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979Y1 -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979Y1
KR200177979Y1 KR2019970028576U KR19970028576U KR200177979Y1 KR 200177979 Y1 KR200177979 Y1 KR 200177979Y1 KR 2019970028576 U KR2019970028576 U KR 2019970028576U KR 19970028576 U KR19970028576 U KR 19970028576U KR 200177979 Y1 KR200177979 Y1 KR 200177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tents
rod
rotar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900U (ko
Inventor
소병선
Original Assignee
소병선
주식회사신용정밀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선, 주식회사신용정밀기계 filed Critical 소병선
Priority to KR2019970028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97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9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9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치약등 튜브에 내용물을 충진시키는 충진장치로서 센서에 의해 튜브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어 내용물을 충진하여 밀봉시켜 배출시키고 튜브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내용물을 충진하지 않고 그대로 튜브를 제거시켜 튜브을 재사용할수 있게한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센서에 의해 튜브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어 내용물 충진장치에 의해 내용물을 충진시키고, 튜브의 위치가 정확히 맞추어 지지 않을때는 내용물 충진장치에서 내용물을 충진하지 않고 그대로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여 내용물이 충진되지 않은 튜브를 그대로 배출시켜 튜브를 재사용할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본 고안은 화장품 치약등 튜브에 내용물을 충진시키는 충진장치로서 센서에 의해 튜브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어 내용물을 충진하여 밀봉시켜 배출시키고 튜브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내용물을 충진하지 않고 그대로 튜브를 제거시켜 튜브을 재사용할수 있게한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튜브 충진장치는 튜브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지 못했을 경우에도 내용물을 충진하고 튜브를 마감처리 하였던 것으로 그로인해 불량율이 증가했으며 불량이 난 제품은 버리거나 충진된 내용물은 재활용 하기 위해 튜브를 절단하여 수거한후 재 사용할수 있으나, 튜브는 재활용 할 수가 없어 그대로 버리게 되어 그로인해 경제적 손실과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었으며 불량품을 고르기 위해 필요 외적인 인력의 소모가 발생하는등 여러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고안한 것으로서, 센서에 의해 튜브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어 내용물 충진장치에 의해 내용물을 충진시키고, 튜브의 위치가 정확히 맞추어 지지 않을때는 내용물 충진장치에서 내용물을 충진하지 않고 그대로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여 내용물이 충진되지 않은 튜브를 그대로 배출시켜 튜브를 재사용할수 있게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평면 설명도.
도2는 본 고안 상하이동축의 작동 설명도.
도3은 본 고안 튜브공급기의 작동 설명도.
도4는 본 고안 튜브청소기의 작동 설명도.
도5는 본 고안으 튜브위치조정기의 작동 설명도.
도6은 본 고안 내용물충진기의 작동 설명도.
도7은 본 고안 튜브배출기의 작동 설명도.
도8은 본 고안 가열기의 작동 설명도.
도9는 본 고안 접합기의 작동 설명도.
도10은 본 고안 냉각 및 압축기의 작동 설명도.
도11은 본 고안 절단기의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튜브충진장치, 2: 본체, 3: 상하이동축, 4: 회전축, 5: 회전틀, 6,6': 튜삽입공, 7,7': 삽입구, 10: 튜브공급기, 11: 고정봉, 12: 재치대, 13: 실린더, 14: 회동공급대, 20: 튜브청소기, 21: 에어분사봉, 22: 에어흡입구, 30: 튜브위치조정기, 31: 감지센서, 32: 고정대, 33: 회전구, 40: 내용물충진기, 50,50': 튜브배출기, 51: 지주, 52: 배출대, 53: 배출유도대, 54: 배출봉, 60: 가열기, 61: 내측가열대, 62: 외측가열대, 63: 가열부, 64: 유체공급관, 70: 접합기, 71: 고정대, 72: 작동구 73,73': 작동간, 74,74': 로울러, 75: 유체공급관, 76,76': 접합구, 80: 냉각 및 압축기, 81: 고정대, 82: 작동구, 83,83': 작동간, 84,84': 로울러, 85: 유체공급관, 86,96': 냉각압축구, 87: 스프링, 90: 절단기, 91: 고정대, 92: 작동구, 93,93': 작동간, 94,94': 로울러, 96,96': 절단칼, 97: 스프링,
된 이하,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튜브충진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튜브충진장치(1)는 본체(2) 중앙에 상하이동축(3)과 이를 감싸고 있는 회전축(4)을 입설하여 이 회전축(4)에 회전틀(5)을 축설하고, 상하이동축(3)의 상부 주면에 히전방향으로 에어분사봉(21)과 에어흡입구(22)를 갖는 통상의 튜브청소기(20), 튜브위치조정기(30), 가열기(60), 접합기(70), 냉각 및 압축기(80), 절단기(90)을 순서대로 설치하고,
회전틀(5) 주면본체(2)에 튜브공급기(10), 통상의 실린더식 내용물충진기(40), 불량튜브배출기(50), 배출기(50')를 각각의 위치에 설치하되,
회전틀(5)에는 튜브삽입공(6)(6')이 형성된 튜브삽입구(7)(7')를 회전가능하게 형성하며,
튜브공급기(10)는 본체(2)에 입설된 고정봉(11)에 튜브재치대(12)를 경사지게 고정하고, 경사하부쪽에 실린더(13)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공급대(14)를 형성하고,
튜브위치조정기(30)는 감지센서(31)와 튜브고정대(32)로 구성되며, 감지센서(1) 위치의 회전틀(5) 튜브삽입구(6) 하부본체(2)에 상하이동 되며 별도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구(33)로 구성되고,
불량튜브배출기(50)와 배출기(51)는 본체(2)에 입설된 지주(51)에 배출대(52)와 배출유도대(53)를 형성하고, 배출대(52) 위치의 회전틀(5) 튜브삽입구(7), 하부 본체(2)에 상하작동되는 배출봉(54)을 형성하고,
가열기(60)는 튜브 내측가열대(61)와 외측가열대(62)로 된 가열부(63)에 유체공급관(64)을 연결 형성하며,
접합기(70)는 고정대(71)에 작동간(73)(73')을 축착하여 이 작동간(73)(73') 상단에 로울러(74)(74')을 하단에 유체공급관(75)이 형성된 접합구(76)(76')형성하고 상부에 스프링(77)으로 탄설되게 하되, 로울러(74)(74') 사이에 상하 이동축(3)에 설착된 ""형의 작동구(72)을 위치되게 하고,
냉각 및 압축기(80)는 전기 접합기(70)와 같이 고정대(81) ""형의 작동구(82)와 작동간(83)(83'), 로울러(84)(84'), 스프링(87), 유체공급관(85)이 형성된 냉각압축구(86)(86')로 구성하며,
절단기(90)도 고정대(91), ""형의 작동구(92)와 작동간(93)(93'), 로울러(94)(94'), 스프링(97), 절단칼(96)(96')로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8은 캠, 9는 튜브, 78,78'는 축점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조공정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별도의 콘트롤 회로에 의하여 본 고안의 튜브충진장치(1)를 가동시키면 동력원(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회전틀(5)이 콘트롤회로의 타이머에 의해 간헐 회전하고 도2의 도시와 같이 동력원에 의해 회전축(4)과 캠(8)에 의해 상하이동축(3)이 상하작동 되는 것이다.
이때 도3 도시와 같이 회전틀(5)의 튜브삽입공(6)이 회동공급대(14) 위치에 왔을 때 회전틀(5)이 멈추게 되면 튜브공급기(10)의 실린더(13)가 작동되어 실린더롯드가 회동공급대(14)를 회전시켜 회동공급대(14)위에 놓여 있던 튜브(9)를 튜브삽입공(6)에 공급시키고 실린더(13)가 다시 작동되어 회동공급대(14)을 원위치 시키면 경사상의 튜브재치대(12)에 놓여있던 튜브(9)가 회동공급대(14)에 다시 공급되는 것이다.
튜브(9)가 튜브삽입공(6)에 공급되면 다시 회전틀(5)이 회전하여 튜브(9)가 공급된 튜브삽입공(6) 위치가 튜브청소기(20)앞에 위치하면 회전되던 회전틀(5)이 멈추고 도4의 도시와 같이 상하이동축(3)이 하강하면서 상하이동축(3)에 설착된 튜브청소기(20)가 하강하여 튜브(9)에 끼워지면 튜브청소기(20)가 작동하여 에어분사봉(21)에서 에어를 분사하며 에어흡입구(22)로 흡입을 시키면서 튜브(9) 내부를 세척하고 세척을 마치면 상하이동축(3)이 상승하면서 튜브청소기(20)가 따라 상승하여 튜브(9) 세척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상하이동축(3)의 상승이 멈추면 회전틀(5)이 다시 회전하여 세척을 끝난 튜브(9)가 튜브위치 조정기(30)위치에 오게 되면 회전틀(5)의 회전이 멈추고 도5의 도시와 같이 다시 상하이동축(3)이 하강하면서 튜브위치조정기(30)의 튜브고정대(32)에 의해 튜브(9)를 잡아주고 하부의 회전구(33)가 상승되어 회전틀(5)의 튜브삽입구(7)와 당접되면 감지센서(31)에 의해 튜브(9)의 I마크가 정위치에 있나 판별하여 정위치에 없을때에는 회전구(33)가 회전하면서 튜브(9)가 따라서 회전되어 감지센서(31)에 의해 튜브(9)의 I마크가 정위치에 놓이게 되면 회전구의 회전을 멈추는 것이다.
일정시간안에 튜브(9)의 I마크가 정위치에 놓이지 않게되면 콘트롤 회로에 의해 튜브(9)가 정위치에 놓여있지 않음을 기억하게 되는 것이다.
일정시간 동안 튜브(9)의 위치를 잡아준후 상하이동축(3)이 상승하고 회전틀(5)이 다음 과정을 위해 회전되어 다음 내용물 충진기(40) 앞에 위치하면 회전틀(5)의 회전이 멈추고 내용물 충진작업을 하는 것이다.
전기한 튜브위치 조정기(30)에 의해 콘트롤회로에 기억된 결과에 의해 튜브(9)가 정위치에 놓여을때는 도6의 도시와 같이 내용충진기(40)가 하강하여 상승하면서 튜브(9)에 내용물을 충진하고, 튜브(9)가 정위치에 놓여 있지 않았을때에는 충진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다.
충진 과정이 끝나면 회전틀(5)이 다시 회전되어 다음 과정인 불량튜브배출기(50) 앞에 멈추게 되면 전기와 마찬가지로 콘트롤 회로에 기억된 결과에 의해 튜브(9)가 정위치에 놓여을때는 본 과정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튜브(9)가 정위치에 놓여 있지 않을때에는 도7의 도시와 같이 회전틀(5) 하부의 배출봉(54)이 상승하여 튜브(9)를 위로 밀어 올리면 튜브(9)의 끝단이 배출유도대(53)에 의해 배출대(52)로 배출되어 회전틀(5)의 튜브삽입공(6)으로 부터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불량튜브의 배출과정이 끝나면 다시 회전틀(5)이 회전되어 다음 과정인 가열기(60) 앞에서 회전틀(5)의 회전을 멈추고 가열과정을 실행하는 것이다.
회전틀(5)이 멈추면 도8의 도시와 같이 상하이동축(3)이 하강하면서 가열기(60)도에 따라 하강하여 튜브(9) 내측에는 튜브내측가열대(61)가 외측에는 외측가열대(62)가 끼워지면 유체공급관(64)을 통해 가열된 유체가 공급되어 내외측가열대(61)(62)을 가열시켜 튜브(9)가 접합될 수 있도록 가열되는 것이다.
가열기(60)에 의해 가열이 완료되면 상하이동축(3)이 상승하면서 가열기(60)도 따라 상승되고 다음 과정을 위해 회전틀(5)이 회전되어 다음 과정인 접합기(70) 앞에서 회전틀(5)의 회전이 멈추면 도9의 도시와 같이 상하이동축(3)이 하강하면서 ""형의 작동구(72)가 하강하면서 작동구(72)에 의해 접합작동간(73)(73')의 축점(78)(78')을 중심으로 상단은 벌어지고 하단은 오므려지면서 접합작동간(73)(73')의 하단 접합구(76)(76')에 의해 튜브(9)의 끝단을 접합 밀봉시키는 것이다.
이때 유체공급관(75)으로 냉각된 유체가 공급되어 접합구(76)(76')와 튜브(9)를 냉각시키면서 접합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튜브(9)의 접합을 마치면 상하이동측(3)이 상승되고 접합기(70)는 전기 반대 작동으로 접합작동구(72)가 상승하면서 스프링(77)의 탄성에 의해 접합작동간(73)(73')상단은 오므려지고 접합작동간(73)(73')은 벌어져 원위치 되는 것이다.
다시 회전틀(5)은 다음 과정을 위해 회전되어 접합된 튜브(9)가 냉각 및 압축기(80)밑에 놓이게 되면 회전틀(5)의 회전을 멈추고 도10의 도시와 같이 다시 상하 이동축(3)이 하강하면서 이에 설착된 ""형의 작동구(82)도 따라 하강하면서 전기와 마찬가지로 냉각압축구(86)(86')가 튜브(9)의 끝단을 압축하면서 유체공급관(85)으로 공급되는 냉각된 유체에 의해 냉각압축구(86)(86')와 튜브(9)가 냉각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냉각 압축과정이 끝나면 상하이동축(3)이 상승하고 회전틀(5)이 회전되어 다음 과정인 절단기(90)밑에 냉각압축된 튜브(9)가 위치하면 회전틀(5)은 회전을 멈추고 다시 도11의 도시와 같이 상하이동축(3)이 하강하면 상하이동축(3)에 설착되어 있는 ""형의 작동구(92)가 하강하여 작동간(93)(99') 상부를 벌리면 작동간(93)(93')하부의 절달칼(96)(96')이 오므려지면서 튜브(9)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것이다.
절단이 완료되면 상하이동축(3)이 상승하고 회전틀(5)이 회전되어 완성된 튜브(9)를 배출기(50')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동된 튜브(9)는 회전틀(5) 하부의 배출봉(54)이 상승하여 튜브(9)를 위로 밀어올려 튜브(9)의 끝단이 배출유도대(53)에 의해 유도되어 튜브(9)가 배출대(52)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빈튜브가 공급되어 튜브에 내용물이 충진되고 튜브 하부가 접합되어 완성되어 나오는 한 공정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 튜브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각 공정이 동시 이루어지면서 불량율이 없어 대량생산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화장품 치약등 튜브에 내용물을 충진시키는 충진장치에 있어서,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인력의 낭비가 없이 단시간에 대량생산하여 원가를 절감할수 있으면서도 튜브의 위치를 정확히 잡거나, 튜브의 위치가 잘못된 것은 내용물을 충진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게하여 불량이 거의 생기지 않게 하였고, 내용물이 충진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 튜브는 재사용할 수가 있어, 경제적 손실이나, 원가상승의 요인을 제거할수 있는등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튜브충진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튜브충진장치(1)는 본체(2) 중앙에 상하이동축(3)과 이를 감싸고 있는 회전축(4)을 입설하여 이 회전축(4)에 회전틀(5)을 축설하고, 상하이동축(3)의 상부 주면에 히전방향으로 에어분사봉(21)과 에어흡입구(22)를 갖는 통상의 튜브청소기(20), 튜브위치조정기(30), 가열기(60), 접합기(70), 냉각 및 압축기(80), 절단기(90)을 순서대로 설치하고,
    회전틀(5) 주면본체(2)에 튜브공급기(10), 통상의 실린더식 내용물충진기(40), 불량튜브배출기(50), 배출기(50')를 각각의 위치에 설치하되,
    회전틀(5)에는 튜브삽입공(6)(6')이 형성된 튜브삽입구(7)(7')를 회전가능하게 형성하며,
    튜브공급기(10)는 본체(2)에 입설된 고정봉(11)에 튜브재치대(12)를 경사지게 고정하고, 경사하부쪽에 실린더(13)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공급대(14)를 형성하고,
    튜브위치조정기(30)는 감지센서(31)와 튜브고정대(32)로 구성되며, 감지센서(1) 위치의 회전틀(5) 튜브삽입구(6) 하부본체(2)에 상하이동 되며 별도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구(33)로 구성되고,
    불량튜브배출기(50)와 배출기(51)는 본체(2)에 입설된 지주(51)에 배출대(52)와 배출유도대(53)를 형성하고, 배출대(52) 위치의 회전틀(5) 튜브삽입구(7), 하부 본체(2)에 상하작동되는 배출봉(54)을 형성하고,
    가열기(60)는 튜브 내측가열대(61)와 외측가열대(62)로 된 가열부(63)에 유체공급관(64)을 연결 형성하며,
    접합기(70)는 고정대(71)에 작동간(73)(73')을 축착하여 이 작동간(73)(73') 상단에 로울러(74)(74')을 하단에 유체공급관(75)이 형성된 접합구(76)(76')형성하고 상부에 스프링(77)으로 탄설되게 하되, 로울러(74)(74') 사이에 상하 이동축(3)에 설착된 ""형의 작동구(72)을 위치되게 하고,
    냉각 및 압축기(80)는 전기 접합기(70)와 같이 고정대(81), ""형의 작동구(82)와 작동간(83)(83'), 로울러(84)(84'), 스프링(87), 유체공급관(85)이 형성된 냉각압축구(86)(86')로 구성하며,
    절단기(90)도 고정대(91), ""형의 작동구(92)와 작동간(93)(93'), 로울러(94)(94'), 스프링(97), 절단칼(96)(9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KR2019970028576U 1997-10-08 1997-10-08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KR200177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576U KR200177979Y1 (ko) 1997-10-08 1997-10-08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576U KR200177979Y1 (ko) 1997-10-08 1997-10-08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00U KR19990014900U (ko) 1999-05-06
KR200177979Y1 true KR200177979Y1 (ko) 2000-04-15

Family

ID=1951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576U KR200177979Y1 (ko) 1997-10-08 1997-10-08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9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313B1 (ko) * 2009-09-03 2012-06-28 천덕기 구획부재를 갖는 튜브용기에 내용물 충진하기 위한 세팅장치
KR101822481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로딩장치
KR101822483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회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41B1 (ko) * 2006-02-08 2007-07-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튜브 회전 장치
CN109110214A (zh) * 2018-10-22 2019-01-01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软管灌装封尾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313B1 (ko) * 2009-09-03 2012-06-28 천덕기 구획부재를 갖는 튜브용기에 내용물 충진하기 위한 세팅장치
KR101822481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로딩장치
KR101822483B1 (ko) * 2016-04-20 2018-01-29 주식회사 가원정밀 사출기의 튜브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00U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9588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tubular labels of heat shrinkable film and inserting containers therein
KR200177979Y1 (ko)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CN205888300U (zh) 银触头高频感应自动钎焊机
US5195294A (en)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system
CN106345885A (zh) 一种薄片式压缩气缸阀片自动化生产控制系统
CN102756342B (zh) 半自动砂布页盘加工设备
CN110315214B (zh) 全自动打标机器人
KR20170121703A (ko)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WO2016060339A1 (ko) 식품즙 탈리 및 포장장치
CN208344674U (zh) 一种新型泡沫扎绸布包装设备
KR100642680B1 (ko) 검체제작장치
JP6155481B2 (ja) パウチ開口装置および液体充填方法
CN211904581U (zh) 一种使避孕套套装在电检棒前具有姿态一致性的装置
CN210432950U (zh) 一种转盘式鞋底自动喷胶机
CN207344121U (zh) 自动插管设备
US3496598A (en) Tube cutoff and forming machine
CN202742227U (zh) 半自动砂布页盘加工设备
CN205386852U (zh) 一种吸塑材料裁切装置及全自动水钻吸塑盘成型设备
CN216233152U (zh) 一种全自动灌装封尾机
CN216376085U (zh) 一种丝绸眼罩生产用热封装置
CN213566804U (zh) 一种红油豆瓣酱自动热封装置
CN216509543U (zh) 一种药物包装联线生产平台
CN220701569U (zh) 回旋式胶瓶瓶口自动封膜设备
KR100191933B1 (ko)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200174414Y1 (ko) 잉크카트리지의 잉크공급구 밀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