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984B1 - 박막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박막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984B1
KR100823984B1 KR1020060041940A KR20060041940A KR100823984B1 KR 100823984 B1 KR100823984 B1 KR 100823984B1 KR 1020060041940 A KR1020060041940 A KR 1020060041940A KR 20060041940 A KR20060041940 A KR 20060041940A KR 100823984 B1 KR100823984 B1 KR 10082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utton
portable terminal
input device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235A (ko
Inventor
황문태
김영수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98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는 접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부면에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 전도체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 시트 및 기판과 버튼부 시트 사이에 위치하며 기판과 버튼부 시트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 유지 시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러한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돔 시트 방식이 아닌 접점 방식을 사용하며, 버튼을 버튼부 시트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하여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구현하게 된다. 그러므로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박막, 접점 방식, 버튼 인쇄

Description

박막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입력 장치 {thin film type portable terminal and input device thereof}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 시트의 하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 시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기판 11 : 접점 전극
20 : 버튼부 시트 21 : 전도체
22 : 버튼 30 : 간격 유지 시트
본 발명은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운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 버튼이 형성된 키패드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휴대 단말기와 관련된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게임 기능이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는 버튼(51)이 키패드(57)에 형성되어 있으며, 키패드(57)의 저면에는 간격 유지부(55) 및 누름 돌출부(56)가 아래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돔(dome) 시트(54)는 반원 형상으로 누름 돌출부(56)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돔 시트(54)의 하부에는 전극(53)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이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의 버튼(51)을 누르면, 누름 돌출부(56)가 돔(dome) 시트(54)를 누르게 되고, 돔 시트(54)가 변형되면서 돔 시트(54) 하부에 전극(53)을 연결할 수 있다. 전극(53)이 연결됨에 따라 버튼(51)의 누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극(53)에서 발생된 신호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해 내부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시장은 점점 저가의 작고 가벼운 휴대 단말기를 요구하는 추세에 있고 그에 따라 얇고 가벼운 입력 장치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는 돌출부가 형성된 버튼과 돔 시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버튼과 돔 시트는 구조상 일정한 두께와 무게를 가지게 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 경량화 추세를 따라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조립과정에서 돔 시트를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조립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0118079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38112호에서는 번호와 문자가 인쇄된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의 두께를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공개특허 발명들에서도 여전히 돔 시트를 사용하고 있어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에서 돔 시트 방식이 아닌 접점 방식을 사용하며, 버튼을 버튼부 시트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하여 저가의 얇고 가벼운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는 접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부면에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 전도체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 시트 및 기판과 버튼부 시트 사이에 위치하며 기판과 버튼부 시트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 유지 시트를 포함한 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버튼부 시트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전도체는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버튼부 시트는 금속으로 할 수 있다. 버튼부 시트를 금속으로 하는 경우에는 버튼부의 하부면에 기판과 접점하기 위한 전도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창치에 있어서, 버튼부 시트는 고탄력 플라스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버튼부 시트의 상부면에 버튼을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간격 유지 시트는 버튼부 시트의 전도체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간격 유지 시트는 접착 테이프, 발광 시트, 전도체 시트 등의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는 기판(10), 버튼부 시트(20) 및 간격 유지 시트(30)를 포함한다. 기판(10)에는 접점 전극(11)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 시트(20)는 상부면에 버튼(2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 전도체(22)가 형성되어 있다. 간격 유지 시트(30)는 기판(10)과 버튼부 시트(20) 사이에 위치하며 기판(10)과 버튼부 시트(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튼부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튼부 시트의 하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부 시트(20)는 전도체(21)와 버튼(22)을 포함한다.
버튼(22)은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는 것으로 버튼부 시트(2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돌출부가 거의 없는 형태이다.
버튼(22)은 인쇄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인쇄 방법은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장하는 스프레이 인쇄나,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이저 마킹(marking), 또는 실크스크린 인쇄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그 외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버튼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되는데,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돌출부가 거의 없어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전도체(21)는 버튼부 시트(2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버튼부 시트(20)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22)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즉 각각의 버튼(22)은 그 하부면에 접점을 위한 전도체(21)를 형성한다.
전도체(21)는 사용자가 버튼(22)을 눌렀을 때 기판의 접점 전극(11)을 연결시켜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의 신호를 내부 회로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전도체(21) 형성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를 만드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체를 구리로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버튼부 시트(20)에 구리를 붙인 후에 계속하여 전도체(21)로 남아 있기를 원하는 배선에는 레지스트를 인쇄한다. 그리고 구리를 녹일 수 있는 식각액에 인쇄된 기판을 담그면 레지스트가 묻지 않은 부분은 녹는다. 그 후에 레지스트를 제거하면 구리가 원하는 형태로 남아 있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전도체(21)는 돌출부위가 거의 없어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버튼부 시트(20)는 플라스틱, 비닐,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다. 버튼부 시트(20)를 고탄력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의 탄력으로 인해 버튼(22)을 누르는 느낌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버튼부 시트(20)를 금속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도체(21)가 없어도 버튼(22)과 접점 전극(11)을 접점시켜 신호를 내부 회로에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격 유지 시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유지 시트(30)는 버튼부 시트(20)의 전도체(21)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31)이 뚫어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구멍(31)은 버튼(22)을 누를 때 전도체(21)와 기판(10)의 접점 전극(11)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뚫는다.
간격 유지 시트(30)는 기판(10)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 전극(11)과 버튼부 시트(20)에 형성되어 있는 전도체(2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버튼(22)을 누르지 않는 경우 신호가 내부 회로에 입력되지 않도록 해준다.
간격 유지 시트(30)는 박막(薄膜)으로 할 수 있다. 간격 유지 시트(30)를 박막으로 하여도 버튼부 시트(20)에 형성된 전도체(21)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도체(21)의 두께가 매우 얇으므로 전도체(21)와 기판(10)의 접점 전극(11)이 연결되지 않는다.
간격 유지 시트(30)는 전도체(21)와 기판(10)의 접점 전극(11)의 간격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다.
간격 유지 시트(30)는 접착 테이프로 할 수 있다. 간격 유지 시트(30)를 접착 테이프로 하는 경우에는 기판(10)과 버튼부 시트(20)를 접착하기 위해 별도의 테이프나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간단해진다.
간격 유지 시트(30)는 발광 시트로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의 경우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발광(發光)을 할 수 있는 부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간격 유지 시트(30)를 발광 시트로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발광 장치 없이도 발광할 수 있다.
간격 유지 시트(30)는 전도체 시트로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경우 무선으로 통신하므로 유선으로 하는 경우보다 잡음이 심하다. 그러나 전도체 시트로 간격 유지 시트(30)를 형성하면 전도체 시트가 휴대 단말기의 접지(ground)를 강화시켜 통화시 휴대 단말기의 잡음을 줄여준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 없이 통화 품질을 높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언급한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이다. 휴대 단말기라 함은 휴대폰, PDA(Personal Portable Device), MP3 Play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를 말한다.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는 각각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형태에 맞게 외형이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휴대폰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은 액정 화면(41), 스피커(42), 마이크(43)를 비롯한 통상적인 구성 요소 및 전술한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부분을 살펴보면, 접점 전극(11)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은 휴대폰의 케이스(40) 내부에 설치된다. 기판 위에 간격 유지 시트(3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때 기판의 접점 전극(11)과 간격 유지 시트(30)의 구멍(31)이 서로 대응되게 설치한다. 간격 유지 시트(30) 위에는 버튼부 시트(20)가 설치되는데, 이 때에도 버튼부 시트(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전도체(21)와 간격 유지 시트(30)의 구멍(31)이 서로 대응되게 설치한다.
평상시에는 간격 유지 시트(30)에 의해 전도체(21)와 접점 전극(11)이 서로 접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버튼(22)을 누르는 경우 간격 유지 시트(30)의 구멍(31)을 통해 전도체(21)와 접점 전극(11)이 서로 점접하여 신호를 내부 회로에 전달하게 된다.
버튼부 시트(20)는 상부면에 버튼(22)을 인쇄하여 형성하고, 하부면에 전도체(21)를 PCB 방식으로 인쇄하여 형성한다. 버튼(22)과 전도체(21)가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그 두께가 매우 얇고, 따라서 간격 유지 시트(30)가 박막이 되어도 전도체(21)와 접점 전극(11)이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버튼부 시트(20)와 간격 유지 시트(30)는 휴대폰의 형태에 따라 그 형상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는 슬라이드형, 폴더형 및 플립형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에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휴대폰의 입력 장치의 경우 버튼부의 버튼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 고, 돔 시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을 제외한 부분의 두께가 보통 1.75 ~ 2.25㎜ 정도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휴대폰의 입력 장치의 경우 버튼부 시트의 버튼이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돔 시트 대신 접점 방식을 사용하고, 박막의 간격 유지 시트를 사용하므로 기판을 제외한 부분의 두께가 0.45㎜ 정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보다 두께를 1.35 ~ 1.85㎜ 정도 더 얇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돔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 과정에서 돔 시트를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 시키기 때문에 조립하기 불편한 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돔 시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 공정이 더 간단해진다.
또한, 돔 시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료비가 줄어들게 되고 휴대 단말기의 무게가 가벼워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는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하기 용이하며,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와는 달리 돔 시트를 포함하지 않으며 버튼이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얇으며 무게가 가볍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해 외형에 제한이 적어지게 되고,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할 수 있다.

Claims (10)

  1. 상부면에 버튼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전도체가 형성되는 버튼부 시트;
    접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및
    상기 버튼부 시트와 상기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부 시트의 전도체와 상기 기판의 접점 전극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버튼부 시트의 전도체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간격 유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 시트의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버튼부 시트의 전도체는 상기 간격 유지 시트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기판의 접점 전극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시트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시트는 고탄력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시트는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시트는 발광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시트는 전도체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박막형 휴대 단말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041940A 2006-05-10 2006-05-10 박막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입력 장치 KR10082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940A KR100823984B1 (ko) 2006-05-10 2006-05-10 박막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940A KR100823984B1 (ko) 2006-05-10 2006-05-10 박막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235A KR20070109235A (ko) 2007-11-15
KR100823984B1 true KR100823984B1 (ko) 2008-04-22

Family

ID=3906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940A KR100823984B1 (ko) 2006-05-10 2006-05-10 박막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9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176A (ko) * 2004-02-12 2005-08-18 (주)지엔씨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KR20050112065A (ko) * 2005-10-07 2005-11-29 한국성전(주) 휴대용 기기를 위한 슬림화된 이엘 키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176A (ko) * 2004-02-12 2005-08-18 (주)지엔씨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KR20050112065A (ko) * 2005-10-07 2005-11-29 한국성전(주) 휴대용 기기를 위한 슬림화된 이엘 키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235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9414B2 (en) Button assembly with inverted dome switch
US853074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flexible circuit board
KR100337786B1 (ko) 와이드 키패드 및 정전기 방지용 와이드 키패드 결합구조
KR101410175B1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60121605A (ko)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052679A1 (en) Transparent key of an electronic device
US8098494B2 (en) Electronic device
US20030153349A1 (en) Mobile phone with replaceable key modules
KR100823984B1 (ko) 박막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입력 장치
KR200426231Y1 (ko) 윈도우 일체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무선단말기
KR10022830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일체형 버튼구조
KR200601230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장치
KR100677456B1 (ko) 다단접점을 갖는 돔 스위치
KR100851657B1 (ko) 액추에이터를 갖는 도파시트를 구비한 키 패널
KR200426230Y1 (ko) 발광 키패드
US20030153282A1 (en) Mobile phone with replaceable key assemblies
CN110572504A (zh) 壳体组件及移动终端
KR20120066899A (ko) 그립 센서 장치
KR20060119643A (ko) 다단접점을 갖는 돔 스위치
JP4639807B2 (ja) 端子接続部材、端子接続構造、電子機器及び端子接続部材の製造方法
KR101126380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737762B1 (ko) 윈도우 일체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무선단말기
KR200368751Y1 (ko) 이동통신기기용 돔 스위치 조립체
KR20010104072A (ko) 폴더타입 휴대폰용 인쇄회로기판과 플렉시블 프린트서킷과의 결합장치
KR100837589B1 (ko) 윈도우 일체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무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