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591Y1 -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 Google Patents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591Y1
KR200177591Y1 KR2019950041298U KR19950041298U KR200177591Y1 KR 200177591 Y1 KR200177591 Y1 KR 200177591Y1 KR 2019950041298 U KR2019950041298 U KR 2019950041298U KR 19950041298 U KR19950041298 U KR 19950041298U KR 200177591 Y1 KR200177591 Y1 KR 200177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iece
digital tape
tape cassett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036U (ko
Inventor
김명섭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41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591Y1/ko
Publication of KR970046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0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on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2Auxiliary feature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메모리부 탐지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메인새시상에 그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이 축 지지된 부위를 중심으로 데크새시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가 안착되는 안착편과, 이 안착편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채 메인새시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을 갖는 레버와; 레버의 연장편 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디지탈 테이프가 안착면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메모리부에 접촉되는 검지핀과; 레버의 하면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어 데크새시의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판;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레버상에 일체로 마련된 탄성판을 통해 초기상태로의 복귀가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로 하지 않게된다.
따라서 단가절감과 조립작업성을 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메모리부 탐지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부 탐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크새시 20 : 메모리부
30 : 레버 31 : 안착편
32 : 연장편 33 : 탄성편
40 : 검지핀 DTC :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
본 고안은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Disital Video Cassette Recorder)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의 후면에 마련된 메모리부를 용이하게 탐지하기 위한 탐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테이프는 일반 자기기록 테이프에 비하여 고밀도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이점이 있어 근래에 들어와서 각국(各國)에서는 이를 상품화 즉,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Disital Video Cassette Recorder; 이하 DVCR이하 약칭함)를 생산하는 과정에 있다.
이와같이 DVCR을 생산함에 있어서는 각국에서 서로 협의하에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크기 및 그 기록방식과 테이프의 주행속도및 회전드럼의 직경과 회전수등을 일정규격을 통일시켰다.
한편, 이와같은 DVCR에 있어서, 특히 그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전면 일측에는 테이프 두께, 테이프 타입, 테이프 등급(grade)등 디지탈 사케스 테이프의 신분(identification)을 나타내는 일종의 메모리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같은 메모리부로써는, 예컨대, ID보드(identification board)나 카세트 메모리(MIC;Memory In Cassette)등이 있다.
따라서, 모든 DVCR에 있어서는, ID보드를 갖는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 MIC를 갖는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 양쪽에 대해 이를 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는 이와같은 메모리부를 탐지하기 탐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크게 레버(1)와 검지편(2)으로 대별되는 바, 레버(1)는 데크새시(10)의 일측면상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이 축 지지된 부위를 중심으로 일측은 데크새시(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가 안착되는 안착편(1a)이 마련되고, 그 타측에는 안착편(1a)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편(1b)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 연장편(1b)의 단부에는 실질적을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의 일측면에 마련된 메모리부(20)와 접촉되어 이에 기록된 메모리(예컨대, 테이프 두께, 테이프 타입, 테이프 등급등)를 탐지하는 검지핀(2)에 마련된다.
한편, 이때 전술한 레버(1)는 그 일단이 데크새시(10)상에 고정된 스프링(s)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탐지구조는,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가 안착되며, 레버(1)의 안착편(1a)을 가압하게 되고, 동시에 스프링(s)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던 레버(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에의해서는 안착편(1a)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연장편(1b)의 단부에 위치된 검지핀(2)이 메모리부(20)에 접촉되게 되고, 이로 부터 메모리를 탐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탐지구조에 있어서는,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을 구비하여야 하고, 이를 데크새시상에 고정하여야 함으로써, 부품수 증가에 의한 단가상승과 조립작업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로 하지 않아 단가절감과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메모리부 탐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다른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메모리부 탐지구조는,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후면에 위치된 메모리부를 탐지함에 있어서, 메인새시상에 그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이 축 지지된 부위를 중심으로 데크새시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가 안착되는 안착편과, 이 안착편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채 메인새시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을 갖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연장편 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디지탈 테이프가 상기 안착편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메모리부에 접촉되는 검지핀과; 상기 레버의 하면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어 데크새시의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판;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레버의 안착편에, 소정 폭의 절개홈을 마련하여, 상기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인출시 초기상태로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이 부가되도록 한 것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레버상에 일체로 마련된 탄성판을 통해 초기상태로의 복귀가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단가절감과 조립작업성을 꾀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메모리부 탐지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에서 본 고안은, 크게 레버(30)와 검지핀(40)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레버(30)는 그 일측면의 데크새시(10)상에 회동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이 축 지지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그 내,외측으로 서로 소정 경사로 대응되게 연장된 안착편(31)과 연장편(32)이 마련된다.
이때 안착편(31)으로는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의 하면이 안착되게 되며, 특히 연장편(32)단부에는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가 안착되는 것에 의해 회동되는 연장편(32)에 의해 메모리부(20)에 접촉되는 전술한 검지핀(40)이 위치된다.
또한 레버(30)의 일측 하면에는 즉, 데크새시(10)상에 회동가능하게 축 지지된 부위의 하부에는 이와 일체로 탄성편(33)이 연장 형성되는 바, 이 탄성편(33)은 데크새시(10)의 상면과 밀착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레버(30)의 안착편(31)상에 소정폭의 절개홈(31a)을 마련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의 인출시 초기상태로 좀더 용이하게 복귀시키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가 레버(30)의 안착편(31)상에 안착되면, 레버(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고, 동시에 연장편(32)의 단부에 마련된 검지핀(40)이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의 전면 일측에 마련된 메모리부(20)와 접촉되게 되고, 동시에 메모리를 탐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같은 상태에서 즉,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탄성편(33)은 데크새시(10)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레버(30)가 회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탄성편(33)은 큰 가압력을 받게된다. 이를 바꾸어 말하면, 안착편(31)이 탄성편(33)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되어 안착편(31) 자체에 큰 탄성력이 부여되게 된다.
따라서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를 인출하게 되면, 안착편(31)이 탄성편(33)을 가압하고 있던 힘이 해제됨과 동시에 부가된 탄성력에 의해 초기의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착편(31)의 상면에는 소정폭으로 절개홈(31a)에 마련되어 있어, 이또한 초기상태로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부가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메모리부 탐지구조에 의하면, 레버상에 일체로 마련된 탄성판을 통해 초기상태로의 복귀가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로 하지 않게된다.
따라서 단가절감과 조립작업성을 꾀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후면에 위치된 메모리부를 탐지함에 있어서, 메인새시(10)상에 그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이 축 지지된 부위를 중심으로 데크새시(10)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가 안착되는 안착편(31)과, 이 안착편(3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채 메인새시(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32)을 갖는 레버(30)와; 레버(30)의 연장편(32) 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디지탈 테이프(DTC)가 상기 안착편(31)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메모리부(20)에 접촉되는 검지핀(40)과; 상기 레버(30)의 하면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어 데크새시(10)의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판(33);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0)의 안착편(31)에, 소정폭의 절개홈(31a)을 마련하여, 상기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DTC)의 인출시 초기상태로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이 부가되도록 한 디지탈 테이프 카세트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KR2019950041298U 1995-12-14 1995-12-14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KR200177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298U KR200177591Y1 (ko) 1995-12-14 1995-12-14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298U KR200177591Y1 (ko) 1995-12-14 1995-12-14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036U KR970046036U (ko) 1997-07-31
KR200177591Y1 true KR200177591Y1 (ko) 2000-04-15

Family

ID=1943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298U KR200177591Y1 (ko) 1995-12-14 1995-12-14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5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036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1436A (en) Magnetic disc drive apparatus
KR950000317B1 (ko) 카세트 장착장치
KR200177591Y1 (ko) 디지탈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부 탐지구조
CA1072676A (en) Tape recorder
US5486966A (en) Head drum ground system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JPH05182290A (ja) テープ種類検出装置
JP2884616B2 (ja) 回転ヘッド用配線装置
KR910007867Y1 (ko) 테이프레코더의 오기록 방지장치
US5793562A (en) Head drum protector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543159B1 (en) Tape cassette an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3064678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
KR900005644Y1 (ko) 카세트 데크용 카세트 장착 감지 장치
KR200147774Y1 (ko) Mic스위치가설치된디지탈비디오카세트레코더
KR100189934B1 (ko) 헤드드럼
US5798893A (en) Head drum assembly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JPH0329796Y2 (ko)
KR200228216Y1 (ko) 헤드폰 스테레오 카세트의 도어변형방지장치
JP275849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回転ヘツドアセンブリ
JP3123411B2 (ja) カセットアダプター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KR0133185Y1 (ko) 헤드 드럼의 벌지구조
JP2645909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用シリンダ
JP2762721B2 (ja) 磁気ディスク
GB2192749A (en) Tape recorder
JPH0132180Y2 (ko)
KR0129952Y1 (ko) 회전헤드드럼의 그라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