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036Y1 -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036Y1
KR200180036Y1 KR2019990023164U KR19990023164U KR200180036Y1 KR 200180036 Y1 KR200180036 Y1 KR 200180036Y1 KR 2019990023164 U KR2019990023164 U KR 2019990023164U KR 19990023164 U KR19990023164 U KR 19990023164U KR 200180036 Y1 KR200180036 Y1 KR 2001800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eck
holder plate
assembly
electric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흥
우경회
이상국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3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0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0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7/00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 H05B7/02Details
    • H05B7/06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1/00Arrangement of elements for electric heating in or on furnaces
    • F27D11/08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e.g. arc dischar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로 사용중에 발생된 전극 표면의 융착 지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전곡봉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전극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크레인으로 이송된 전극이 놓여지는 전극조립데크와, 이 조립데크 내부의 전극 삽입홀에 설치되어 전극의 표면 지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와, 상기 전극 상부에 설치된 니플을 제거할 수 있도록 삽입홀에 삽입된 전극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로 이루어진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splash of electrode of electric furnace}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강 제조에 사용되는 전기로의 전극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의 수리,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는 전기를 이용하여 금속이나 합금을 가열, 용해하는 노를 말하는 것으로, 로 내에 장입된 연료를 용해하기 위하여 전기로의 상부에 3개의 전극이 수직 연결되어 있어서 이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고열의 아크열이 발생되면서 전기로 내의 고철을 용해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로 내에서는 아크에 의한 열 발생과 전기로 내부의 용해된 고철의 용융열로 전극은 가열이 계속되어지는 데, 이렇게 계속되는 가열상태와 부도체나 중량물에 의한 타격으로 전극은 절손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파손부위가 전극의 니플소켓 하단 부위일 경우에는 바로 교체조립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재가공 처리를 하여 새로 나사산을 형성하여 전극에 조립 사용하게 되는 데, 이 때 조립작업과 아울러 전극 표면에 부착된 지금(splash)을 제거하는 작업도 병행하게 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니플교체와 지금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극(100)을 크레인의 후크(110)에 걸어 매달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극(100) 표면에 융착된 지금(150)을 치공구(120)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지금이 제거된 전극(100)은 하강시켜 전극조립데크(130)에 고정시킨 후 상부의 니플(102)을 교체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데크(130)는 상부에 전극(100)이 삽입되는 홀(13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데크(130)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선단은 데크(130)의 슬릿(13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손잡이(136)를 이루고 하부 선단은 전극(100) 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138)를 이루는 고정레버(14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을 홀에 삽입시킨 후 고정레버의 손잡이를 당기고 고정멈치(142)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고정레버가 회동되어 하부선단의 가압부가 전극의 측면을 가압하여 전극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극의 상부에 설치된 니플을 회전시켜 제거하고 새 니플을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전극조립데크에 형성된 홀의 직경이 신전극의 직경(610mm)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 고정시 신 전극 이외의 구 전극(직경이 580 - 590mm)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전극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도 4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홀(132) 일측에 보조 패드(150)를 삽입하고 전극(100)을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전극 표면에 융착된 지금 또한 치공구를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로 사용중에 발생된 전극 표면의 융착 지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전곡봉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전극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금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립데크 12 : 홀
14 : 슬릿 20 : 홀더판
22 : 돌출부 24 : 수직프레임
28 : 가이드부재 30 : 탄성스프링
32 : 구멍 40 : 멈춤레버
42,62 : 손잡이 44 : 힌지축
46 : 링크부재 48 : 멈춤판
50 : 작동바 52 : 압축스프링
60 : 밀착레버 64 : 밀착판
68 : 코일스프링 70 : 지금받이판
72 : 완충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극조립데크의 전극 삽입홀의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극을 수리할 수 있고, 별도의 치공구 없이 데크에 전극을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전극 표면의 지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거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전극(100)은 상단에 전극(100)을 운반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후크를 걸기 위한 니플(102)이 나사결합되어 있고, 표면에는 고철 용해중 발생된 지금(150)이 융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금(150) 제거장치는, 설비동 중앙층 등에 설치되어 크레인으로 이송된 전극(100)이 놓여지는 전극조립데크(10)와, 이 조립데크(10) 내부의 전극(100) 삽입홀(12)에 설치되어 전극(100)의 표면 지금(150)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와, 상기 전극(100) 상부에 설치된 니플(102)을 제거할 수 있도록 삽입홀(12)에 삽입된 전극(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데크(10)는 중앙부에 전극(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삽입홀(12)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박스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거부는 조립데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삽입홀(12)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결되어 다수개로 나뉘어져 있는 원통형 홀더판(20)과, 각각의 홀더판(20)을 방사방향으로 밀고 당겨 홀더판(20)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경의 크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홀더판(20)은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삼각 돌출부(22)가 형성되어 전극(100) 표면의 지금(150)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부 선단은 외측으로 하향절곡되어 제거된 지금(150)을 홀더판(20) 외측으로 떨어뜨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판(20) 상단 모서리에 상기 돌출부 등과 같은 제거판을 설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판(20)은 모두 네 개로 구성되는 데, 원통을 사등분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는 조립데크(10) 내부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4)과, 홀더판(20) 외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선단이 상기 수직프레임(24) 상부에 형성된 홈(26)에 삽입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재(28)와, 이 가이드부재(28) 선단과 상기 수직프레임(24)의 홈(26)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재(28)를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탄성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홀더판(20)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32)을 통해 홀더판(20) 내측으로 유입되어 홀더판(20)으로 삽입된 전극(100)의 측면을 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판(20)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여 홀더판(20)에 삽입된 전극(100)을 현위치에서 멈추도록 하기 위한 멈춤부와, 전극(100)의 표면을 가압하여 니플(102) 교환시 자체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멈춤부는 조립데크(10) 내부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데크(10) 상부에 형성된 슬릿(14)을 통해 돌출되어 손잡이(42)를 이루는 멈춤레버(40)와, 조립데크(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차되어 힌지축(44)으로 결합되고 일측 선단은 각각 상기 레버(40)에 힌지결합된 링크부재(46)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 선단은 상기 홀더판(20) 측면에 형성된 구멍(32)으로 삽입되어 전극(100) 측면에 밀착되는 멈춤판(48)이 부착된 한 쌍의 작동바(50), 작동바(50)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바(50)를 벌리는 쪽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압축스프링(5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밀착부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데크(10)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선단은 데크(10)의 슬릿(1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손잡이(62)를 이루고 하부 선단은 홀더판(20)의 구멍(32)을 통해 전극(100) 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66)가 배열된 밀착판(64)을 구성하는 밀착레버(60)와, 상기 힌지축에 설치되어 레버(60) 하단을 홀더판(20) 쪽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68)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은 전극(100) 표면에서 제거된 지금(150)을 데크(10) 외측으로 보내기 위한 수거부가 더욱 포함되는 데, 상기 수거부는 작업데크(10) 상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원호형상으로 절단되어 홀더판(20) 외측면에 접하는 지금받이판(70)과, 이 지금받이판(70) 저면과 작업데크(1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7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극(100) 표면에서 이탈되어 상기 지금받이판(70)에 떨어지는 지금(150)은 완충스프링(72)에 의해 튕겨져 작업데크(10) 외부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도면 부호 (80)은 고정 멈치로 각각 레버(40,60)의 전,후진시 그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슬릿(14)의 진행로를 막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후크(110)에 걸려 이동되는 전극(100)이 작업데크(10)의 홀더판(20) 내부로 삽입되기 전에 작업자는 작업데크(10)에 설치되어 있는 각 레버를 홀더판(20)쪽으로 전,후진시켜 홀더판(20)의 구멍(32)에서 밀착판(64)과 멈춤판(48)이 벗어나도록 한다.
먼저 멈춤레버(40)를 전진시키게 되면 링크부재(46)가 벌어지면서 링크부재(46)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는 작동바(50)를 벌려주게 되어 작동바(50)가 힌지축(44)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선단에 부착설치되어 있는 멈춤판(48)이 홀더판(20)의 구멍(32)에서 빠져 홀더판(20) 외부로 나오게 된다.
밀착레버(60) 또한 후진시켜주게 되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레버하부 선단에 부착설치되어 있는 밀착판(64)이 홀더판(20)의 구멍(3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각 슬릿(14)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멈치(80)를 밀어 슬릿(14) 진행로를 차단함으로서 레버(40,60)가 원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막는다.
한편, 상기 홀더판(20)은 수직프레임(24)에 설치된 스프링(30)에 의해 가이드부재(28)가 밀려나면서 네 개의 홀더판(20)은 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원통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을 작동하여 전극(100)을 하강시키게 되면 전극(100)이 원통형태를 이루는 홀더판(20) 내부로 삽입되면서 전극(100) 표면에 융착되어 있는 지금(150)이 제거되게 된다.
즉, 하강하는 전극(100)은 홀더판(2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홀더판(20)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삼각 돌출부(22)에 마찰되어 전극(100) 표면에 융착되어 있는 지금(150)이 떨어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홀더판(20)은 수직프레임(24)에 설치된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극(100) 표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떨어진 지금(150)은 조립데크(10) 상부에 설치된 지금받이판(70)에 떨어지게 되고 지금받이판(70)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72)의 탄성력에 의해 튕겨져 조립데크(10) 외부로 떨어져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전극(100)을 홀더판(20) 내부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전극(100) 표면에 융착되어 있는 지금(150)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극(100)이 홀더판(2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조립 적정위치까지 도달되면, 조립데크(10) 상부의 레버를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멈치(80)를 밀어 슬릿(14)을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각 레버(40.60)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52,68)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각 레버(40,60)는 후,전진하게 된다.
즉, 멈춤레버(40)는 작동바(50)에 설치되어 인장되어 있던 스프링(52)이 탄성적으로 신축하면서 후진하게 되고 동시에 벌어져 있는 작동바(50)는 힌지축(4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모아지게 된다. 따라서 작동바(50)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멈춤판(48)이 홀더판(20)의 구멍(32)을 통해 홀더판(20) 내부로 들어가면서 홀더판(20) 내측에 밀착되어 있는 전극(100)의 측면을 가압하여 전극(100)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밀착레버(60) 또한 힌지축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68)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전진하게 되고, 레버(60) 하부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밀착판(64)은 레버(60)의 회동에 따라 홀더판(20)의 구멍(32)을 통해 홀더판(2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홀더판(20)에 삽입되어 있는 전극(100) 표면을 레버(60)에 부착설치되어 있는 밀착판(64)이 가압하게 되어 전극(100)을 홀더판(20) 내부에서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전극(10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전극(100) 상부의 니플(102)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치공구를 작업자가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극의 지금을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게 되어 지금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전극을 하나의 조립데크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극이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극고정용 밀착레버가 구비된 전극 조립데크에 있어서,
    상기 조립데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삽입홀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결되어 다수개로 나뉘어지며,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삼각 돌출부가 형성되어 전극 표면의 지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원통형 홀더판과, 조립데크 내부에 설치된 수직프레임의 홈내에 탄성스프링을 삽입하여 설치되고 타측은 홀더판 외측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지금제거부와, 상기 조립데크 내부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단이 데크 상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돌출되어 손잡이를 이루는 멈춤레버와, 조립데크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차되어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일측 선단은 각각 상기 멈춤레버에 힌지결합된 링크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 선단은 상기 홀더판 측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어 전극 측면에 밀착되는 멈춤판이 부착된 한 쌍의 작동바로 이루어진 전극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데크 상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원호형상으로 절단되어 홀더판 외측면에 접하는 지금받이판과, 이 지금받이판 저면과 작업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전극 표면에서 제거된 지금을 데크 외측으로 튕겨 보내기 위한 수거부가 더욱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전극의 지금 제거장치.
KR2019990023164U 1999-10-26 1999-10-26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 KR2001800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164U KR200180036Y1 (ko) 1999-10-26 1999-10-26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164U KR200180036Y1 (ko) 1999-10-26 1999-10-26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036Y1 true KR200180036Y1 (ko) 2000-04-15

Family

ID=1959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164U KR200180036Y1 (ko) 1999-10-26 1999-10-26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0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814B1 (ko) * 2001-05-03 2007-03-13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 전극의 소제장치
KR101536740B1 (ko) * 2013-12-24 2015-07-14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 크라운 분리장치
KR101537383B1 (ko) * 2013-12-26 2015-07-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그네슘 크라운 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814B1 (ko) * 2001-05-03 2007-03-13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 전극의 소제장치
KR101536740B1 (ko) * 2013-12-24 2015-07-14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 크라운 분리장치
KR101537383B1 (ko) * 2013-12-26 2015-07-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그네슘 크라운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263B2 (en) Spot welding cap changer
KR200180036Y1 (ko) 전기로 전극의 지금 제거장치
CN104245214A (zh) 用于更换焊接喷嘴的装置
JP3200652B2 (ja) 溶接ガンの電極チップ交換装置
KR101526275B1 (ko) 용접와이어 재생장치
KR20160001488U (ko) 다기능 전극 팁 설치 및 분리 장치
KR102233693B1 (ko)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KR101692981B1 (ko) 용접기용 전극팁 교환장치
KR100380102B1 (ko) 로봇 용접기의 팁 교환장치
JP4375748B2 (ja) ハンディ式キャップチップ取り外し装置
RU2506144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й фрезы,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зачистки электродов для точечной сварки
KR200478324Y1 (ko) 아크 용접봉 용융 피복재 제거기구
CN114799442A (zh) 一种去刺机构及对焊机
CN108857384B (zh) 一种取料机构及装配组件自动装配装置
US2162112A (en) Electric welding electrode holder
JP4245540B2 (ja) ハンディ式キャップチップ取外し装置
KR101136672B1 (ko) 스폿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CN217571358U (zh) 一种激光切割加工件阵列多爪定位装置
CN216097172U (zh) 一种电触头加工工序的焊接工具
CN214770775U (zh) 一种花键轴废料回收装置
CN216607540U (zh) 一种带防护罩的电火花线切割设备
CN217482320U (zh) 一种市政管道维修装置
CN210024065U (zh) 一种电动焊钳
CN213614972U (zh) 一种油墨盒防摆动连接装置
KR100487771B1 (ko) 산소취입장비용 지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