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612Y1 - 실리콘 키패드 - Google Patents

실리콘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612Y1
KR200176612Y1 KR2019990016946U KR19990016946U KR200176612Y1 KR 200176612 Y1 KR200176612 Y1 KR 200176612Y1 KR 2019990016946 U KR2019990016946 U KR 2019990016946U KR 19990016946 U KR19990016946 U KR 19990016946U KR 200176612 Y1 KR200176612 Y1 KR 200176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ip
keypad
print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홍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륜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02Calculator, compu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리콘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그 표면에 다공(111)이 형성된 버튼(110)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로 된 패드(100); 버튼(1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숫자 또는 문자 또는 그림(이하, 문양)이 인쇄되는 인쇄팁(120); 및 인쇄팁(120)을 감싸며 버튼의 다공(111)으로 스며들어가 굳어져 결착된 수지팁(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리콘 키패드{silicon keypad}
본 고안은 실리콘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키패드는 리모콘이나 각종 정보통신장치(전화기, 휴대용 컴퓨터등)와 같은 전자기기에 채용되어 키워드를 입력하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리콘 키패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키패드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패드(10) 및 그 패드(10)에서 돌출된 여러개의 버튼(11)으로 구성된다. 버튼(11)의 상단에는 각종 숫자나 문자 또는 그림(이하, 문양(文樣))이 인쇄되어 있고 버튼(11)의 하단에는 탄소층이 코팅된 도전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리콘 키패드는 복수의 회로 단자가 형성된 회로기판(미도시)의 상부에 위치되는데, 이때 버튼(11)의 하부에 마련된 도전층은 회로단자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버튼(11)을 누를 때 도전층이 회로 단자와 다른 회로 단자를 통전시키고 이에 따라 회로기판에서 소정의 신호가 발생된다. 이 신호는 각종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된다.
그런데, 버튼은 연질의 실리콘 고무로 되어 있으므로 그 상부에 미세한 문양의 인쇄가 불가능하다. 또, 실리콘 고무상의 인쇄는 실크 스크린 방식으로 수행되는데, 실크 스크린 방식 역시 그 특성상 미세한 문양의 인쇄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버튼상에는 단순한 문양밖에 인쇄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버튼에 인쇄된 숫자 또는 문양은 오랜 시간동안 손가락과 접촉됨에 따라 벗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키패드를 채용한 리모콘이나 정보통신장치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리콘 키패드의 버튼상에 미세한 문양의 구현이 가능하고, 장시간 손가락과의 접촉에 의하여도 문양이 벗겨지지 않는 실리콘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실리콘 키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리콘 키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리콘 키패드의 버튼에 인쇄팁을 안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인쇄팁이 안착된 버튼에 수지팁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실리콘 키패드의 표면의 개질시키기 위한 진공 챔버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실리콘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패드 110 ... 버튼
111 ... 다공 120 ... 인쇄팁
121 ... 숫자 122 ... 하트모양
130 ... 수지팁 150 ... 챔버
151, 180 ... 밸브 152 ... 주입파이프
160 ... 지그 170 ... 펌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 키패드는, 그 표면에 다공(111)이 형성된 버튼(110)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로 된 패드(100); 상기 버튼(1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숫자 또는 문자 또는 그림(이하, 문양)이 인쇄되는 인쇄팁(120); 및 상기 인쇄팁(120)을 감싸며 상기 버튼의 다공(111)으로 스며들어가 굳어져 결착된 수지팁(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팁(1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쇄팁(120)은 금속 재질 또는 축광(형광)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팁은 투명성 에폭시, 아크릴,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수지로 이루어진 군들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리콘 키패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리콘 키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리콘 키패드의 버튼에 인쇄팁을 안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인쇄팁이 안착된 버튼에 수지팁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리콘 키패드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패드(100) 및 그 패드(100)에서 돌출된 여러개의 버튼(110)으로 구성되고, 버튼(110)의 하단에는 탄소층이 코팅된 도전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리콘 키패드는 복수의 회로 단자가 형성된 회로기판(미도시)의 상부에 위치되는데, 이때 버튼(110)의 하부에 마련된 도전층은 회로단자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버튼(110)을 누를 때 도전층이 회로 단자와 다른 회로 단자를 통전시키고 이에 따라 회로기판에서 소정의 신호가 발생된다. 이 신호는 각종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00) 및 버튼(110)의 표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많은 다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버튼(110)의 상부에는 숫자 또는 문자 또는 그림(이하, 문양)이 형성되어진 인쇄팁(120)이 안착되어 있으며, 수지팁(130)이 인쇄팁(120)을 감싼 상태에서 버튼(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인쇄팁(120)은 문양이 인쇄되는 곳으로서, 종래의 실크 스크린 방식으로 인쇄될 수 없는 미세한 문양의 인쇄가 레이저 인쇄를 통하여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휴대폰에 있어서 단축다이얼을 많이 사용하는데 단축다이얼중 1번을 연인의 전화번호로, 또 2번은 집의 전화번호등으로 많이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1 번에는 숫자 1 의 주위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하트모양(122)을 레이저 인쇄하고, 2번에는 집 모양을 레이저 인쇄하면 사용자는 휴대폰을 매우 만족하게 사용할 것이다. 이러한 인쇄팁(120)은 전체적인 표면 형상이 돌출된 둥그러한 금속 재질 또는 빛을 축적하여 발광하는 축광(야광)물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외에도 수지와는 이종(異種)의 재질, 예를 들면, 세라믹, 목재, 플라스틱, 반짝이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인쇄팁의 재질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이러한 인쇄팁(120)은 접착제에 의하여 버튼(110)의 상부에 접착되며, 인쇄팁(120)의 크기는 버튼(110)의 상부면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수지가 인쇄팁(120)을 감싼 상태에서 버튼(110)의 표면에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버튼(110)의 상부에는 인쇄팁(120)을 감싸는 수지팁(130)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팁(130)은 버튼(110)의 표면이 다공(111)이 형성되도록 개질됨으로써 견고한 결착이 가능하다. 즉, 수많은 다공(111)이 형성된 버튼(110)의 표면에 액상 상태의 수지가 다공(111)으로 스며들어가 굳어짐으로써 수지팁(130)은 버튼에 견고하게 결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착된 수지팁(130)은 오랜 시간동안 여러번 버튼(110)을 누르더라도 버튼(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수지팁은 투명성 에폭시, 아크릴,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수지로 이루어진 군들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2의 실리콘 키패드의 표면의 개질시키기 위한 진공 챔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실리콘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리콘 키패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를 수행하는 데, 먼저, 다수개의 도전성 판형의 지그(160)상에 버튼(110)을 가지는 패드(100)를 안착시키고 그 지그(160)와 패드(100)를 진공 챔버(150) 내부에 수납시키는 패드 수납단계(S1)를 수행한다.
다음, 공지의 진공펌프 및 디퓨전 펌프(170)를 가동하고 밸브(180)를 적절히 개폐함으로써 진공 챔버(150)의 공기를 배출한다. 이렇게 하면 진공 챔버(150) 내부는 소정의 진공도로 되고, 적절히 개폐되는 밸브(151) 및 주입파이프(152)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인 Ar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단계(S2)를 수행한다. 이때, 진공도는 적어도 10-6 Torr에서 10-8 Torr인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10-7 Torr로 하였다. 여기서, 불활성 가스로 Ar을 사용하는데,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He, Ne 등 다른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여도 된다.
다음, 진공 챔버(150)와 지그(160) 사이에 플라즈마 전위를 걸어주어 패드(100)의 표면을 개질시키는 패드표면 개질단계(S3)를 수행한다. 진공 챔버(150)와 지그(160) 사이에 플라즈마 전위를 걸어주면 불활성 가스는 플라즈마 상태로 되어 + 이온으로 되고, 플라즈마 상태의 불활성 가스는 지그(160)로 급격하게 운동하면서 패드(100)에 스퍼터링 된다. 이 과정에서, 패드(100)의 표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111)이 형성되도록 개질된다. 여기서, 플라즈마 전위는 바람직하게는 약 200V ∼ 400V 정도로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300V 로 하였다. 또한, 전위를 인가하여 플라즈마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600 초 ∼ 1200 초로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900 초로 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 불활성 가스가 충돌하는 버튼(110) 및 패드의 표면에 다공(111)이 형성된다.
다음, 진공 챔버(150)에서 개질된 패드(100)의 버튼(110)상에 인쇄팁(120)을 안착시키는 인쇄팁 안착단계(S4)를 수행한다. 이때, 인쇄팁(12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버튼(11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인쇄팁(120)에는 미세한 문양이 레이저 인쇄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금속 또는 세라믹 또는 목재 또는 플라스틱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 인쇄팁(120)이 안착된 버튼(110)상에 소정의 액상 수지를 낙하시켜 수지팁(130)을 형성하는 수지팁 형성단계(S5)를 수행한다. 액상 수지를 버튼(110)상에서 낙하시키면 인쇄팁(120)을 완전히 감싸면서 표면장력에 의하여 버튼(110)의 가장자리까지 퍼지게 되고 버튼(110)의 측벽쪽으로는 퍼지지 않게 되어 결국 둥그런 형상이 형성된다. 이때, 액상 수지는 다공(111)으로 스며 들어가고 이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수지는 굳어지면서 버튼(110)에 결착된 수지팁(130)으로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고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 키패드에 따르면, 인쇄팁을 채용함으로써 미세한 문양의 구현이 가능하여 키패드의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팁을 감싸는 수지팁을 버튼에 결착시킬 수 있어, 버튼을 오랜시간동안 여러번 사용하더라도 인쇄팁 및 수지팁이 버튼에서 분리되는 일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그 표면에 다공(111)이 형성된 버튼(110)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로 된 패드(100);
    상기 버튼(1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숫자 또는 문자 또는 그림(이하, 문양)이 인쇄되는 인쇄팁(120); 및
    상기 인쇄팁(120)을 감싸며 상기 버튼의 다공(111)으로 스며들어가 굳어져 결착된 수지팁(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키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팁(1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키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팁(120)은 축광(형광)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키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팁은 투명성 에폭시, 아크릴,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수지로 이루어진 군들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키패드.
KR2019990016946U 1999-08-17 1999-08-17 실리콘 키패드 KR2001766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821A KR20010018022A (ko) 1999-08-17 1999-08-17 실리콘 키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821A Division KR20010018022A (ko) 1999-08-17 1999-08-17 실리콘 키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612Y1 true KR200176612Y1 (ko) 2000-04-15

Family

ID=196074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946U KR200176612Y1 (ko) 1999-08-17 1999-08-17 실리콘 키패드
KR1019990033821A KR20010018022A (ko) 1999-08-17 1999-08-17 실리콘 키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821A KR20010018022A (ko) 1999-08-17 1999-08-17 실리콘 키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66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25B1 (ko) * 2008-04-08 2008-06-16 임호식 가구문짝에 인쇄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022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2190B2 (en) Cellular communication handsets having variable appearance housings and methods therefor
TWI269330B (en) Keysheet module
US57084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cklighting for keypads and LCD panels
JP2000195369A (ja) 金属キ―装置
KR970030682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76612Y1 (ko) 실리콘 키패드
KR20070101283A (ko) 박형 키시트
KR100502198B1 (ko) 이엘을 적용한 일체형 키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1006479A (ja) スイッチボタン
KR20030006478A (ko) 정전기 방전 구조를 갖는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KR200172626Y1 (ko) 실리콘 키패드
US20060097035A1 (en) Size effective keypad switching and backlighting scheme
KR200176611Y1 (ko) 실리콘 키패드
KR20070037767A (ko) 휴대폰용 금속 서스형 박막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95520B1 (ko) 금속재질감을 갖는 휴대폰용 이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32182B1 (ko) 이엘램프가 내장된 메탈 일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21402A1 (en) Input device of electronic apparatus
KR100851657B1 (ko) 액추에이터를 갖는 도파시트를 구비한 키 패널
KR20070081513A (ko) 필름 탄성에 의하여 키감을 구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4772A (ko) 키패드 모듈 및 그에 구비되는 키패드의 제조방법
KR1005499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용 스위칭장치
KR200308558Y1 (ko) 휴대폰용 키패드
KR100501529B1 (ko) 휴대폰용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23984B1 (ko) 박막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입력 장치
KR20020032677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를 위한 백라이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