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746Y1 -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 Google Patents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746Y1
KR200179746Y1 KR2019990025211U KR19990025211U KR200179746Y1 KR 200179746 Y1 KR200179746 Y1 KR 200179746Y1 KR 2019990025211 U KR2019990025211 U KR 2019990025211U KR 19990025211 U KR19990025211 U KR 19990025211U KR 200179746 Y1 KR200179746 Y1 KR 200179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key group
key
keyboar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요현
홍성민
박흥준
박종민
이지형
Original Assignee
윤요현
홍성민
박흥준
박종민
이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요현, 홍성민, 박흥준, 박종민, 이지형 filed Critical 윤요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asing, e.g. sealed casings or casings reducible in siz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키보드 구조를 그대로 둔 채로 특정 키그룹을 착탈하여 다른 키배열로 교체하여,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키보드 본체로부터 특정 키그룹을 분리하고 다른 배열의 키그룹 또는 다른 기능의 키그룹으로 교체할 수 있는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키보드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는 특정키그룹의 키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는 문자키그룹, 기능키그룹, 숫자키그룹 중 임의의 키그룹이 분리되어 형성된 키판 교체부와, 상기에서 분리된 키그룹과 다른 기능을 하는 새로운 키그룹으로 키가 배열되어 상기 키판 교체부와 결합되는 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키판은 문자키그룹, 기능키그룹, 숫자키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키보드에서 특정 키그룹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키그룹과 다른 기능을 하는 키그룹으로 이루어져, 분리된 키그룹 대신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Computer keyboard whose key plate is changeable}
본 고안은 컴퓨터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키보드 본체로부터 특정 키그룹만을 분리하여 다른 키그룹으로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컴퓨터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팅 환경의 발달에 따라 소프트웨어는 보다 더 특화되고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다.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추구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하에서 이와는 반대로 사용법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러가지 메뉴와 키의 활용에 있어 복잡해지는 소프트웨어의 기능발전을 따라가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그 중 한 요인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거의 변하지 않고 있는 입력장치의 구성이다.
특히 컴퓨터 입력장치로서 키보드는 현재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 중 가장 변형이 어려운 부분 중의 하나가 키보드이다. 특정 키를 눌러서 입력신호를 컴퓨터로 보내야 한다는 기본 원리와, 표준화되어 있는 문자의 배열이나 기능키의 배열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컴퓨터 하드웨어는 물론 소프트웨어의 개발도, 표준화되어 있는 키보드의 코드체계에 맞추어 개발을 할 수 밖에 없고, 이는 설계상 자유도를 크게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유니코드(universal code)의 등장과 함께 다국어 지원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오늘날의 OS 환경에서 현재 방식의 입력장치는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는 데 역부족이라는 사실은 점차 명확해지고 있다.
물론, 키보드 자체의 기술적 개량도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은 키의 구조나 외관구성 등에 관한 것뿐이었다. 종래의 기계스위치를 조합한 키보드 대신에, 현재 일반적인 키보드의 구조는 PCB 에 형성된 카본패턴 부분만이 노출되도록 얇은 절연막(멤브레인)을 씌우고 카본패턴을 전도성 고무로 된 키로 눌러서 도통시키는 방식의 멤브레인 스위치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키보드는 종래의 기계스위치 방식에 비해 단가가 낮고 조립성이 우수하며 기구적 안정성이 있다는 장점 때문에 대부분의 키보드가 채용하고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자들은 종래의 키보드 구조를 그대로 둔 채로 특정 키그룹을 착탈하여 다른 키배열로 교체할 수 있다면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키보드가 될 수 있음에 착안하여, 특정 키그룹을 분리하고 다른 배열의 키그룹 또는 다른 기능의 키그룹으로 교체할 수 있는 키보드를 고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키보드 본체로부터 특정 키그룹으로 이루어진 키판을 분리하고 다른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키보드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기능을 하는 키그룹으로써 교체될 수 있는 키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키보드의 내부구성도.
도2는 일반적인 키보드의 외부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 본체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키판의 사시도.
도5는 도3의 걸쇠(104)의 상세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판의 사시도.
도7은 도6 실시예의 스페이스바 구조도.
도8은 도6 실시예가 완전하게 접힌 사시도.
<도면 주요부의 설명>
하층 PCB(10), 상층 PCB(30), 키접점(11, 31)), 절연막(20), 관통구멍(21), 고무판(40), 탄력부(41), 키(51), 키판(50), 문자키그룹(100), 기능키그룹(200), 숫자키그룹(300), 키판 교체부(110), 키접점(101), 돌출레일(102), 안내홈(102'),삽입홈(103), 삽입돌출부(103'), 개방홈(106), 걸쇠(104), 걸림홈(104'), 결합해제버튼(105), 힌지(603), 스페이스바(604), 돌출부(605), 보조판(606), 내홈(607), 스토퍼(608)
본 고안은 문자키그룹, 기능키그룹, 숫자키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키보드로서, 상기 문자키그룹, 기능키그룹, 숫자키그룹 중 임의의 키그룹이 분리되어 형성된 키판 교체부, 상기에서 분리된 키그룹과 다른 기능을 하는 새로운 키그룹으로 키가 배열되어 상기 키판 교체부와 결합되는 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판은 문자키그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키판 교체부와 상기 키판이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된 키판이 키판 교체부로부터 스스로 분리되지 못하도록 키판 교체부와 키판에 고정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를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인 컴퓨터 키보드의 내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키보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키접점을 패턴화한 두 장의 플렉시블 PCB를 겹쳐서 키접점 패턴을 키가 누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층 PCB(10)와 상층 PCB(30)에 각각 키접점(11, 31))이 패턴형성되어 있다. 이들 PCB는 얇고 유연한 플렉시블 PCB이고, 하층 PCB(10)와 상층 PCB(30)의 각 접점(11, 31)이 접촉되면 해당 회로가 연결되어 특정 코드를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하층 PCB(10)와 상층 PCB(30) 사이에는 절연막(20)이 있다. 절연막(20)에는 관통구멍(21)이 접점(11, 31)과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PCB의 접점 이외의 영역을 서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층 PCB(30) 위에는 고무판(40)이 올라간다. 고무판(40)에는 PCB의 각 접점과 동일한 위치에 볼록한 탄력부(41)가 형성되어 키(51)의 누름동작을 부드럽게 해 준다. 키(5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된 키판(50)에 다수 배열되어 있다.
도2는 일반적인 키보드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중앙부에는 문자키, 숫자키, 엔터, 한자변환 키 등이 모여서 문자키그룹(100)을 이루고, 그 주위에는 각종 기능키(F1~F12, Esc, 스크롤 등)와 이동키(Home, End, 화살표키 등)로 이루어지는 기능키그룹(200)이 배열되고, 가장 오른쪽에는 별도의 숫자키와 연산자(+, -, *, /) 등으로 이루어지는 숫자키그룹(300)이 배열된다.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의 기본 개념은, 위와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 키보드에서 키판 아래의 구조는 그대로 둔 채 특정 키그룹의 키판만을 키보드 본체에서 분리해 내고, 분리된 키그룹 대신에 다른 기능을 하는 새로운 키그룹을 교체하는 것이다. 분리하려는 키그룹의 키판 아래에 고무판(40)을 부착하여 함께 분리할 것인지, 아니면 고무판(40)도 키보드 본체에 남겨두고 키판만을 분리할 것인지는 키보드의 구조 또는 설계전략에 따라 결정될 문제일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기본 키보드의 내부구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교체하고자 하는 키그룹 대신에 새롭게 배열된 키그룹을 교체할 수 있다. 즉, 각 프로그램에 따라 정의된 새로운 키그룹으로써 기본 키매트릭스 회로을 그대로 이용한다. 이 새로운 키그룹은 키보드 본체의 키접점(31)을 키입력수단으로 이용하기는 하지만, 분리된 키그룹(일반적인 키그룹)과는 다른 기능을 하도록,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특별히 정의되어 있는 키배열 또는 키구성을 갖는다.
어떠한 키그룹을 교체할 것인가는 용도에 맞게 실시자가 임의로 결정할 문제이다. 예를 들어, 표준 언어(기본적으로는 한글과 영문) 이외의 언어(일본어, 러시아어 등)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용 키보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서 특별히 정의된 키배열을 갖는 새로운 문자키그룹을 대체하면 각 언어에 적절한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제로, 프로그램 판매자가 해당 프로그램 전용 키판을 함께 제공하는 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키그룹을 분리할 수 있는 키보드를 갖고 있는 컴퓨터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구입할 때에 함께 제공되는 전용 키판을 키보드에 장착함으로써, 구입한 프로그램을 100% 활용할 수 있다. 현재, 모든 컴퓨터 운영체계나 기본 내장 프로그램 이외의 모든 프로그램은 전용 드라이브 화일이나 전용 하드웨어카드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본 고안을 이용하면,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용 키판을 함께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해당 프로그램의 효율적 활용이나, 프로그램 작업의 단순화(일반 키보드의 키코드에 맞게 프로그램을 짜기 위해서는 설계의 자유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불법복제의 방지(전용 키판이 없이는 프로그램 운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실시예1
위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키보드 본체 중에서 문자키그룹을 분리하는 구조에 대한 것인데, 도3은 키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키보드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4는 키판이 분리된 키보드에 교체되어 부착될 새로운 키판을 나타낸다.
도3에 도시된 키보드 본체는 일부 키그룹이 분리되고 새로운 키판을 결합할수 있는 키판 교체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키판 교체부(110)는 키접점(101)까지 종래의 키보드 구조와 동일하고, 그 위에 조립되는 키판을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우묵하게 패어있다. 키판이 분리된 면에 다수의 키접점(101)이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4의 키판에서 각 키의 배열은 이 키판을 사용할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 키보드의 키접점(101)을 하드웨어적으로 이용하여 사용할 프로그램에 적합한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국어 문자판이어도 좋고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특수 키라도 좋다. 따라서, 설계에 따라서는 키접점(101) 중 사용하지 않는 키접점이 있을 수도 있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한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적 사항이 될 것이다.
키판 교체부(110)와 키판과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키판은 키판 교체부(110)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다. 슬라이드식은 키보드 본체와의 접촉면을 넓힘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기존의 키보드와 동일한 키감각을 줄 수 있으며, 힘을 보다 넓은 표면에 분산시켜 내구성을 강화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3에서와 같이 키판 교체부(110)의 키판이 결합될 부위의 측면에 복수의 돌출레일(102)이 형성되고, 도4의 키판 측면에는 이들 돌출레일(102)이 안내되는 복수의 안내홈(102')이 형성된다. 이외에, 키판 교체부(110)에 키판이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키판 교체부(110)의 안쪽 측면에 삽입홈(103)이 형성되고, 키판의 앞쪽 끝부분 측면에 삽입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삽입홈(10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키판이 키판 교체부(110)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3과 도4의 구조에서는 돌출레일(102)과 안내홈(102')을 한쪽에 2개씩 형성하였고, 안내홈(102')의 일부에는 개방홈(10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판을 앞쪽 끝에서부터 삽입하지 않고 개방홈(106)에 돌출레일(102)이 위치하는 지점부터 키판을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또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주지기술이다.
한편, 삽입된 키판이 본체로부터 스스로 분리되지 못하도록, 키판 교체부(110)의 키판이 삽입되는 후방에 걸쇠(104)를 형성하였다. 걸쇠(104)는 도5에서 보다시피 키판 교체부(110)의 바닥면(501)에 디귿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502)이 아래방향으로 탄력있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위로 돌출된 면은 키판 교체부(110)의 안쪽면(503)은 수직이지만 바깥면(504)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반대로, 키판의 후방 아랫면에는 걸쇠(104)와 일치하는 위치에 걸림홈(104', 그러나 도4에서는 표현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 걸림홈(104')은 키판 교체부(110)의 걸쇠(104)에 걸려서 키판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데, 키판을 옆에서 밀어서 삽입할 때에는 걸쇠(104)가 아래로 들어가고 키판의 바닥면이 걸쇠(104)의 경사면(504)에 따라 쉽게 움직일 수 있지만, 키판을 뺄 경우에는 걸쇠(104)의 수직면(503)이 걸림홈(104')에 걸려서 빠지지 못하게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공지사항으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키판은 스스로 본체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지만, 키판을 본체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걸쇠(104)와 걸림홈(104')과의 결합상태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키판의 걸림홈(104')에 결합해제버튼(105)을 마련하였다.
결합해제버튼(105)은 키판의 내부에 스프링을 통해 조립되어 평소에는 위로 튀어나와 있지만 이를 누르면 걸림홈(104')에 결합된 걸쇠(104)를 위에서 누르게 되어 걸쇠(104)와 걸림홈(104')과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 키판 교체부(110)와 키판과의 결합관계는 실시예1과 같다. 본 실시예는 분리된 키판의 휴대를 위해 이를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자키그룹은 길이가 긴 편이다(약 30cm). 따라서, 키판 자체의 크기가 커서 보관이나 휴대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키판을 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키판을 2부분(601, 602)으로 분할하고 양쪽을 힌지(603)에 의해 결합하였다. 그러나 키판의 중심에는 스페이스바(604)가 걸쳐서 위치하기 때문에 양쪽(601, 602)을 반으로 접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7과 같이 스페이스바(604)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였다. 즉, 스페이스바(604)가 키접점을 누르는 돌출부(605)를 보조판(606)의 내홈(607)에 삽입되도록 스토퍼(608)와 함께 결합시킨다. 보조판(606)의 내홈(607)을 따라 돌출부(605)가 직선이동 및 회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판(606)에 대하여 스페이스바(604)도 직선이동 및 회전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판(606)을 접으려는 키판 중심선에 맞게 고정시켜 두면, 키판을 접을 때에 스페이스바(604)를 어느방향이든 90도 회전시켜서 한쪽 방향으로 밀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완전하게 접힌 키판의 모습을 도8에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그에 따른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위에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문자키그룹을 분리하는 대신에 기능키그룹을 분리하거나 숫자키그룹을 분리할 수도 있고, 새로운 키판에 방향전환수단(가령, 조이스틱)이나 특수한 버튼 등을 장착하여 프로그램 소정의 활용성을 향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와 사상은 당업자에 의해 합리적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되어 다양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한 컴퓨터에서 다국어 입력이 필요할 때에 해당 언어에 따라 적합한 키판을 교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해당 언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캐드 프로그램이나 특수 유틸리티 프로그램에서, 보편적이지 않은 명령어를 사용할 때에 그 프로그램에 맞게 최적화된 키판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교육 프로그램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사용 연령층에 맞는 키판을 사용함으로써 교육용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용 교육 프로그램에서 어린이들이 필요로 하는 키만을 배열함으로써 어린이들의 교육목적에 딱 들어맞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 사용층에 맞는 전용 키판을 제공하여 동일한 컴퓨터에서 다양한 연령에 필요한 여러가지 교육용 프로그램을활용할 수 있다.
게임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게임프로그램이 인터페이스 면에서 보다 화려해지고, 조작성이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음을 고려할 때, 사용자들은 점점 더 복잡해진 키조작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교체식 키판을 이용하면 게임사에서 제공하는 게임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들은 보다 더 편안하고 흥미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프로그램의 불법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프로그램 회사에서 판매하는 프로그램에 적합한 또는 그것에 유일한 키판을 함께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프로그램의 복제만으로는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불법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문자키그룹, 기능키그룹, 숫자키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문자키그룹, 기능키그룹, 숫자키그룹 중 임의의 키그룹이 분리되어 형성된 키판 교체부,
    상기에서 분리된 키그룹과 다른 기능을 하는 새로운 키그룹으로 키가 배열되어 상기 키판 교체부와 결합되는 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2. 청구항 1에서, 상기 키판은 문자키그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3. 청구항 1에서,
    상기 키판 교체부와 상기 키판이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4. 청구항 3에서,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키판 교체부(110)의 측면에 돌출레일(102)이 형성되고, 키판 측면에는 이 돌출레일(102)이 안내되는 안내홈(102')이 형성되며,
    키판 교체부(110)와 키판이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키판 교체부(110)의 안쪽 측면에 삽입홈(103)이 형성되고, 키판의 앞쪽 끝부분 측면에 삽입돌출부(1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5. 청구항 1에서, 삽입된 키판이 키판 교체부로부터 스스로 분리되지 못하도록 키판 교체부와 키판에 고정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6. 청구항 5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키판 교체부(110)의 키판이 삽입되는 후방에 형성된 걸쇠(104),
    키판의 아랫면에 걸쇠(104)와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104'),
    키판을 키판 교체부(110)로부터 빼내기 위해서 걸쇠(104)와 걸림홈(104')의 결합상태를 푸는 결합해제버튼(10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7. 청구항 6에서,
    상기 걸쇠(104)는 키판 교체부(110)의 바닥면(501)에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면의 안쪽면(503)은 수직이지만 바깥면(504)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결합해제버튼(105)은 걸림홈(104')에 결합된 걸쇠(104)를 위에서 누르게 되어 걸쇠(104)와 걸림홈(104')과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8. 청구항 1에서, 상기 키판은
    반으로 접힐 수 있도록 두 부분으로 분할되고,
    이들 분할된 부분은 힌지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9. 청구항 8에서, 상기 키판은
    스페이스바(604)가 키접점을 누르는 돌출부(605)가 삽입되는 내홈(607)이 형성된 보조판(606)과, 상기 돌출부(605)가 내홈(607)에 삽입되도록 돌출부(605)와 결합되는 스토퍼(608)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판(606)을, 힌지로써 접으려는 키판의 중심선에 따라 고정시키고, 키판을 접을 때에 스페이스바(604)를 90도 회전시켜서 한쪽 방향으로 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
  10. 문자키그룹, 기능키그룹, 숫자키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키보드에서 특정 키그룹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키그룹과 다른 기능을 하는 키그룹으로 이루어지고 분리된 키그룹 대신에 장착되는 키판.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키판은 문자키그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
  12. 청구항 10 또는 11에서, 상기 키판은
    반으로 접힐 수 있도록 두 부분으로 분할되고,
    이들 분할된 부분은 힌지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키판은
    스페이스바(604)가 키접점을 누르는 돌출부(605)가 삽입되는 내홈(607)이 형성된 보조판(606)과, 상기 돌출부(605)가 내홈(607)에 삽입되도록 돌출부(605)와 결합되는 스토퍼(608)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판(606)을, 힌지로써 접으려는 키판의 중심선에 따라 고정시키고, 키판을 접을 때에 스페이스바(604)를 90도 회전시켜서 한쪽 방향으로 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판.
KR2019990025211U 1999-11-17 1999-11-17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KR2001797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068A KR20000006986A (ko) 1999-11-17 1999-11-17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068A Division KR20000006986A (ko) 1999-11-17 1999-11-17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746Y1 true KR200179746Y1 (ko) 2000-04-15

Family

ID=196204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211U KR200179746Y1 (ko) 1999-11-17 1999-11-17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KR1019990051068A KR20000006986A (ko) 1999-11-17 1999-11-17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068A KR20000006986A (ko) 1999-11-17 1999-11-17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97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909B1 (ko) * 2000-05-01 2007-04-17 주식회사 소리자바 속기겸용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986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8015A (en) Low profile keyboard keyswitch using a double scissor movement
CN100377033C (zh) 便携式电脑的触控板装置
AU2010257998B2 (en) Dust-proof keyboard
US9959992B1 (en) Keyboard device
US20190244772A1 (en) Keyboard device
US20140138223A1 (en)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and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US9959990B1 (en) Keyboard device
KR200179746Y1 (ko) 키판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JP2003167662A (ja) コンピュータ
KR100343521B1 (ko) 특정 키그룹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US9847188B2 (en) Key structure
KR200188861Y1 (ko) 특정 키그룹을 교체할 수 있는 컴퓨터키보드
US6613996B2 (en) Low-noise key switch and keyboard thereof
US20170330706A1 (en) Key structure
WO2021238382A1 (zh) 模块化键盘
US6830394B2 (en) Keyboard having a track ball mechanism and a scroll mechanism
CN218547461U (zh) 一种便捷灵活的触碰板键盘一体化装置
TWI812426B (zh) 滑鼠裝置
CN110045837B (zh) 可分离式机械键盘
KR0164901B1 (ko) 전자기기용 스위치 구조
CN209248484U (zh) 一种方便更换键帽的新型鼠标
US9941075B2 (en) Keyboard device
JP3003466U (ja) コンピュータ用キースイッチ
KR20050063310A (ko) 다국어 지원 키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4110Y1 (ko) 한/영문 전환버튼과 지우기버튼이 별도로 부착된컴퓨터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