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379Y1 -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 Google Patents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379Y1
KR200180379Y1 KR2019990022822U KR19990022822U KR200180379Y1 KR 200180379 Y1 KR200180379 Y1 KR 200180379Y1 KR 2019990022822 U KR2019990022822 U KR 2019990022822U KR 19990022822 U KR19990022822 U KR 19990022822U KR 200180379 Y1 KR200180379 Y1 KR 200180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duction pipe
antenna
main body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식
정한기
Original Assignee
피제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제이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제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2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379Y1/ko
Priority to JP2000130265A priority patent/JP2000349897A/ja
Priority to CN 00118055 priority patent/CN127275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수화기로부터 연장되어 마이크를 지지하는 연장봉 내에 안테나와 음성신호를 유도하는 음성 유도관을 내장하여 음성신호의 수신 및 유도의 효율을 향상시킨 이어폰형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국선에 접속되며 통화회로가 내장된 본체와,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송/수신회로와 마이크 및 스피커가 내장된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이어폰형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귀에 착용하였을 때 그 종단이 사용자의 입 주위에 도달하는 길이만큼 송/수화기로부터 연장된 연장봉을 포함하며; 연장봉은, 그 종단은 사용자가 발성한 음성을 집음하는 집음부와; 집음부에서 집음된 음성을 송/수화기내의 마이크로 전달하는 음성 유도관과; 본체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송/수화기내의 송/수신회로에 접속되고, 음성 유도관의 외부에 배치된 안테나와; 집음부와 음성 유도관 및 안테나를 피복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집음부와 음성 유도관 및 안테나를 보호하는 완충 보호관을 포함하는 점에 있다.
본 고안은 음성 유도관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까지 유도하므로 외부의 잡음에 강력하게 대응하여 음성신호의 전달효율이 향상되며, 코일형상의 안테나가 음성 유도관의 외부에 다수회 권선된 형태로 이루어져 동일한 길이에 대해 음성신호의 높은 송/수신효율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어폰형 무선전화기{EARPHONE TYPE WIRELESS TELEPHONE}
본 고안은 이어폰형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수화기로부터 연장되어 마이크를 지지하는 연장봉 내에 안테나와 음성신호를 유도하는 음성 유도관을 내장하여 음성신호의 수신 및 유도의 효율을 향상시킨 이어폰형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간의 의사전달을 위한 대표적인 수단이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전화는 유선방식에서 무선방식으로 발전하였고, 무선방식을 이용한 일반 전화기와 휴대용 전화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송/수화기를 한 손으로 지지한 채 통화를 하여야 하므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 전화통화를 할 때에는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없으므로 행동적인 제약을 받게 된다. 특히, 주행중인 차량 내에서 운전자가 통화를 하여야 하는 경우 주행중인 차량을 정차하고 통화하여야 하며, 운전자가 주행중인 차량을 운전하면서 통화를 하는 경우 이는 안전적인 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유럽의 특정국가에서는 주행중인 차량 내에서 운전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률적으로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무선 핸즈프리 전화기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무선 핸즈프리 전화기를 차량에 장착한 경우 전화기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차량 내부의 소정위치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전화기의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전화기는 사용자가 전화기를 허리벨트에 장착하고 유선 이어폰을 전화기에 접속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통화내용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무선 핸즈프리 전화기는 사용자의 통화내용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전화기는 사용자가 전화기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차량용 및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전화기는 이어폰 혹은 마이크 및 스피커가 전화기에 유선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활동영역에 제한을 받는다. 특히, 통화중에 다른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전화기로부터 도출된 유선으로 인하여 다른 업무에 방해를 받는 경우가 발생한다.
결국, 사용자가 전화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활동영역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는 무선전화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99-15486호(99.04.29)에 제시된 바와 같은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을 제시된 바 있다.
이하,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 중 송/수화기의 정면도와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체의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송/수화기용 안테나의 부분절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 중 송/수화기(1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박형의 기본 프레임(101)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내장되도록 스피커 수납부(102)가 기본 프레임(10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기본 프레임(101)의 정면에는 송/수화기(10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도록 배터리 수납부(103)가 기본 프레임(10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기본 프레임(10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송/수화기(100)를 귀에 착용하였을 때 송/수화기(100)를 지지하는 지지부(104)가 형성되어 있고, 기본 프레임(101)의 타측에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입까지의 거리만큼 연장된 연장봉(105)이 설치되며, 이 연장봉(105)의 종단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06)가 내장된다. 그리고, 배터리 수납부(103)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사용자가 통화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통화 스위치(107)가 설치되고, 스피커(102)로부터 인접된 지점에는 송/수화기(100)가 본체(200)에 수납되었을 때 본체(200)의 배터리 충전단자(도 2의 201)에 접속되어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단자(108)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 중 본체(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본체(200)의 소정위치에는 0~9의 숫자버튼과 *버튼과 #버튼과 통화에 관련된 각종 기능버튼들이 배열된 키 패드(202)가 설치되고, 키 패드(202)로부터 인접된 지점에는 전화기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하여 다수의 발광소자들이 배열된 표시부(20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200)의 측면 소정위치에는 송/수화기(100)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본체용 안테나(204)가 설치되고, 본체(200)의 평면 소정위치에는 송/수화기(100)가 수납되도록 송/수화기(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가공된 수납홈(20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 수납홈(205)에 송/수화기(100)가 수납되었을 때 송/수화기(100)내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배터리 충전단자(201)가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 충전단자(201)로부터 인접된 지점에는 송/수화기(100)가 수납홈(205)에 수납되었을 때 송/수화기(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석(206)이 부착된다. 또한, 본체(200)의 일측에는 국선이 접속되는 국선접속단자(207)와, 본체(200)의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접속단자(208)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송/수화기(100)로부터 연장된 연장봉(10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105)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200)와의 통화내용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보강철심을 재질로 한 송/수화기용 안테나(109)가 내장되며, 마이크(106)에 연결되어 마이크(106)를 통하여 공급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송/수화기(100)내의 기능블럭에 제공하는 마이크선(11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화대기모드>
사용자가 송/수화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 스위치(107)를 턴-온시키면, 송/수화기(100)에서 후크-오프(Hook-off)신호를 발생하여 연장봉(105)내의 안테나(109)를 통해 본체(200)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본체(200)는 본체용 안테나(204)를 통하여 후크-오프신호를 입력받아 통화대기모드로 전환한다.
<통화모드>
국선을 통하여 링신호가 감지되면, 본체(200)는 전화벨을 울림과 동시에 표시부(203)내의 통화용 발광소자가 소정주기로 점멸시키고, 사용자가 전화벨 소리를 감지하여 송/수화기(100)의 통화스위치(107)를 턴-온시킴에 따라 본체(200)는 통화회로를 활성화시켜 전화선로를 개통시킨다. 이에 따라, 상대방과의 통화로가 설정되어 통화 가능상태로 전환되고, 국선을 통해 공급되는 음성신호는 송/수화기(1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수신주파수대역으로 변조된 후 본체용 안테나(204)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된다. 이때, 표시부(203)내의 통화용 발광소자는 점등상태를 유지한다.
송/수화기용 안테나(109)에서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신호는 필터 및 증폭과정을 거친 후 스피커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마이크(106)를 향하여 음성을 발생하면, 이 음성은 마이크(106)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조된 후 증폭 및 변조과정을 거쳐 송/수화기용 안테나(109)를 통해 본체(200)로 전송된다. 본체용 안테나(204)를 통해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본체(200)는 통화회로를 통하여 해당 음성신호를 국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상대방은 사용자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결국, 종래의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은 송/수화기(100)와 본체(200)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활동영역에 제한 받지 않고, 이어폰형이므로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어, 추후 사용범위가 보다 확대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수화기와 본체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가 송/수화기로 전달되는 과정과, 송/수화기로부터 본체 혹은 본체로부터 송/수화기로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의 효율성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기술적인 요구에 부응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연장봉의 내부 구성을 개량하여 외부의 잡음에 강력하게 대응하여 음성신호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길이에 대해 음성신호의 높은 송/수신효율을 얻을 수 있는 안테나의 구조를 갖는 송/수화기를 포함한 이어폰형 무선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 중 송/수화기의 정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2는 본체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송/수화기용 안테나의 부분절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송/수화기의 연장봉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절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연장봉 302: 집음부
303: 음성 유도관 304: 마이크
305: 코일 안테나 306: 완충 보호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국선에 접속되며 통화회로가 내장된 본체와,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송/수신회로와 마이크 및 스피커가 내장된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이어폰형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귀에 착용하였을 때 그 종단이 사용자의 입 주위에 도달하는 길이만큼 송/수화기로부터 연장된 연장봉을 포함하며; 연장봉은, 그 종단은 사용자가 발성한 음성을 집음하는 집음부와; 집음부에서 집음된 음성을 송/수화기내의 마이크로 전달하는 음성 유도관과; 본체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송/수화기내의 송/수신회로에 접속되고, 음성 유도관의 외부에 배치된 안테나와; 집음부와 음성 유도관 및 안테나를 피복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집음부와 음성 유도관 및 안테나를 보호하는 완충 보호관을 포함하는 점에 있다.
여기서, 음성 유도관은, 안테나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그 재질이 부도체이며, 특히, 폴리염화 비닐(PV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 유도관은, 음성의 유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그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소정의 금속으로 도금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금 또는 은 중 어느 하나로 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테나는, 코일형태로 이루어져 음성유도관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회 권선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적용된 송/수화기의 연장봉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절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장봉(301)의 일측 종단에는 사용자가 발성한 음성을 집음하는 집음부(30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집음부(302)는 연장봉(301)내의 음성 유도관(303)을 통하여 송/수화기내에 구성된 마이크(304)에 연결된다. 이때, 음성 유도관(303)은 부도체인 폴리염화 비닐(PVC: Polyvinyl Chloride)재질로 이루어지며, 음성 유도관(303)의 내면 혹은 외면 중 적어도 한 면 이상에는 금 혹은 은으로 도금작업을 한다.
한편, 음성 유도관(303)의 외부에는 음성 유도관(303)의 외주면을 따라 스프링형태의 코일 안테나(305)가 다수회 권선되어 있고, 코일 안테나(305)의 외부에는 음성 유도관(303) 및 코일 안테나(305)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도체인 완충용 보호관(306)이 피복되어 있다. 이때, 코일 안테나(305)는 송/수화기내의 송/수신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은 집음부(301)에 의해 집음된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 유도관(303)을 통하여 마이크(304)로 유도된 후, 마이크(304)에 의해 음성신호로 처리된다. 여기서, 음성 유도관(303)에 도포된 금속(금 혹은 은)은 음성의 소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음성유도관(303)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하여, 음성은 음성 유도관(303)내에서 손실 없이 신속하게 마이크(304)로 전송된다. 그리고, 외부의 잡음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깨끗한 통화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코일 안테나(305)는 송/수신회로에서 발생된 음성신호를 본체로 전송하거나 본체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송/수신회로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코일 안테나(305)는 코일형태로 음성 유도관(303)의 외부에 권선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길이의 연장봉(301)에서 보다 긴 코일 안테나(305)를 설치할 수 있어 음성신호의 송/수신효율이 극대화된다.
특히, 음성 유도관(303)은 부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코일 안테나(305)와 음성 유도관(303)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안테나(305)의 외부에 완충용 보호관(306)을 피복함에 따라 완충용 보호관(306)에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이때, 연장봉(301)의 길이는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연장봉(301)의 집음부(302)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도달하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형 무선전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음성 유도관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까지 유도하므로 외부의 잡음에 강력하게 대응하여 음성신호의 전달효율이 향상되며, 코일형상의 안테나가 음성 유도관의 외부에 다수회 권선된 형태로 이루어져 동일한 길이에 대해 음성신호의 높은 송/수신효율을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국선에 접속되며 통화회로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송/수신회로와 마이크 및 스피커가 내장된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이어폰형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송/수화기를 귀에 착용하였을 때 그 종단이 사용자의 입 주위에 도달하는 길이만큼 상기 송/수화기로부터 연장된 연장봉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봉은, 그 종단은 사용자가 발성한 음성을 집음하는 집음부;
    상기 집음부에서 집음된 상기 음성을 상기 송/수화기내의 마이크로 전달하는 음성 유도관;
    상기 본체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송/수화기내의 상기 송/수신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음성 유도관의 외부에 배치된 안테나; 및
    상기 집음부와 상기 음성 유도관 및 상기 안테나를 피복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집음부와 상기 음성 유도관 및 상기 안테나를 보호하는 완충 보호관을 포함하는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유도관은,
    상기 안테나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그 재질이 부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유도관은 그 재질이 폴리염화 비닐(PV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유도관은,
    음성의 유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그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소정의 금속으로 도금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금속은,
    금 또는 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코일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음성유도관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회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KR2019990022822U 1999-04-29 1999-10-22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KR200180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22U KR200180379Y1 (ko) 1999-10-22 1999-10-22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JP2000130265A JP2000349897A (ja) 1999-04-29 2000-04-28 イヤーホーン形無線電話機システム
CN 00118055 CN1272759A (zh) 1999-04-29 2000-04-29 耳机式无线电话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22U KR200180379Y1 (ko) 1999-10-22 1999-10-22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379Y1 true KR200180379Y1 (ko) 2000-05-01

Family

ID=1959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822U KR200180379Y1 (ko) 1999-04-29 1999-10-22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3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515B1 (ko) * 2002-04-13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어-마이크
KR101006207B1 (ko) * 2008-09-25 2011-01-07 김형호 잡음차단수단을 갖는 헤드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515B1 (ko) * 2002-04-13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어-마이크
US7254422B2 (en) 2002-04-13 2007-08-07 Lg Electronics Inc. Antenna-headset combination for a mobile terminal
KR101006207B1 (ko) * 2008-09-25 2011-01-07 김형호 잡음차단수단을 갖는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428A (en) Cordless telephone headset
JP2918510B2 (ja) 携帯用無線電話機
US7254366B2 (en) Induc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1981949A (zh) 用于将放大的音频信号传给用户的系统
CN103200482B (zh) 太阳能充电式蓝牙耳机及装有该蓝牙耳机的车辆
KR200180379Y1 (ko)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KR100359647B1 (ko) 이어폰형 무선전화기 시스템
US20060292985A1 (en) Bluetooth earpiece with two-way audio transmissions
JP2001339485A (ja)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US20030054784A1 (en) Infrared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0349897A (ja) イヤーホーン形無線電話機システム
KR200247585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핸즈프리장치
JP2001156900A (ja) マイク付きイヤフォン
KR20000017832U (ko)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FI121908B (fi) Laite matkapuhelimen käytön helpottamiseksi kuulovammaisille
KR200194772Y1 (ko) 휴대폰용 무선 이어폰
JP4576920B2 (ja) コードレスイヤホン及びコードレスイヤホン付き携帯電話装置
KR200266277Y1 (ko) 라디오가 내장된 휴대폰용 핸드프리 목걸이
KR20000018393U (ko)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JP3115124U (ja) 双方向ボイス伝送機能を有するブルートゥースヘッドフォンハウジング
JPH04127644A (ja) 電話端末用ヘッドセット
KR20070002114A (ko) 다기능 핼멧
JP2002057755A (ja) 携帯電話のハンズフリーキット
KR200186178Y1 (ko)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KR200340080Y1 (ko) 헤드셋 무선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