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124Y1 -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124Y1
KR200178124Y1 KR2019970016681U KR19970016681U KR200178124Y1 KR 200178124 Y1 KR200178124 Y1 KR 200178124Y1 KR 2019970016681 U KR2019970016681 U KR 2019970016681U KR 19970016681 U KR19970016681 U KR 19970016681U KR 200178124 Y1 KR200178124 Y1 KR 200178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over member
rod
lamp
lower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088U (ko
Inventor
이승엽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70016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12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0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0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46Positional adjustment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 형태의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부재,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개방 공간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중심부 외측에 결합되는 커넥팅 부재, 상기 커넥팅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커넥팅부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 클립 부재 및, 상기 하부 클립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상부 클립 부재 및, 상기 상하부 클립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조명 장치는 임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for real viewing machine}
본 고안은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 위치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는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 화상기는 대상 물체를 씨씨디 카메라(charge coupled camera)로 촬상하여 이를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학술 및 산업용으로 널리 사요용되는 장치이다. 특히 실물 화상기에서 대상 물체를 촬상하는 씨씨디 카메라에 현미경 렌즈와 같이 실물을 확대시킬 수 있는 렌즈를 결합함으로써, 미세한 대상 물체를 확대시킨 화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물 화상기에는 다양한 주변 장치가 포함되는데,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려면 조명 장치가 필수적이다.
실물 화상기의 조명 장치는 조명을 필요로 하는 대상 물체 및 조명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면, 대상 물체의 윤곽이 육안으로도 충분히 식별 가능한 입체인 경우라면 대상 물체의 상부에 위치한 조명만으로도 충분한 반면에, 문자나 도형으로 작성된 문서를 실물 화상기로 디스플레이하면 문서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조명을 필요로 한다. 또한 마이크로 단위의 극소 대상 물체를 조명할 경우에도 하부 조명을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실물 화상기의 상부 조명 장치는 카메라 일체형 또는 대물대 일체형으로 제작되었다. 즉, 카메라의 일측에 조명용 램프를 장착함으로써 카메라의 이동에 따라 조명용 램프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카메라 일체형 조명 장치는 카메라가 촬상을 위해 대상 물체의 일측으로 이동할 때 조명용 램프도 함께 이동하므로, 조명 장치의 위치에 대한 별도의 조정이 필요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카메라 일체형 조명 장치의 경우 대형 램프를 장착할 수 없으므로 조도를 높일 수 없으며, 조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카메라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명 장치의 위치를 카메라와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없으므로, 음영에 의한 조명 효과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상 물체를 올려 놓는 대물대에 조명 장치를 고정시키는 경우, 조도가 높은 대형 램프를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조명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는데 제한이 가해지며, 따라서 대상 물체가 너무 커지거나 너무 작아지는 경우에는 적절한 위치에서 대상 물체를 조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명 위치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실물 화상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의 정면 투시도.
도 2b는 도 2a의 측면 투시도.
도 3은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상하부 클립과 커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클립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 본체부 12. 카메라
13. 제 1 로드 14. 제 2 로드
15.16.17. 관절부 18. 케이블
21.22. 커버 23. 램프
24.25. 클립 26. 커넥팅부
27. 커넥터 30. 회로 기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 형태의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부재,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개방 공간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중심부 외측에 결합되는 커넥팅 부재, 상기 커넥팅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커넥팅부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 클립 부재 및, 상기 하부 클립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상부 클립 부재 및, 상기 상하부 클립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클립 부재와 하부 클립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실물 화상기의 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고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내부 공간에 상기 램프의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램프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갓이 더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 부재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부 커버 부재는 상기 램프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클립 부재 및 하부 클립 부재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박판의 고무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 클립 부재의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팅 부재 사이에 설치된 판 스프링 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 부재와 상기 커넥팅 부재 사이에 설치된 판 스프링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 실물 화상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물 화상기(10)는 본체부(11)로부터 연장된 제 1 로드(13) 및 제 2 로드(14)와, 상기 제 2 로드(14)의 일 단부에 설치된 씨씨디 카메라(12)를 구비한다. 본체부(11)에는 실물 화상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 및 기타 부품이 내장되어 있다. 제 1 로드(13)의 일 단부는 상기 본체부(11)에 대하여 제 1 관절부(15)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 1 로드(13)의 다른 단부는 제 2 관절부(16)를 통해서 제 2 로드(14)와 연결된다. 제 2 로드(14)의 다른 단부는 제 3 관절부(17)를 통해 카메라(12)와 연결된다. 케이블(18)은 로드(13,14)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본체부(11)와 카메라(12)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실물 화상기의 조명 장치에 개한 개략적인 정면 투시도 및 측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는 램프(23)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21)와, 상기 상부 커버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커버(22)와, 상기 상부 커버(21)의 외측 중심에 체결된 커넥터(27)와, 상기 커넥터(2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부(26)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 클립(25)과, 상기 하부 클립(25)에 대하여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상부 클립(26)을 구비한다. 상부 커버(21)의 내부 공간에는 램프(30)와 상기 램프(23)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회로 기판(30)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램프(23)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광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반사갓(51)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커버(22)는 상부 커버(21)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클립(24)과 하부 클립(25)은 서로에 대하여 힌지를 통해 연결됨과 동시에, 서로에 대하여 맞물리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로드(13,14)의 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 스프링이 상부 클립(24)가 하부 클립(25)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클립들이 로드(13,14)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립(24,25)들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부(24a,25a)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로드(13,14)에 대한 고정 작용을 해제할 수 있으며, 다른 위치로 조명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상부 커버(21) 및 하부 커버(22)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커버(21)의 중심부에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 결합구(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21)의 일부 및 하부 커버(22)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하부 커버(2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그 안에서 발광된 램프의 빛이 대상 물체에 충분히 조사될 수 있어야 한다. 하부 커버(22)는 선택적인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거된 상태로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도 4에는 상부 클립(24), 하부 클립(25) 및, 커넥터(27)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클립(24)과 하부 클립(25)에는 힌지핀(42)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아니한 판 스프링 또는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 상하부 클립(24,25)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하부 클립(24,25)은 서로에 대하여 상호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상하부 클립(24,25)의 내측면에는 고무 부재(41)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은 로드(13,14)에 조명 장치가 고정될 때 로드(13,14)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클립(25)에는 커넥팅부(26)가 일체로 형성되며, 커넥팅부(26)에는 체결공(26a)이 형성된다. 커넥터(27)의 상부는 상기 커넥팅부(26)에 대하여 볼트(28)와 너트(43)를 통해 체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27)의 하부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커버(21)의 커넥터 결합구(21a)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부 커버(21)의 내측면에 커넥터 결합구(21a)의 직경보다 큰 플레이트(31)를 개재시키고, 볼트(29)를 상부 커버(21)의 내측에서 체결함으로써 커넥터 결합구(21a)를 상부 커버(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커넥터(27)와 하부 클립(25)의 커넥팅부(26)의 연결은 그들 사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즉, 볼트(28)와 너트(43)에 의한 체결은 소정의 응력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력을 가할 경우 커넥터(27)가 하부 클립(25)의 커넥팅부(26)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커넥터(27)가 회전함으로써 상부 커버(21) 및 하부 커버(22)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설치된 램프(23)는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볼트(28)가 통과되어 체결되는 와셔(46,47,49)들이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판 스프링(45)이 볼트(28)가 삽입되는 축 방향에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판 스프링(48)이 다른 볼트(29)가 삽입되는 축 방향에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판 스프링(45,48)은 예를 들면 평면이 환형이고, 평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이 전체적으로 원호를 이루는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판 스프링(45,48)의 설치는 조명 장치를 2 개의 볼트(28,29)의 축방향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커넥터(27)를 하부 클립(25)의 커넥팅부(26)에 대하여 강제로 회전시키면 판 스프링(45)이 평판 형태로 변형되면서 회전이 일어나고, 다음에 외력을 해제하면 판 스프링(45)은 다시 단면이 원호형으로 복귀하면서 하부 클립(25)의 커넥팅부(26)와 커넥터(27) 사이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판 스프링(48)도 플레이트(31)와 커넥터(27) 사이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부 커버(21)가 커넥터(27)에 대하여 360 도로 회전 가능하다. 판 스프링(45,48)이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축 방향으로 회전이 반복하여 발생하더라도 부품 상호간의 결합이 헐거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로드(13,14)에 대한 클립(24,25)의 고정 및 해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클립(24,25)에 대한 외력을 해제하면 조명 장치는 로드(13,14)에 대하여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클립(24,25)에 대하여 외력을 가하면 조명 장치를 로드(13,14)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는 클립을 이용하여 실물 화상기의 로드를 따라 어느 곳에나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 장치는 로드를 중심으로 360 도로 회전하고, 커넥터가 하부 클립의 커넥팅부에 대하여 180 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부 커버가 커넥터에 대하여 360 도로 회전가능하므로, 대상 물체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위치에서 조명이 가능하다. 더욱이 대형 램프를 이용한 조명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선명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본체부로부터 관절부를 통해 연장되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와, 상기 제 2 로드의 일 단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실물 화상기의 상기 제 1 또는 제 2 로드에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소정 형태의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부재,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개방 공간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중심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부재,
    상기 커넥팅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커넥팅부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 클립 부재 ,
    상기 하부 클립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상부 클립 부재 및,
    상기 상하부 클립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클립 부재와 하부 클립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 1 또는 제 2 로드의 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그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내부 공간에 상기 램프의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램프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갓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부재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부 커버 부재는 상기 램프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립 부재 및 하부 클립 부재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 부착된 박판의 고무 부재,
    상기 하부 클립 부재의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팅 부재 사이에 설치된 판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상부 커버 부재와 상기 커넥팅 부재 사이에 설치된 다른 판 스프링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KR2019970016681U 1997-06-30 1997-06-30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KR200178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681U KR200178124Y1 (ko) 1997-06-30 1997-06-30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681U KR200178124Y1 (ko) 1997-06-30 1997-06-30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088U KR19990003088U (ko) 1999-01-25
KR200178124Y1 true KR200178124Y1 (ko) 2000-05-01

Family

ID=1950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681U KR200178124Y1 (ko) 1997-06-30 1997-06-30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1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088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002B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 화상기
JP5964839B2 (ja) 電子拡大装置
US20030151727A1 (en) Rear-projecting device
KR20050077715A (ko) 아치형 지지대를 구비한 실물 화상기
KR100481508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광학엔진
KR200178124Y1 (ko) 실물 화상기용 조명 장치
CN210090880U (zh) 背光模组和显示装置
US20030202224A1 (en) Image pick-up device
JPH0931890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6628458B1 (en) Microscope with improved camera mount and illumination system
KR100466671B1 (ko) 광을제어하는방법및그장치
KR102573851B1 (ko) 엘이디 조명 거울
JP2020053200A (ja) 照明装置
KR200286987Y1 (ko) 조명램프 장착장치와 이를 가지는 실물 화상기
US4455593A (en) High intensity illumination light table with attenuating and reflecting means coupled to rhomboid arms
KR101881579B1 (ko) 모듈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투광등
JP2019144440A (ja) レンズ装置
KR200286988Y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화상기
KR200241948Y1 (ko) 내부 조명장치를 갖는 현미경의 조명램프 장착구조
KR200330617Y1 (ko) 실물화상기의 램프 지지장치
KR100243377B1 (ko) 조명 장치와 이 조명 장치를 이용한 실물 화상기
KR20010010317A (ko) 카메라의 정점운대
KR20030092794A (ko) 조명램프 장착장치와 이를 가지는 실물 화상기
KR200187399Y1 (ko) 조명장치를 부착한 교육용학습자료제시기
JPS62136686A (ja) 液晶テレビ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