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184Y1 -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 Google Patents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184Y1
KR200179184Y1 KR2019990024570U KR19990024570U KR200179184Y1 KR 200179184 Y1 KR200179184 Y1 KR 200179184Y1 KR 2019990024570 U KR2019990024570 U KR 2019990024570U KR 19990024570 U KR19990024570 U KR 19990024570U KR 200179184 Y1 KR200179184 Y1 KR 200179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upport
support
support portion
heart
closur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순
Original Assignee
원용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순 filed Critical 원용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1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592Elastic or resilient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597Implements comprising a membrane

Abstract

본 고안은 심장의 주변조직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시술 후 잔존 단락율을 낮추어 주고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지지살(11)들이 방사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일측지지부(10)와, 상기 일측지지부에 지지되고 대칭되는 방향에 다수개의 지지살(21)들로 동일한 방사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타측지지부(20)와, 상기 일측지지부(10) 및 타측지지부(20)의 안쪽에 각기 부착되고 방수성의 얇은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일측막부(30) 및 타측막부(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A Device for Closing the Loss part of Heart}
본 고안은 심장의 주변조직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시술 후 잔존단락율을 낮추어 주고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뛰어나며 심방중격결손의 경도관 폐쇄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의학이 발전하면서 예전의 외과적 수술을 통해 광범위하게 절개하여 치료하던 질환들이 점차 비침습적인 술기에 의한 간단한 방식으로 치료되는 추세이다. 이는 기존의 방식과 대등한 치료효과를 주면서 입원기간의 단축, 수혈량의 감축, 의료경비의 절감뿐 아니라 수술 후 후유증을 최소화하여 환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비침습적 최소절개술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새로운 의료재료 및 의공학 분야의 발전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심방중격결손(atrial septal defect;ASD)은 선천성 심장기형 중에서 심실중격결손, 동맥관개존증에 이어 세 번째로 빈번한 심장기형이다. 이 질환은 결손을 통한 혈류의 좌우단락율이 1.5 이상이거나 paradoxical embolism이 나타나면 수술에 의해 심방중격결손을 막아주어야 한다. 심방중격결손의 외과적 치료는 심장 수술 중에서는 안전한 편으로 수술 사망률이 1% 이하지만 수술절개에 의한 미용적, 심리적 후유증이 크며 수술을 전후하여 환자와 가족들의 정신적 부담은 매우 크다. 외과적 치료에는 보통 6-8일간의 입원기간이 필요하고 전신마취, 체외순환, 중환자실에서 격리된 상태에서의 수술 후 회복단계가 필요하다. 이런 과정들은 모두 합병증의 위험과 치료비용이 동반되는 것들이다.
수술에 따르는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피하기 위하여 1970년대 초에 미국의 킹(King)등과 라스킨드(Rashkind)등은 기구를 고안하여 대퇴정맥에 도관을 넣고 심장 내에 거치한 후 기구를 심방중격결손에 걸쳐서 폐쇄하는 방법을 시작하였다. 초기의 기구는 문제점이 많아서 결과가 좋지 않았는데 후에 킹과 라스킨드등이 기구를 개선하였다. 이들이 개선한 Double-Umbrella Device(Clamshell Device)는 11Fr.(참고 1Fr ≒ 0.3mm임) 두께의 전달도관(delivery sheath)으로 심장 내에 전달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체중 10Kg 이하의 유아, 소아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커서 시술 대상환자를 선별해야 한다. 시데리스(Sideris)등이 1980년대 후반에 개발한 Buttoned Double-Disc Device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져서 8Fr. 두께의 전달도관으로 심장 내에 전달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Clamshell Device나 Buttoned Device에 의한 치료 결과 논문을 검토해보면 크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시술 후 좌우단락의 지속이다. 연구자들의 보고마다 차이는 있으나 시술 직후에는 좌우단락이 많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폐쇄돼 가는 양상을 보이는데 시술 직후 37-65%에서 좌우단락이 지속되다가 시술 1년 후에는 0-19%에서 남아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둘째, 기구의 기계적인 결손이다. Clamshell Device의 경우 Umbrella의 지지살이 파쇄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고 시술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Buttoned Device는 2개의 disc를 결합해주는 버턴이 풀리는 경우가 7-10% 보고 되고 있는데 이들 중 일부는 기구가 다른 곳으로 이탈되어 응급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었다. 셋째, 시술 적용 대상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심방중격결손의 직경이 25mm 이상이거나 심방의 크기가 작은 경우, 심방중격결손의 경계조직이 불충분한 경우, 결손이 여러 개인 경우 등은 경도관 심방중격결손 폐쇄가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외에도 기구에 의한 용혈, 잘못 위치한 기구의 경도관 제거의 어려움 등 기존 기구들의 문제점이 많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심장의 주변조직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심방중격결손의 경도관 폐쇄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술 후 잔존 단락율을 낮추어 주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결손부위를 영구적으로 안전하게 폐쇄시킬 수 있는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쇄기구의 절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쇄기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쇄기구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쇄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쇄기구의 제1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쇄기구의 제2사용상태 단면도
도7a 내지 도7d는 본 고안으로 심장시술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8a 내지 도8c는 본 고안으로 심장시술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폐쇄기구 10,20:일,타측지지부
11,21:지지살 30,40:일,타측막부
50:전달도관 51:튜브부
52:신축부 53:밀대부
60:심장조직 61:결손부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는 다수개의 지지살들이 방사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일측지지부와, 상기 일측지지부에 지지되고 대칭되는 방향에 다수개의 지지살들로 동일한 방사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타측지지부와, 상기 일측지지부 및 타측지지부의 안쪽에 각기 부착되고 방수성의 얇은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일측막부 및 타측막부로 구성됨을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도,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살(11)들이 방사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일측지지부(10)와, 상기 일측지지부에 지지되고 대칭되는 방향에 다수개의 지지살(21)들로 동일한 방사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타측지지부(20)와, 상기 일측지지부(10) 및 타측지지부(20)의 안쪽에 각기 부착되고 방수성의 얇은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일측막부(30) 및 타측막부(40)를 그 구성요소들로 가진다는 점에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 같이 만들어지는 본 고안은 제품으로 생산될 시에는 도1에서와 같이, 일타측이 각기 고탄성이 부여되고 부피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로 생산되어 소구경의 전달도관(50) 선단부에 삽입된다(도7a 참조). 그리고 사용시에는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고탄성에 의해서 일타측지지부(10)(20)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방사선 형태로 펼쳐지고 그 지지부 안쪽에 고정된 일타측막부(30)(40)들은 둥근 원 모양으로 펼쳐져 결손부위(61)를 폐쇄시켜 준다.
여기에서, 일,타측지지부(10)(20)는 고탄성을 가진 다수개의 지지살(11)(21)들로 이루어져 심장 결손부위(61)의 조직(60)을 양쪽에서 지지하여 주는 기능을 한다. 이 같은 지지부는 일체로 연장되는 하나의 금속선으로 절곡시켜 다수개의 지지살(11)(21)들을 만들되 생체 적합성을 가진 초탄성 금속 또는 폴리머 등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타측지지부를 하나의 금속선으로 절곡시켜 일체형으로 만드는 이유는 구조부가 몸 안에서 분리되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타측막부(30)(40)는 얇은 박막으로 혈액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인체 적합성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진다. 일타측막부(30)(40)는 양 지지부(10)(20)의 안쪽에 각기 고정되어서 심장 내에서 결손부의 양쪽에서 결손부위(61)를 폐쇄하는 기능을 한다. 체내에서 세포들이 쉽게 자라서 심장내막의 조직반응에 의해 2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져서 결손부위(61)가 영구적으로 폐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본 고안 폐쇄기구로 결손부위(61)를 폐쇄시켜 주는 구조는 크게 2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도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타측 지지살(11)(21)들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휘어져 끝부분에 힘이 집중되게 하는 것이다. 이는 힘이 한곳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므로 막부(30)(40)들이 조직(6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지지살(11)(21)이 휘어지되 일타측의 지지살(11)(21)들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고 서로 일치되게 배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둘째는 도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타측 지지살(11)(21)들이 서로 일자형으로 곧게 펼쳐지게 하여 힘이 전체에 고루 분산되게 하는 것이다. 이는 힘이 지지살 전체에 고루 분산되게 하므로 막부의 국부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살(11)(21)이 일자형 직선으로 펼쳐지되 일타측의 지지살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고 서로 일치되게 배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참고로, 일타측막부(30)(40)의 직경 크기는 결손부위(61)의 직경보다 1.6 - 2.0배로 크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 폐쇄기구로 심방중격결손부위(61)를 폐쇄하는 시술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7a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폐쇄기구(1)를 최소로 축소시켜 전달도관(50) 끝부분에 삽입시킨다. 폐쇄기구(1)를 삽입시킨 전달도관(50)을 환자의 대퇴정맥을 통하여 심장의 결손부위(61)에 도달시킨다(도8a참조).
둘째, 도7b에서와 같이, 전달도관(50)의 주입통로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신축부(52)를 팽창시켜 전달도관(50)을 결손부위(61)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맞춘다(도8b참조). 신축부(52)가 팽창되면 그 외주면이 결손부위(61) 조직(60)에 접촉하게 되므로 전달도관은 자연히 결손부위(61)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전달도관(50)을 결손부위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일타측막부(30)(40)들이 방사형태로 펼쳐질 때 원주방향의 테두리 부분이 심장조직(60)에 완전하게 지지되게 함으로써 결손부위(61)를 완전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신축부(52)의 팽창물질은 주사기 등으로 주입통로를 통하여 충전시킬 수 있으며, 팽창물질은 공기 또는 액상의 약품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셋째, 도7c에서와 같이, 밀대부(53)를 밀어서 폐쇄기구(1)의 절반인 일측부를 전달도관(50) 외부로 압출시켜 준다. 그러면 폐쇄기구의 일측막부(30)가 펼쳐져 심장조직(60)의 일측에 지지된다(도8c참조).
넷째, 도7d에서와 같이, 밀대부(53)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달도관(50)을 후퇴시켜 폐쇄기구의 타측부를 전달도관(50) 외부로 완전히 압출시켜 준다. 그러면 폐쇄기구의 타측막부(40)가 펼쳐져 심장조직(60)의 타측에 지지되어 결손부위(61)를 완전히 폐쇄시켜 준다(도8c참조). 그리고 전달도관(50)의 신축부(52)에 공기를 완전히 뺀 후에 환자 몸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치료가 완료된다.
한편,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전달도관(50)은 도7a 내지 도7d에서와 같이, 플렉시블하고 주입통로를 갖는 길다란 튜브부(51)와, 상기 튜브부의 선단부 외주면에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주입통로와 연결되는 얇은 박막의 신축부(52)와, 상기 튜브부 내부에 삽입되는 밀대부(53)로 이루어짐을 예시해 보여준다.
또한, 신축부(52)에 주입하는 팽창물질의 주입양을 가지고 결손부위(61)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즉, 신축부(52)가 팽창하여 결손부위(61)에 접촉하게 되면 감지되는 감지센서와 신축부에 주입된 팽창물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주사기에 구비한다. 그래서 감지센서가 표시될 때까지 신축부에 팽창물질을 주입한다. 그리고 감지센서에 표시된 시점의 주입량을 측정수단으로 측정하면 신축부의 팽창된 크기를 알 수 있고 이 팽창된 크기는 곧 결손부위의 크기와 비례하므로 결손부위의 크기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결손부위의 크기를 알게 되면 폐쇄기구의 크기를 적절하게 사용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폐쇄기구는, 다수개의 지지살들이 방사형태로 펼쳐지는 일,타측지지부 사이에 각기 일,타측막부를 부착시킴으로써, 심장의 주변조직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심방중격결손의 경도관 폐쇄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일,타측막부는 체내에서 세포들이 쉽게 자라서 그 막이 심장내막의 조직반응에 의해 2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결손부위가 영구적으로 폐쇄되며 시술 후 잔존 단락율을 낮추어 주고 내구성이 뛰어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다수개의 지지살(11)들이 방사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일측지지부(10)와, 상기 일측지지부에 지지되고 대칭되는 방향에 다수개의 지지살(21)들로 동일한 방사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타측지지부(20)와, 상기 일측지지부(10) 및 타측지지부(20)의 안쪽에 각기 부착되고 방수성의 얇은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일측막부(30) 및 타측막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지지부(10) 및 타측지지부(20)는 일체로 연장되는 하나의 금속선을 절곡시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지지부(10) 및 타측지지부(20)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휘어지는 곡선형태를 이루면서 펼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지지부(10) 및 타측지지부(20)는 각기 일자형태로 곧게 펼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KR2019990024570U 1999-11-10 1999-11-10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KR20017918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794A KR100349803B1 (ko) 1999-11-10 1999-11-10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및 그 전달도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794A Division KR100349803B1 (ko) 1999-11-10 1999-11-10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및 그 전달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184Y1 true KR200179184Y1 (ko) 2000-04-15

Family

ID=196194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794A KR100349803B1 (ko) 1999-11-10 1999-11-10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및 그 전달도관
KR2019990024570U KR200179184Y1 (ko) 1999-11-10 1999-11-10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794A KR100349803B1 (ko) 1999-11-10 1999-11-10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및 그 전달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9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3847A4 (en) 2020-08-25 2024-02-28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IN-EAR SHUN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P4243915A1 (en) 2020-11-12 2023-09-20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implantable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8420A (en) * 1991-02-01 1992-04-28 Temple University Aperture occlusion device
US5634936A (en) * 1995-02-06 1997-06-03 Scimed Life Systems, Inc. Device for closing a septal defect
DE69612507T2 (de) * 1995-10-30 2001-08-09 Childrens Medical Center Selbstzentrierende, schirmartige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eines septal-defektes
US5861003A (en) * 1996-10-23 1999-01-19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ccluding a defect or aperture within body surface
US5944738A (en) * 1998-02-06 1999-08-31 Aga Medical Corporation Percutaneous catheter directed constricting occlu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155A (ko) 2001-06-05
KR100349803B1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4532C2 (ru) Кардиальный окклюдер
ES2375738T3 (es) Dispositivo de cierre de una persistencia del agujero oval con un sistema orientable de administración.
EP1046375B1 (en) Occlusion device
CN106413609B (zh) 针对膀胱过度活动症的膀胱组织改变
US7566336B2 (en) Left atrial appendage closure device
JP3649734B2 (ja) 脳治療用拡張器
ES2673593T3 (es) Sistema de despliegue de dispositivo médico que se puede implantar
US6647281B2 (en) Expandable diagnostic or therapeutic apparatus and system for introducing the same into the body
KR102466036B1 (ko) 혈류의 조정가능한 중재 감축을 위한 스텐트 키트 및 스텐트
US200700832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avity obliteration
JPH05212038A (ja) 皮膚を通る動脈の刺し傷の密閉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挿入器具
BRPI0616925A2 (pt) dispositivo de oclusão do apêndice atrial esquerdo e método de fechar um apêndice atrial esquerdo de um coração humano ou aninal
WO2006062711A2 (en) Daisy design for occlusion device
Tanabe et al. Cardiovascular fiberoptic endoscopy: development and clinical application
JP3733580B2 (ja) 欠損閉塞用閉鎖栓回収具
US89744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ccess
US20140114242A1 (en) Intrajugular balloon catheter
US20020038100A1 (en) Intra-arterial shunt tube and method of using same
US7273489B2 (en) Device for occluding a hole in a body wall and a unit for inserting said device
KR200179184Y1 (ko) 심장혈관계 결손 폐쇄기구
JPS5827935B2 (ja) 短絡欠損閉鎖装置
BR112021013203A2 (pt) Sistema de inserção de oclusor
JPH03118077A (ja) カテーテル
BR102016021637A2 (pt) aparelho de oclusão para fechar uma abertura apical na parede do coração
JPH033237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