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124Y1 -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124Y1
KR200180124Y1 KR2019990026229U KR19990026229U KR200180124Y1 KR 200180124 Y1 KR200180124 Y1 KR 200180124Y1 KR 2019990026229 U KR2019990026229 U KR 2019990026229U KR 19990026229 U KR19990026229 U KR 19990026229U KR 200180124 Y1 KR200180124 Y1 KR 200180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ap
support
nut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복
Original Assignee
김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복 filed Critical 김유복
Priority to KR2019990026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6Foot attached to a rotating nut supported on an ex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7Feet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이나 싱크대와 같은 지지물에 사용되는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부(10)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봉(11)과, 상기 높이 조절봉(11)이 삽입되기 위한 통공(15)이 하측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지지물(16)에 결합되는 캡(14)과 상기 캡(14)의 통공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봉(11)과 나사 체결되는 높이 조절너트(1)를 포함하여 구성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봉(11)에 나사체결되어 지지물(16)의 지지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너트(1)를 상기 캡(14)의 하측에 결합하되, 높이 조절너트(1)의 일단에 캡(14)의 통공(15)에 삽입되기위한 결합돌기(2)를 환형으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하고, 이 결합돌기(2)가 통공(15)에 끼워진 상태에서 확관기로서 결합돌기(2)를 확개시켜 통공(15)의 주연부를 'ㄷ'자형으로 감싸 밀착토록하므로써 높이조절너트(13)가 캡(14)에 고정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여 녹방지 도금된 높이 조절너트를 사용할 수 있게되어 제품의 제작비용이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도록 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Combination apparatus of height control nut for height control supporter}
본 고안은 테이블이나 싱크대와 같은 지지물에 사용되는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이 조절너트를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고 캡에 손쉽게 고정 부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녹방지 도금된 높이 조절너트를 사용할 수 있게되어 제품의 제작비용이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도록 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이나 싱크대와 같은 지지물에는 그 지지물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가 사용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 은 종래의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지부(10)의 상측으로 일정높이 길게 돌출되고, 그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봉(11)과, 상기 높이 조절봉(11)이 삽입되기 위한 통공(15)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테이블이나 싱크대와 같은 지지물(16)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파이프(17)에 삽입되어 용접 결합되는 캡(14)과, 상기 캡(14)의 상측으로 용접 작업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봉(11)을 따라 상하이동하여 지지물(16)의 지지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너트(13)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는 캡(14)의 상측으로 높이 조절너트(12)를 용접 작업으로 부착 고정한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높이 조절너트(13)의 하측면을 캡(14)의 상면 (통공(15)이 형성된 부분)에 밀착시킨 후 이 두 구조물의 결합면(A)을 아르곤 용접하여 높이 조절너트(13)를 캡(14)에 고정 부착하는 것이다.
높이 조절너트(13)를 캡(14)에 고정 부착한 후에는 지지부(10)의 상측으로 형성된 높이 조절봉(11)의 끝부분을 높이 조절너트(13)에 삽입하여 지지부(10)를 캡(14)에 결합한다.
그리고, 캡(14)의 상단을 지지물(16)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파이프(17)에 삽입 결합시켜 지지물(16)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캡(14)이 지지물(16)의 하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부(10)를 회전시키면 높이 조절봉(11)이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높이 조절봉(11)이 캡(14) 내부로 삽입되거나 캡(14)으로 부터 빠져나오면서 싱크대 또는 테이블과 같은 지지물(16)의 설치높이가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나 테이블에 사용되는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는 수분 접촉에 의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로서 제작한다.
그런데, 종래의 캡(14)이 녹 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재로 형성되는데 반해 대부분의 높이 조절너트(13)는 나사가공이 용이한 철재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성질이 다른 2개의 금속(스테인레스와 철재)을 일반용접으로는 용착이 불가능하고불활성가스 분위기하에서의 특수용접작업을 해야하므로 용접비용이 크게 상승하고, 용접시간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용접의 편의성을 위해 높이 조절너트(13)를 스테인레스 재로 형성하게 되면 재료비용이 추가되고 나사산의 가공이 매우 어려워져 이또한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철재로 제작되는 높이 조절너트(13)를 도금처리하게되면 스테인레스재 캡(14)에 용접할 수가 없기 때문에 도금되지 아니한 너트부재를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이때문에 싱크대등 습기가 많은 지지물에 사용시 철재로 된 높이 조절너트(13)가 쉽게 녹슬게되어 전체적으로 볼때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외관이 흉해지고, 상품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너트(13)로 부터 녹물이 흘러내려 스테인레스로 된 캡(14) 및 바닥면이 지저분하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높이 조절너트의 일단에 일정높이의 결합돌기를 환형으로 돌출 형성시켜 이 결합돌기가 캡에 끼워진 상태로 확관기로서 확개시켜 캡에 높이 조절너트가 고정 부착되도록 하여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고 높이 조절너트를 캡에 손쉽게 고정 부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녹방지 도금된 높이 조절너트를 사용할 수 있게되어 제품의 제작비용이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도록 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지지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봉과, 상기 높이 조절봉이 삽입되기 위한 통공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지지물의 지지파이프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의 통공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봉과 나사 체결되는 높이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봉에 나사체결되어 지지물의 지지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너트를 상기 캡의 상측에 결합하되, 높이 조절너트의 일단에 캡의 통공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를 환형으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하고, 이 결합돌기가 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확관기로서 결합돌기를 확개시켜 통공의 주연부를 'ㄷ'자형으로 감싸 밀착토록하므로써 높이조절너트가 캡에 고정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높이 조절너트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높이 조절너트가 캡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높이 조절너트가 캡에 고정 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종래의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를 보인 분해도.
도 5 는 종래의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종래의 높이 조절너트와 캡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높이 조절너트 2 : 결합돌기
10: 지지부 11: 높이 조절봉
12: 스톱퍼 너트 14: 캡
15: 통공 16: 지지물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였다.
도면부호 1 은 높이 조절너트를 나타내는데, 이 높이 조절너트(1)의 일측으로는 캡(14)의 통공(15)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2)가 환형으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한다.
상기 높이 조절너트(1)를 캡(14)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결합돌기(2)를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14)의 통공(15)에 끼운 후 미도시된 별도의 확관기를 이용하여 결합돌기(2)를 도 3 과 같이 확개시켜 높이 조절너트(1)가 캡(14)에 고정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높이 조절너트(1)를 캡(14)의 하측에 고정 부착할때 아르곤 용접과 같은 작업을 거치지 않고 높이 조절너트(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2)를 캡(14)의 통공(15)에 끼운 후 확관기를 이용하여 결합돌기(2)가 통공(15)이 형성된 캡(14)의 내측으로 확개되도록 하므로서, 캡(14)에 높이 조절너트(1)가 고정 부착되는 것이다.
높이 조절너트(1)가 캡(14)에 고정 부착된 후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높이 조절봉(11)의 끝부분을 높이 조절너트(13)에 끼워넣어 캡(14)의 통공(15)을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설명과 같은 높이 조절너트(1)의 결합구조는 아르곤 용접과 같은 용접작업을 거치지 않으므로 녹 방지를 위해 도금처리 된 높이 조절너트(1)를 사용할 수 있게되어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높이 조절너트(1)가 쉽게 녹슬지 않게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고, 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아르곤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게되므로 제품의 조립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생산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기위해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높이 조절너트의 일단에 일정높이의 결합돌기를 환형으로 돌출 형성시켜 이 결합돌기가 캡에 끼워진 상태로 확관기로서 확개시켜 캡에 높이 조절너트가 고정 부착되도록 하여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고 높이 조절너트를 캡에 손쉽게 고정 부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특수용접작업 생략에 따른 제품 제작시간 및 생산비용이 크게 낮아지게되며, 도금 처리된 높이 조절너트를 사용할 수 있게되어 녹 발생이 방지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지부(10)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봉(11)과, 상기 높이 조절봉(11)이 삽입되기 위한 통공(15)이 하측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지지물(16)의 지지파이프(17)에 결합되는 캡(14)과, 상기 캡(14)의 통공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봉(11)과 나사 체결되는 높이 조절너트(1)를 포함하여 구성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봉(11)에 나사체결되어 지지물(16)의 지지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너트(1)를 상기 캡(14)의 하측에 결합하되, 높이 조절너트(1)의 일단에 캡(14)의 통공(15)에 삽입되기위한 결합돌기(2)를 환형으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하고, 이 결합돌기(2)가 통공(15)에 끼워진 상태에서 확관기로서 결합돌기(2)를 확개시켜 통공(15)의 주연부를 'ㄷ'자형으로 감싸 밀착토록하므로써 높이조절너트(13)가 캡(14)에 고정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
KR2019990026229U 1999-11-26 1999-11-26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 KR200180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229U KR200180124Y1 (ko) 1999-11-26 1999-11-26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229U KR200180124Y1 (ko) 1999-11-26 1999-11-26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124Y1 true KR200180124Y1 (ko) 2000-04-15

Family

ID=1959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229U KR200180124Y1 (ko) 1999-11-26 1999-11-26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1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12A (ko) * 2017-02-21 2018-08-29 정영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받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12A (ko) * 2017-02-21 2018-08-29 정영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받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9303B1 (ko) * 2017-02-21 2019-01-17 정영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받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0545A (en) Leg equalizers for appliances and the like
US3063765A (en) Furniture leg positioning and mounting assembly
KR200180124Y1 (ko)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너트 결합구조
US10413077B2 (en) Anti-wobble adjustable bed leg assembly
JP4906148B1 (ja) 伸縮パイプの長さ調節具、これを用いた伸縮パイ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ハンガーラック
US2826470A (en) Demountable furniture leg
KR200269713Y1 (ko) 가구의 파이프 고정구조
KR960007185Y1 (ko) 씽크대용 다리
US2661968A (en) Attachment of decorative balls between parallel tube elements of furniture
KR200319398Y1 (ko)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
JP2000211521A (ja) 架 台
JP2005226813A (ja) 長さ調整可能な伸縮杆
JP2004135819A (ja) テーブルの高さ調節装置
US6892435B2 (en) Manufacturing process of a joint for connecting a leg to a table surface
EP1210885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a joint for connecting a leg to a table surface and joint obtained therewith
US6712010B2 (en) Metal worktable top having channel and gusset
KR200195483Y1 (ko) 씽크대다리 높이조절구
SU159386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трубы с патрубком
JPH06339415A (ja) アジャスタ取付構造
KR0119286Y1 (ko) 씽크대용 프레임 연결구
US2302696A (en) Finger ring finding
JPH038109Y2 (ko)
JPH038108Y2 (ko)
JP2023184151A (ja) パイプ用ジョイント部材
KR200221060Y1 (ko) 씽크대다리 높이조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