532 B1 KR 10098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anitary
food
cap
fing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941A (ko
Inventor
정현진
Original Assignee
정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진 filed Critical 정현진
Priority to KR102009001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5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7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fing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91/00Tools, implements, or accessories for hand sewing
    • D05B91/04Thimbles; Finger shields; Palm pro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용 위생도구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손에 묻히지 않고 간편하게 집을 수 있도록 손가락에 착용하는 위생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손가락 삽입 시, 손의 중앙부와 연결된 손가락 셋째마디 또는 손가락의 둘째마디를 수용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굵기가 좁아지는 원뿔 형태 또는 다각뿔 형태로 구성되며, 손가락의 말단부인 첫째 마디 또는 둘째마디를 수용하고, 음식물을 파지하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가락, 위생 장갑, 핑거

Description

위생 핑거캡{Sanitary finger cap}
본 발명은 음식용 위생도구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손에 묻히지 않고 간편하게 집을 수 있도록 손가락에 착용하는 위생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집을 수 있는 위생도구로는 젓가락, 포크, 이쑤시개 등이 있다.
하지만 치킨, 피자, 족발, 햄버거, 튀김 등과 같은 음식은 젓가락이나 포크 등의 위생도구를 사용하여 집기 불편하여, 손으로 집어 먹거나 음식의 일 부위를 냅킨 등으로 싸서 집는다.
이와 같이 손으로 음식을 집거나, 냅킨을 이용하여 음식을 집을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음식을 집기 전 손을 세척하더라도 손가락에 남은 세균을 완벽하게 제거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야외에서 음식을 섭취할 경우 손을 씻기 곤란하여, 비위생적으로 음식을 섭취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티슈나 냅킨에서 배출되는 형광물질 등의 화학물질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셋째, 뜨거운 음식을 손으로 집을 경우, 손가락의 피부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넷째, 음식을 섭취 후, 손가락에 남은 기름기 또는 양념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힘들어, 손가락에 음식 냄새가 베일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위생도구가 개발되었다. 그 한 예로 손가락에 캡을 씌워 음식을 집는 방법(편의상 종래기술이라 기술함)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손가락에 캡을 씌우기 쉽기 때문에 음식물이 손에 묻지 않도록 음식을 집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캡의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파지(把指)하고 유지하는데 무리가 있다.
둘째, 성인과 아동의 손가락 길이와 굵기 또는 여성과 남성의 손가락 굵기의 차이 또는 손가락 사이의 굵기 등 개개인의 손가락 길이와 굵기를 고려하지 못하여 사용 중 쉽게 캡이 벗겨지는 단점이 있다.
셋째, 음식물을 파지하는 캡의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뜨거운 음식을 집을 경우, 음식의 열기가 그대로 전달되어 손가락 피부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
넷째, 손가락 굵기와 캡의 단면 크기가 거의 동일한 경우, 벗겨질 우려는 적어지지만 장시간 사용 시, 캡 내부에 땀으로 인한 습기가 차게 되어 캡을 쉽게 벗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첫째, 삽입부와 파지부가 일체로 연결된 핑거캡을 손가락에 착용하여, 음식물이 손에 닿지 않고, 위생적으로 음식물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파지부 하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음식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파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파지부의 하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뜨거운 음식을 파지할 때 음식의 열기가 손의 피부에 전달되는 것을 줄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파지부 상부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상부와 밀착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삽입부의 일부 면 또는 전체 면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고, 통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섯째, 삽입부의 말단에 형성된 테두리부를 이용하여 삽입부의 길이 또는 굵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곱째, 두 개 이상의 위생 핑거캡의 각 삽입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위생 핑거캡의 착용감을 높이고, 분실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은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손가락 삽입 시, 손의 중앙부와 연결된 손가락 셋째마디 또는 손가락의 둘째마디를 수용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굵기가 좁아지는 원뿔 형태 또는 다각뿔 형태로 구성되며, 손가락의 말단부인 첫째 마디 또는 둘째마디를 수용하고, 음식물을 파지하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은
첫째, 삽입부와 파지부가 일체로 연결된 핑거캡을 손가락에 착용하여, 음식물이 손에 닿지 않고, 위생적으로 음식물을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손에 음식물이 남지 않아 음식물 섭취 후에도 손 세척이 용이하며, 음식물 냄새가 손에 잔재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파지부 하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음식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파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파지부의 하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뜨거운 음식을 파지할 때 음식의 열기가 손의 피부에 전달되는 것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넷째, 파지부 상부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상부와 밀착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맞게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삽입부의 일부 면 또는 전체 면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삽입부의 일부 또는 전체 면에 형성된 주름부로 통기성을 높아져 사용 중에 핑거캡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 핑 거 캡의 쉽게 벗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일곱째, 삽입부의 말단에 형성된 테두리는 말아 올려 캡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삽입부의 둘레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두 개 이상의 위생 핑거캡의 각 삽입부의 말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위생 핑거캡의 착용감을 높이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복수 개의 위생 핑거캡의 각 삽입부 말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면, 연결부는 위생 핑거캡이 착용된 손가락 간에 연결되는 피부 또는 손바닥의 일부에 밀착되어, 음식물이 손바닥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째, 복수 개의 핑거캡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에 연결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기 용이한 연결주름부가 더 구비하면, 위생 핑거캡의 착용 후, 손가락 활동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은 크게 삽입부와 파지부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크게 삽입부(20)와 파지부(10)로 구성되며, 재질은 얇고. 유연성이 있으며, 열에 강하며 인체에 무해한 천연 고무 또는 플라스틱 합성 재질 또는 종이 재질 등을 사용한다.
상기 삽입부(20)와 파지부(10)의 재질의 예로서는 천연 라텍스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등이 있다.
상기 천연 라텍스는 말레이 반도를 중심으로 재배되는 천연고무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유액이 원료로 사용되며, 탄성력과 복원력이 뛰어남과 더불어 항균성도 가진 천연소재이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고압에서 만든 폴리에틸렌, 즉, 주유소의 폐(廢)가스 또는 에틸렌가스를 고압에서 중합(重合)시키는 고압법으로 만든 저밀도,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말한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녹는점 107~112℃이며, 비중은 0.92이고, 투명도가 크며, 재질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며, 필름이나 시트 등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 삽입부(20)와 파지부(10)의 두께는 약 0.2mm~ 0.4mm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20)는 손가락이 최초 삽입되는 부분이며, 대체로 손가락의 굵기 형태에 따라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삽입부(20)의 둘레는 손가락 삽입 시, 손가락의 가장 굵은 부분 즉, 손의 중앙부와 연결된 손가락 셋째마디와 손가락 둘째마디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다.
즉, 손가락 셋째마디에 비해 손가락 둘째마디의 굵기는 얇아지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2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둘레가 소정 치수 작아지는 원통 형태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0)의 외면의 일측 또는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으로 형성된 주름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름부(25)는 상기 삽입부(20)가 수용하고 있는 손가락 둘째마디 및 셋째마디에 착용감을 높여주며, 삽입부(20)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부(25)의 각 주름간의 공간을 통해 통기성을 높일 수 있어, 위생 핑거캡의 내부에 땀 등으로 인한 습기 발생을 낮추어 주며, 위생 핑거캡의 사용 후, 쉽게 벗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삽입부(20)의 말단부에는 테두리부(23)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23)는 삽입부(20)의 전면 두께보다 굵게 형성되고, 외부와 개방되는 삽입부(20) 일측의 말단부를 견고하게 정리해주며, 위생 핑거캡을 손가락에 착용 시, 손잡이의 역할을 해줄 수 있고, 핑거캡의 말단부가 손가락 마디에 밀착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23)는 외부 방향으로 말아 올려 위생 핑거캡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테두리부(23)를 말아 올리게 되면 삽입부 내부 크기가 좁아지기 때문에 손가락 길이가 짧고, 손가락 굵기가 가는 여성이나 아동의 손에 착용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부(23)는 말아 올리기 편한 원형 테두리로 형성하였으 나, 소정 치수의 너비를 지닌 밴드 형태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파지부(10)는 삽입부(20)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크기가 작아지는 원뿔 형태 또는 다각뿔 형태로 구성되며, 손가락의 형태에 따라 유선적인 형태로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10)는 위생 핑거캡의 착용 시, 손가락의 말단부인 첫째마디 및 둘째마디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음식물을 파지 시, 음식물이 직접 닿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부(10)는 전체적으로 삼각 뿔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단면이 대체적으로 삼각형태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파지부(10)의 단면을 삼각 형태로 구성하면 핑거캡 착용 시, 파지부(10)의 양측과 상측에 빈 공간이 발생하여, 통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삼각형의 옆면이 손가락 상부의 양단을 눌러 착용감을 높이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0)의 외면에는 요철부(13) 및 고정홈(15)이 구비된다.
상기 요철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0)의 일부 또는 전면 돌출된 요철로 구성되어, 음식물 파지 시, 음식물을 미끄러지지 않게 집을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파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13)의 형성으로 파지부(10)의 하면은 타면에 비해 두께가 두꺼워져, 뜨거운 음식을 집을 때, 음식의 열기가 손가락의 피부에 그대로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의 요철부(13)는 파지부(10)의 하면에 원형의 요철이 다수개가 형성된 형태이지만, 요철부의 형태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빗살 형태, 직선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고정홈(15)은 상기 파지부(10)의 외부면 일측에 핑거캡 내부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손가락의 표면에 밀착 되어 핑거캡의 착용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손가락의 굵기는 남성의 차이, 성인과 아동의 차이 등 개개인이 다른 치수를 지니는데, 상기 고정홈(15) 이러한 손가락 굵기의 차이에 따라 위생 핑거캡의 착용감을 높이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0)의 단면이 삼각형태로 이루어지고, 요철부(13)이 형성된 하면을 제외한 양측면에 핑거캡 내부로 함몰된 고정홈(15)가 형성되어, 손가락 삽입 시, 손가락 상부 양단에 밀착되어 눌러줌으로써, 핑거캡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홈(15)의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파지부(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음식물을 집을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에 착용한 것이다.
엄지손가락은 다른 손가락에 비해 굵고, 길이가 짧은 것이 특징이므로, 엄지손가락에 착용하는 위생 핑거캡은 다른 손가락에 착용하는 핑거캡 보다 전체 길이가 짧고, 단면의 크기가 크도록 형성하여, 구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손의 모든 손가락에 위생 핑거캡을 착용할 수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손가락인 엄지와 검지 위생 핑거캡만 구비하여도 되며, 더욱 안정적인 음식물 파지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에 위생 핑거캡을 구비하여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의 도면으로,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차이점은 두 개의 위생 핑거캡을 연결하는 연결부(30)가 더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30)의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에 착용된 위생 핑거캡 삽입부(20)의 말단 일부와 검지손가락에 착용된 위생 핑거캡 삽입부(20)의 말단 일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30)는 각 위생 핑거캡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위생 핑거캡이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는 끈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일정치수의 너비를 가진 밴드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위생 핑거캡을 착용 시,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의 피부 혹은 손가락과 인접한 손바닥의 일부를 감싸게 되므로 뜨거운 음식을 파지 할 경우, 음식물이나 기름기 등이 손바닥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 상에는 위생 핑거캡 착용 후, 손가락의 활동이 용이하도록 연결주름부(3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주름부(35)는 위생 핑거캡이 착용된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 특히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연결부의 신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주름 형태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바라 형태의 연결주름부(35)로 형성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의 도면으로, 엄지, 검지 및 중지손가락에 착용하는 위생핑거캡의 각 삽입부(20)의 말단 일부가 일체 연결된 연결부(30)가 더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0)가 구비될 경우, 연결부(30)와 맞닿은 테두리부(23)의 일부는 자연스럽게 없어지거나, 테두리부(23) 전체를 구성에서 제외가 가능하다.
하지만 테두리부(23)는 위생 핑거캡의 착용 또는 분리 시, 손잡이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형태로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름부(25)는 첫 번째 실시예에서는 위생 핑거캡의 삽입부 하부에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었지만, 두 번째 실시예와 세 번째 실시예에서는 위생 핑거캡의 삽입부 상부에 손가락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네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주름부(25)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위생 핑거캡의 삽입부상에 손가락 길이 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며, 그 위치는 삽입부의 상단 일부에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주름부(25)를 상기 연결부(30)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삽입부 상에 구비할 수 도 있지만, 상기 연결부(30)가 손바닥의 피부와 밀착되어 하부의 주름부(25)의 통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연결부(30)를 구비 시, 상기 주름부(25)는 위생 핑거캡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다섯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의 도면으로, 첫 번째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20)의 일측에 절개부(27)가 더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위생 핑거캡을 성인과 아동의 손가락 굵기 또는 성인 남성과 여성의 손가락 굵기를 고려하여 제작하더라도, 평균 손가락 굵기보다 훨씬 굵은 손가락을 위생 핑거캡의 삽입부(20)에서 수용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20)의 일측에 위생 핑거캡의 길이 방향으로 점선형태의 절개부(27)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삽입부(20)의 일측이 절개되면서 손가락의 말단부분이 파지부(10)까지 수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절개부(27)는 삽입부 상에 하나의 점선형태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부(20) 상에 다양한 형태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을 착용하면, 음식물이 손에 닿지 않고, 위생적으로 음식물을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손에 음식물이 남지 않아 음식물 섭취 후에도 손 세척이 용이하며, 음식물 냄새가 손에 잔재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위생 핑거캡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의 파지부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의 삽입부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첫 번째 실시예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네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핑거캡의 다섯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6)

  1. 원통 또는 다각통 형태로 구성되며, 손가락 삽입 시, 손의 중앙부와 연결된 손가락 셋째마디 또는 손가락의 둘째마디를 수용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는 원뿔 형태 또는 다각뿔 형태로 구성되며, 손가락 삽입 시, 손가락의 말단부인 첫째 마디 또는 둘째마디를 수용하고, 음식물을 파지하는 파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핑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외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로 구성된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핑거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외면의 일부 또는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으로 형성된 주름부와 개방된 일측 가장자리에 원형 또는 밴드 형태의 테두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핑거캡.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위생 핑거캡을 연결하기 위하여, 각 위생 핑거캡의 삽 입부의 말단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핑거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상에는 연결부의 신축성을 높이기 위한 주름 형태의 연결주름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핑거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위생 핑거캡의 길이방향으로 절개가 가능한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핑거캡.
KR1020090018602A 2009-03-04 2009-03-04 위생 핑거캡 KR10098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602A KR100987532B1 (ko) 2009-03-04 2009-03-04 위생 핑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602A KR100987532B1 (ko) 2009-03-04 2009-03-04 위생 핑거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523A Division KR100905010B1 (ko) 2008-06-24 2008-09-26 위생 핑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941A KR20100027941A (ko) 2010-03-11
KR100987532B1 true KR100987532B1 (ko) 2010-10-13

Family

ID=4217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602A KR100987532B1 (ko) 2009-03-04 2009-03-04 위생 핑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68B1 (ko) * 2012-12-26 2014-11-03 이영태 손가락튜브, 손가락튜브세트 및 이를 이용한 장갑
KR101992219B1 (ko) 2018-07-13 2019-06-25 박대철 세척 가능한 주유용 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86B1 (ko) * 2015-06-06 2016-01-11 김광철 지름 가변형 말이식 손가락 위생 장갑
EP3664650A4 (en) * 2016-12-09 2021-07-07 Adam Walker GLOVE
KR101962680B1 (ko) * 2017-12-06 2019-03-27 홍성정 식품 포장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157Y1 (ko) * 1991-04-15 1993-04-26 박영만 산업용 지골무
KR980006283U (ko) * 1998-02-03 1998-04-30 남희철 일회용 손가락커버
KR200180414Y1 (ko) 1999-11-24 2000-05-01 유용희 위생 손가락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157Y1 (ko) * 1991-04-15 1993-04-26 박영만 산업용 지골무
KR980006283U (ko) * 1998-02-03 1998-04-30 남희철 일회용 손가락커버
KR200180414Y1 (ko) 1999-11-24 2000-05-01 유용희 위생 손가락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68B1 (ko) * 2012-12-26 2014-11-03 이영태 손가락튜브, 손가락튜브세트 및 이를 이용한 장갑
KR101992219B1 (ko) 2018-07-13 2019-06-25 박대철 세척 가능한 주유용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941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010B1 (ko) 위생 핑거캡
KR100987532B1 (ko) 위생 핑거캡
US10231499B2 (en) Disposable protective finger covers for use while eating
US20130270330A1 (en) Packaging for Cutlery
KR101096315B1 (ko) 손가락 집게
KR100704707B1 (ko) 1회용 넵킨
WO2004100735A1 (en) Glove-type napkin
KR200386784Y1 (ko) 음식물 파지용 위생골무
KR101583786B1 (ko) 지름 가변형 말이식 손가락 위생 장갑
KR200417158Y1 (ko) 삼중구조의 위생장갑
KR100648647B1 (ko) 위생용 손가락 캡
KR100648650B1 (ko) 위생용 손가락 캡
JP2011019884A (ja) 寿司挟持器具
KR200424009Y1 (ko) 집게용 위생장갑
KR200366183Y1 (ko) 위생용 손가락 캡
KR200351247Y1 (ko) 음식물용 손가락 집게
CN216090870U (zh) 一种牙签
KR940002684Y1 (ko) 일회용 위생장갑
KR200436147Y1 (ko) 손가락용 장갑
KR200442550Y1 (ko) 1회용 장갑
CN208217179U (zh) 开肠器
KR200220831Y1 (ko) 위생용 골무
CN205659039U (zh) 剔甲器
KR200451172Y1 (ko) 안전성과 위생성을 향상시킨 집게
JP3075887U (ja) 落下防止付庖丁用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