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404Y1 -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 - Google Patents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404Y1
KR200179404Y1 KR2019970021338U KR19970021338U KR200179404Y1 KR 200179404 Y1 KR200179404 Y1 KR 200179404Y1 KR 2019970021338 U KR2019970021338 U KR 2019970021338U KR 19970021338 U KR19970021338 U KR 19970021338U KR 200179404 Y1 KR200179404 Y1 KR 200179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efrost
terminal
heat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369U (ko
Inventor
양훈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1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40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3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1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Landscapes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상히터를 콘트롤하는 냉장고의 제상타이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압축기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압축기단자의 위치를 콘트롤하는 최외각부와, 상기 최외각부로부터 돌출되어 컴먼단자의 위치를 콘트롤하는 제1캠부로 이루어진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의 180。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2요홈부와, 상기 제1 및 제2요홈부가 형성된 상기 제1캠부가 360。회전될 경우 냉장증발기의 제상히터가 2회 가동되도록 냉장히터단자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캠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2요홈부와 동일 축선상의 180。간격으로 제3 및 제4요홈부가 형성된 제2캠부와, 상기 제2캠부가 360。회전될 경우 냉동증발기가 1회 가동되도록 냉동히터단자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혹은 제2요홈부의 동일 축선상에 제5요홈부가 형성된 제3캠부로 이루어진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에 관한 것으로 캠수단의 1회전(360。)에 의해서 컴먼단자와 냉장히터단자가 2회 접속되어서 냉장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킴과 동시에 컴먼단자와 냉동히터단자는 1회 접속되어서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키므로써 별도의 수단을 소요함이 없이 캠수단의 구조의 변경으로 용이하게 냉장증발기와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
본 고안은 식품등을 저장보관시키는 냉장고에 있어서 냉기를 생성시키는 증발기에 성애가 생성될 경우 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키도록 작동되는 제상히터를 콘트롤하는 냉장고의 제상타이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냉동실과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되도록 냉기를 생성시키는 냉동증발기와 냉장증발기가 장착된 냉장고에 있어서 캠수단의 구조에 의해 캠수단이 360。회전될 경우 냉장증발기가 2회 제상되고 냉동증발기가 1회 제상되도록 한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응축하여서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서 냉기를 생성시키는 냉장 및 냉동증발기와, 상기 냉장 및 냉동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고내로 공급하도록 회전되는 냉장 및 냉동팬모터로 이루어져 식품등의 저장물을 신선하게 저장보관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가 일정시간 이상 가동될 경우 냉장 및 냉동증발기에 성애가 생성되고, 냉장 및 냉동증발기에 성애가 생성될 경우 냉매의 증발효율의 저하로 냉장 및 냉동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그래서, 압축기등이 소정시간 이상 가동되어서 냉장 및 냉동증발기에 성애가 생성될 경우 압축기의 가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제상히터를 작동시켜 냉장 및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가 소정시간 이상 가동되어서 냉장 및 냉동증발기에 성애가 생성될 경우 제상히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는 제상히터의 가동주기를 콘트롤하는 제상타이머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이 제상타이머장치는 냉장고의 기계실에 장착되게 된다.
또, 제상타이머장치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단자(7)와 컴먼단자(8)와 히터단자(9)를 콘트롤할 수 있도록 캠수단(1)이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배설되게 된다.
또한, 상기 캠수단(1)은, 상기 압축기단자(7)의 단부가 위치되어서 압축기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압축기단자(7)의 위치를 콘트롤하며 그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 최외각부(2)와, 상기 최외각부(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컴먼단자(8)의 위치를 콘트롤하고 소정의 위치에 제1요홈(4)이 형성된 제1캠부(3)와, 상기 제1캠부(3)의 내측에 위치하여 돌출되어 상기 히터단자(9)의 위치를 콘트롤하며 상기 제1요홈(4)이 형성된 축선상에 제2요홈(6)이 형성된 제2캠부(5)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는, 압축기가 작동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수단(1)의 형상에 의해 상기 압축기단자(7)와 상기 컴먼단자(8)가 접속되어서 압축기로 전원이 인가되어 냉매가 순환되므로써 냉장실과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여 냉장실 및 냉동실에 저장보관된 식품을 신선하게 저장보관시키게 된다.
한편, 압축기가 소정의 시간 이상 작동되어서 냉장증발기와 냉동증발기에 성애가 생성될 경우에는 상기 캠수단(1)의 회전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단자(7)와 상기 컴먼단자(8)가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컴먼단자(8)와 상기 히터단자(9)가 접속되게 된다.
또, 상기 컴먼단자(8)와 상기 히터단자(9)가 접속되므로써 압축기로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되고 증발기의 히터로 전원이 인가되어 증발기의 히터가 작동되므로 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키게 된다.
이때, 냉장실과 냉동실에 각각 증발기가 장착된 냉장고는 냉장증발기가 2회 제상될 경우 냉동증발기가 1회 제상되도록 콘트롤하는 별도의 콘트롤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즉, 냉장실과 냉동실에 각각 냉장증발기와 냉동증발기가 장착된 냉장고는, 냉장증발기가 2회 제상될 경우 냉동증발기가 1회 제상되도록 콘트롤하는 별도의 콘트롤수단이 소요되게 되므로써 부품의 증가로 제조시 제조코스트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이고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냉동실과 냉장실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기를 생성시키는 냉동증발기와 냉장증발기가 장착된 냉장고에 있어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함이 없이 캠수단의 구조에 의해 냉장증발기가 2회 제상될 경우 냉동증발기가 1회 제상되도록하여 부품수의 절감으로 제조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에 의하면, 압축기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압축기단자의 위치를 콘트롤하며 그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 최외각부와, 상기 최외각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컴먼단자의 위치를 콘트롤하는 제1캠부로 이루어진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의 180。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2요홈부와, 상기 제1 및 제2요홈부가 형성된 상기 제1캠부가 360。회전될 경우 냉장증발기의 제상히터가 2회 가동되도록 냉장히터단자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캠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2요홈부와 동일 축선상의 180。간격으로 제3 및 제4요홈부가 형성된 제2캠부와, 상기 제2캠부가 360。회전될 경우 냉동증발기가 1회 가동되도록 냉동히터단자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혹은 제2요홈부의 동일 축선상에 제5요홈부가 형성된 제3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에 의하면, 캠수단의 1회전(360。)에 의해서 컴먼단자와 냉장히터단자가 2회 접속되어서 냉장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킴과 동시에 컴먼단자와 냉동히터단자는 1회 접속되어서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키므로써 별도의 수단을 소요함이 없이 캠수단의 구조의 변경으로 용이하게 냉장증발기와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조시에 부품수의 절감으로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캠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캠수단에 의해 압축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캠수단에 의해 제상히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상타이머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수단에 의해 압축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수단에 의해 냉동증발기와 냉장증발기의 제상히터가 동시에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수단에 의해 냉장증발기의 제상히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캠수단 20 : 최외각부
30 : 제1캠부 31 : 제1요홈부
32 : 제2요홈부 40 : 제2캠부
43 : 제3요홈부 44 : 제4요홈부
50 : 제3캠부 55 : 제5요홈부
60 : 타이밍수단 61 : 압축기단자
62 : 컴먼단자 63 : 냉장히터단자
64 : 냉동히터단자 70 : 냉장고본체
71 ; 기계실 72 : 압축기
이하,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상타이머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수단에 의해 압축기가 가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수단에 의해 냉동증발기와 냉장증발기의 제상히터가 동시에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수단에 의해 냉장증발기의 제상히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있어서, (70)은 우레탄등과 같은 단열재가 발포되어서 열의 전도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냉장고본체로써, 그 하부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켜 도시되지 않은 응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72)가 배설되는 기계실(7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냉장고본체(7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72)등이 일정시간 이상 작동되어서 냉장 및 냉동증발기에 성애가 생성될 경우 각각의 제상히터가 가동되도록 시간을 콘트롤하는 타이밍수단(60)이 브라켓(73)을 매개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수단(60)에는 압축기와 냉동제상히터 그리고 냉장제상히터로 전원이 인가 혹은 차단되도록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압축기단자(61)와 컴먼단자(62)와 냉장히터단자(63) 그리고 냉동히터단자(64)가 돌설되어 있으며, 각 단자(61, 62, 63, 64)에는 전선(65)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타이밍수단(60)의 내부에는 압축기와 냉장히터 그리고 냉동히터로 전원이 인가 혹은 차단되도록 회전되는 캠수단(10)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수단(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압축기단자(61)의 위치를 콘트롤하는 최외각부(20)와, 상기 최외각부(2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컴먼단자(62)의 위치를 콘트롤하는 제1캠부(30)와, 상기 제1캠부(3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냉장히터단자(63)의 위치를 콘트롤하는 제2캠부(40)와, 상기 제2캠부(4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냉동히터단자(64)의 위치를 콘트롤하는 제3캠부(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캠부(30)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컴먼단자(62)가 상기 냉장히터단자(63) 혹은 상기 냉동히터단자(64)와 접속되어 냉장제상히터 혹은 냉동제상히터로 전원이 인가되어서 냉장증발기 혹은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가 제상되도록 상기 컴먼단자(62)의 위치를 제어하며 180。간격으로 제 1 및 제2요홈부(31, 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수단(10)의 제2캠부(40)에는, 상기 제1 및 제2요홈부(31, 32)가 형성된 상기 제1캠부(30)가 360。회전될 경우 냉장증발기의 제상히터가 2회 가동되도록 상기 냉장히터단자(63)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캠부(30)의 상기 제 1 및 제2요홈부(31, 32)와 동일 축선상의 180。간격으로 제3 및 제4요홈부(43, 4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캠수단(10)의 제3캠부(50)에는, 상기 제1캠부(30)가 360。회전될 경우 냉동증발기가 1회 가동되도록 상기 냉동히터단자(64)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혹은 제2요홈부(21, 22)의 동일 축선상에 제5요홈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냉장고가 가동되어서 냉장실 및 냉동실로 냉기가 공급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수단(10)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압축단자(61)와 상기 컴먼단자(62)가 접속되므로써 압축기로 전원이 인가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로 냉기가 공급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저장보관된 식품을 신선하게 저장보관시키게 된다.
또, 냉장고를 가동시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캠수단(10)이 180。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캠수단(10)의 구조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컴먼단자(62)와 상기 압축기단자(61)는 분리되어 압축기로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컴먼단자(62)와 상기 냉장히터단자(63) 그리고 냉동히터단자(64)가 접속되게 되어 냉장히터와 냉동히터로 전원이 인가되어 냉장증발기와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키게 된다.
즉,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캠수단(10)이 180。회전될 경우 냉장증발기와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가 제상되도록 상기 컴먼단자(62)와 상기 냉장히터단자(63) 그리고 상기 냉동히터단자(64)가 접속되게 되는 것이다.
또, 냉장히터와 냉동히터가 동시에 가동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캠수단(10)이 180。회전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수단(10)의 구조에 의해 상기 컴먼단자(62)와 상기 압축기단자(61) 그리고 상기 냉동히터단자(64)는 분리되어 압축기와 냉동히터로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컴먼단자(62)가 상기 냉장히터단자(63)와 접속되어 냉장히터가 작동되게 된다.
즉, 상기 캠수단(10)이 360。회전될 경우 상기 컴먼단자(62)와 상기 냉장히터단자(63)는 상기 캠수단(10)의 구조에 의해 2회 접속되어 냉장히터가 2회 작동되어 냉장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키고, 상기 컴먼단자(62)와 상기 냉동히터단자(64)는 1회 접속되어 냉동히터가 1회 작동되어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에 의하면, 캠수단의 1회전(360。)에 의해서 컴먼단자와 냉장히터단자가 2회 접속되어서 냉장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킴과 동시에 컴먼단자와 냉동히터단자는 1회 접속되어서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키므로써 별도의 수단을 소요함이 없이 캠수단의 구조의 변경으로 용이하게 냉장증발기와 냉동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조시에 부품수의 절감으로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압축기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압축기단자(61)의 위치를 콘트롤하며 그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 최외각부(20)와, 상기 최외각부(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컴먼단자(62)의 위치를 콘트롤하는 제1캠부(30)로 이루어진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30)의 180。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2요홈부(31, 32)와,
    상기 제1 및 제2요홈부(31, 32)가 형성된 상기 제1캠부(30)가 360。회전될 경우 냉장증발기의 제상히터가 2회 가동되도록 냉장히터단자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캠부(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2요홈부(31, 32)와 동일 축선상의 180。간격으로 제3 및 제4요홈부(43, 44)가 형성된 제2캠부(40)와,
    상기 제2캠부(40)가 360。회전될 경우 냉동증발기가 1회 가동되도록 냉동히터단자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혹은 제2요홈부(31, 32)의 동일 축선상에 제5요홈부(55)가 형성된 제3캠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
KR2019970021338U 1997-08-01 1997-08-01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 KR200179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38U KR200179404Y1 (ko) 1997-08-01 1997-08-01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38U KR200179404Y1 (ko) 1997-08-01 1997-08-01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69U KR19990008369U (ko) 1999-03-05
KR200179404Y1 true KR200179404Y1 (ko) 2000-05-01

Family

ID=1950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338U KR200179404Y1 (ko) 1997-08-01 1997-08-01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4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69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8390B2 (ja) 2つの蒸発器が備えられた冷蔵庫の除霜運転方法
KR100189100B1 (ko) 고효율 독립냉각 싸이클을 가지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0179404Y1 (ko) 제상타이머장치의 캠구조
JPH11304328A (ja) 冷蔵庫の冷却運転制御装置
JP2001133112A (ja) 冷蔵庫
KR0141798B1 (ko) 중앙에 증발기를 구비한 냉장고
KR100425114B1 (ko) 2개의 증발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상운전방법
KR100379403B1 (ko) 2개의 증발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상운전 방법
JP2005098605A (ja) 冷蔵庫
JP3640368B2 (ja) 冷蔵庫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冷蔵庫
JP2003287331A (ja) 冷蔵庫
JPH0345099Y2 (ko)
JP4314726B2 (ja) 冷蔵庫
KR100194149B1 (ko) 기계식 냉각작동 제어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냉각작동 제어방법
KR200155846Y1 (ko) 냉장고의 제상타이머장치
JP2004011997A (ja) 冷蔵庫
KR2005009784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459173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0127383Y1 (ko) 쇼케이스의 제상시 냉각팬정지지연회로
KR100394007B1 (ko) 김치보관용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9990007070U (ko) 냉장고의 제상타이머장치
KR20150077740A (ko) 냉장고의 급속 냉동 장치 및 급속 냉동 방법
KR100250094B1 (ko) 냉각 저장고
KR100229470B1 (ko) 제상히터를 갖는 냉장고
KR0182144B1 (ko) 기계식 냉각작동 제어장치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